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살코기
고기
육질
살가죽
살갗
식용부분
가죽
d라이브러리
"
살
"(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개 크기(3U)의 위성으로 생명과학을 연구하기 시작했어요. 주로 우주환경에서 생명체가
살
수 있는지, 유기물 변화는 어떻게 일어나는지 등을 모니터링했죠. 우리나라는 2010년 중후반기부터 ‘한국형 바이오큐브랩’ 임무를 제안하며 이 분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어요.”1kg짜리 위성 하나를 1억 원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사진 아래에 이런 사진 설명을 달았다. “당신과 마찬가지로, 나는 인간입니다. 나는
살
아 있으며, 여기 있었습니다.” 현생인류 외에 예술을 했을 가능성이 높은 또다른 인류는 네안데르탈인이다. 네안데르탈인은 무덤을 치장하거나 노래를 부르는 등 예술 행위로 해석될 수 있는 활동을 했을 ...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
과학동아
l
2015년 03호
0개가 밝혀졌다. 절반은 케플러 망원경이 찾은 것이다. 김 연구원은 “특히 외계생명체가
살
수 있는 지구형 행성이 과학적인 의미가 높다”고 말했다.조 교사는 풍문여고 천체관측반 학생들과 함께 3월부터 안드로메다자리의 ‘웁실론A’와 기린자리의 ‘XO-3’ 별에 있는 외계행성을 관측하기로 ... ...
[Knowledge] 뉴턴이여, 나를 용서하시길!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다룰 것이다. 또 일반상대성이론이 사상사와 과학문화에 기여한 것은 무엇이었는지
살
펴보려 한다. 독자들이여, 기대하시길! 이벤트는 종료되었습니다 ... ...
[수학뉴스] 수학 시험 잘 보려면 푹 자자!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수면 시간 중 깊은 잠을 잔 시간의 비율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연구팀은 7
살
에서 11
살
짜리 어린이 75명을 대상으로 5주 동안 잠이 들고 깨는 주기를 기록해 얼마나 잘 잤는지 알아봤습니다. 그리고 이 수치를 어린이의 학교 성적과 비교했지요.그 결과 잠을 제대로 잔 어린이일수록 수학과 언어 ... ...
[지식] 펭귄의 남극
살
이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할 것”이라고 말했어요.앞으로 펭귄의 생태가 더 많이 밝혀져 남극에서 오래도록 잘
살
게 하는 데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펭펭 수학 먹이 찾을 때는 레비 워크로펭귄은 바다에서 물고기나 크릴을 사냥한다. 넓은 바다에서 먹이를 찾을 때 펭귄은 ‘레비 워크’(걸음이라는 뜻이지만 바다 속 펭귄의 ... ...
컴퓨터 vs 인간 수학 왕좌의 게임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찾을 것이다. 아무도 하지 못한 상상력의 힘으로. 우리는 지금 ‘계산의 시대’에
살
고 있다. 지루하게만 느껴졌던 계산은 이제 인간이 가진 가장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았다.하지만 계산만으로 모든 게 해결되는 것은 아니다. 상상력과 창조성이 항상 바탕이 돼야 한다. 만약 먼 미래에 컴퓨터가 ... ...
[Life & Tech] 제1회 SW 마에스트로 골든벨 “나도 스티브 잡스에 도전할래요”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연수생들의 멘토인 고재관 (주)세완 대표도 골든벨 심사에 나섰다. 고 대표는 10
살
때 처음 프로그래밍을 시작했는데, 집에 컴퓨터가 없어 컴퓨터 전시장과 가게에서 프로그래밍을 연습했다고 한다. 고 대표는 “지금이라도 이런 좋은 기회를 가지게 돼서 다행”이라며 “제가 멘토링을 하던 ... ...
[화보] 종이, 날다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둥지를 안겨주고 싶어서 만든 것이다. 자세히 들여다 보면 종이에 칼집을 내 입체감을
살
리고 있다. 새를 안전하게 지켜주고 따뜻하게 머물 수 있는 에레라만의 종이 둥지다. 특별 인터뷰“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찾으려고 노력해요.”콜롬비아 출신인 디아나 에레라는 어린 시절 방안에서 혼자 ... ...
Part 3 엄마 핏줄이 더 당긴다?!
수학동아
l
2015년 02호
데도 나서지 않을 가능성이 컸다.사실 이런 결과는 어디까지나 진화심리학 관점에서
살
펴봤을 때다. 실제로는 개개인의 성격이나 가정환경 등 많은 요인에 의해 얼마든지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다. 갈 길 먼 가족관계 연구에 도전하자!결혼부터 친척 사이의 관계까지 가족의 비밀을 풀어 주는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