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분"(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수학교육 찬반 토론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모두 수학을 많이 쓰는 직업을 가질 것도 아닌 데다, 지금의 수학은 생활에 진짜 필요한 부분이라기보다는 학생들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쓰이는 것 같아 축소돼도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진혁 : 수학은 하나를 모르면 그다음 것들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즉, 배우는 내용이 줄어들면 우리 수학 ... ...
- [서술형 완전정복] 수학의 기초 집합 이해하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법칙을 이용해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합니다.● 서술형 문제 채점 기준아래 조건에 따라 부분적으로 채점합니다. 예를 들어 예제가 10점 만점인 문제라면① 각 원소를 조건에 따라 제대로 나누고, 곱의 법칙을 이용해 바르게 설명한 경우: 6점② 논리적으로 빈틈이 없게 자신의 주장을 설명한 경우: ... ...
- [화보] 2월이 한여름이라고?! 남극의 여름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펭귄 두 마리가 부모 펭귄 품 안에 안전하게 안겨 있어요. 다 자라면 부모님처럼 얼굴 턱 부분에 검은 띠가 생기지요. 이 특징을 따서 ‘턱끈펭귄’이란 이름이 붙었답니다. 2 말랑말랑 젤리 꽃이 피었습니다!동글동글 귀여운 젤리를 닮은 이 식물은 남극구슬이끼예요. 이끼에 포자체가 올라온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차를 흔드는 힘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축구에서 공에 회전을 주면 공이 휘어서 나가지요? 공의 진행 방향과 회전 방향이 같은 부분에서 공기의 흐름이 빨라지는데, 이로 인해 공기의 압력차가 생기면서 공이 휘는 거랍니다. 공을 공중에 띄워라! “허팝 파워!”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크리에이터 중 한 명인 ‘허팝’과 함께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석기를 만들었어요. 돌이 깨지며 생긴 날카로운 부분을 도구로 사용한 것이죠. 필요 없는 부분을 떼어내고 만들었다고 해서 ‘뗀석기’라고 부른답니다. 이후 신석기 시대에는 돌을 갈아서 더 정교한 형태의 석기를 만들기 시작했어요. 이렇게 만든 석기를 ‘간석기’라고 하지요. 원시적으로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잎조각이 토끼의 꼬리를 닮았나? 돌토끼 고사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사는 토끼고사리’라는 뜻이에요. 돌토끼고사리와 같은 토끼고사리류는 잎조각 아래 부분이 때로 어두운 갈색을 띠며 토끼 꼬리를 닮아 이런 이름이 붙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져요. 어때요, 여러분이 보기에도 닮았나요? 돌토끼고사리는 주로 바다와 계곡 근처에 있는 돌에 살아요. 나비와 같은 ... ...
- [이달의 PICK] 밥상 떠난 오징어를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원인 중 하나로 명태 산란장의 수온 변화를 꼽았다. 그는 “최근 동해에서 잡힌 명태 대부분이 태어났던 2015년, 산란장의 수온이 산란 적수온인 2~7도였던 것으로 분석됐다”며 “향후 명태가 회유하는 경로, 습성, 서식환경 등에 대한 정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해양수산부는 199 ... ...
- [TECH] 새 애국가 담아낸 3D 음향기술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중요한 기술”이라며 “반지향성 마이크를 사용하면 반향과 함께 전체 음향도 일정 부분 함께 녹음할 수 있어 자연스럽게 어우러지는 소리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새 애국가 녹음의 경우 지향성 마이크를 악기당 1개씩 배치했고, 홀 중앙에 무지향성 마이크를 7개, 그리고 반지향성 마이크를 ... ...
- [SPACE] 토성의 ‘절대 고리’가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9년 02호
- A고리(주요 고리 중 가장 바깥쪽 고리) 밖이었기 때문에 중력을 측정하면 토성의 적도 부분과 고리의 영향이 섞인 결과만 얻을 수 있었다. 그런데 이번에 고리 안쪽으로 진입하면서 토성 자체와 고리의 중력 효과를 구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탈리아 사피엔자대 연구팀은 이를 통해 고리가 생겨난 ... ...
- [서울대 공대|컴퓨터공학부] 4차 산업혁명의 주축 컴퓨터공학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실수를 자주 해서 어려움을 겪었다. 그래서 조 씨가 택한 해결책은 외울 수 있는 부분은 그냥 다 외워버리는 것이었다. 국어의 시나 영어 지문 등은 통째로 외웠다. ”자바(JAVA), C언어 등 요즘 많은 사람들이 코딩을 배우지만 코딩을 어떻게 하는지만 배우죠. 컴퓨터공학부에서는 실제로 프로그래밍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