d라이브러리
"번대기"(으)로 총 1,3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가 본 남극과 세종기지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세계에서 18번째로 남극에 과학기지를 건설한 한국. 현지모습과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본다. 백색의 사막, 인류최후의 대륙으로 불리우고 있는 남극에 우리나라 연구기지가 세워지고 있다. 지난해 12월16일 공사를 시작한 세종기지(The King Sejong Station)는 2월5일 공사를 마치게 된다. 까마득한 태고부 ... ...
- 체르노빌·드리마일원전사고의 그후 방사능피해, 갈수록 깊어져과학동아 l1988년 02호
- 기형아출산, 악성종양, 변형된 식물…. 원자로에서 누출된 방사능은 생명체계에 시간이 흐를수록 깊은 상처를 남기고 있다. 체르노빌과 드리마일원자력 발전소 사고로인한 방사성 물질 확산은 지구상의 곳곳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이상현상을 일으키고 있다. 동물의 이상출산과 사산 폐사, 식물의 ... ...
- 원격탐사 가장 실용성있는 기술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우주탐사뿐 아니라 지구 대기 및 자원, 해양연구에도 활용되는 원격탐사기술은 인간에 가장 실용적인 기술이다. 원격탐사기술은 원거리에서 유용한 정보를 수집, 추출하는 기술을 말하며 그 대상은 태양계내내의 행성 성운 등의 천체와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로 크게 구분된다. 천체의 관측은 지 ... ...
- 유도제어 우주비행의 핵심적 소프트웨어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전자산업이 세계적 수준으로 발달한 우리나라에서는 우주과학기술중 어떤 분야보다도 유도제어기술의 전망은 매우 밝다. 인류가 우주공간에 쏘아올린 인공위성은 스스로 궤도를 유지하면서 주어진 임무를 완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유도제어 기술이 필수적. 아무리 뛰어난 발사체나 위성체를 ... ...
- 공전주기 800년 10번째의 행성을 찾아과학동아 l1988년 02호
- 천왕성과 해왕성의 궤도를 어지럽히는 미지의 행성이 확인되었다는 정보가 잇따르고 있다. 그 궤도와 크기는 어떤것인가. 태양계의 새행성의 정체를 검증해 본다. 태양계는 현재 태양에 가장 가까운 수성에서 부터 먼 가장자리에 있는 해왕성까지 모두 9개의 행성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알려져 있 ... ...
- 석유는 곧 고갈 「태양-수소」시대가 온다과학동아 l1988년 02호
- '라만차'(La Mancha)의 끝없이 펼쳐진 고원에는 석회가루가 흩날리고 있다. 그리고 몇채 안되는 집들은 흙빛을 띠고 있다. 마드리드의 남쪽에 있는 여기 라만차에서 애수에 찬 기사 돈키호테가 그 옛날 창을 들고 길을 떠났다. 세상물정이라곤 전혀 모르는 이 친구는 오래전에 죽었다. 그리고 돈키호테 ... ...
- 보다 편한 잠을 위한 안내 침구속의 기상을 알아두자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사람은 하루중의 약8시간을 잠이라는 무의식의 세계에서 보낸다. 이때 감싸주는 이불속에 미묘한 기상이 형성된다. 다음은 안락한 잠과 관련된 연구성과를 정리한 것. 지구 둘레는 대기가 둘러싸고 있다. 따뜻한 공기는 팽창하여 위로 올라간다. 차가운 공기는 밑으로 내려온다. 바람이 일어난다. ... ...
- 극지(極地)의 장관 오로라 AURORA과학동아 l1988년 01호
- 영하 섭씨60도의 극한지대, 고도 1백㎞~5백㎞의 고공에서 펼쳐지는 빛의 향연 오로라. 지구의 자기위도(磁気緯度) 65~70도 부근에서 가장 잘 볼수있는 초고층 대기의 발광 현상을 극광이라고 한다. 오로라는 원래 로마신화속의 새벽의여신의 이름인데 프랑스의 물리학자 '가상디'(Gassendi)가 1621년 그의 ... ...
- PART2 발사체 96년에 실험발사를 목표로과학동아 l1988년 01호
- 로킷으로 상징되는 발사체기술은 인류가 가지고 있는 모든 지식의 총화라고 할 수 있다. 발사체개발기술은 우주개발을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기술이다. 지상에서 우주공간으로 위성체 등의 구조물이나 인간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수송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수송수단이 바로 발사체 ... ...
- 어떻게 감지하고 어떻게 적응하나과학동아 l1987년 11호
- 지구의 나이는 대략 45억년이며, 이 기간동안 지구상의 대기 물 암석들은 많은 변화를 거쳐서 서서히 이루어졌다. 특히 대기중의 산소는 대략 6 억년전부터 서식하기 시작한 식물들에 의하여 만들어 졌다.우리는 제4빙하기가 끝난 후 약 1만 2천년이 지난 시점에 살고 있다. 빙하기가 끝나고 6천년은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