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동
동향
동정
운동
추이
노릇
행동
d라이브러리
"
움직임
"(으)로 총 2,985건 검색되었습니다.
고흐 그림처럼 흐르는 세계 해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이 공개한 동영상을 캡처한 것이랍니다.NASA는 2005년 6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지구 해류의
움직임
을 분석해 ‘해양의 순환과 기후 측정2(ECCO2)’라는 컴퓨터 모델로 동영상을 만들었어요. 신기하게도 우리나라 주변 바다는 다른 지역에 비해 잔잔히 흐르고 있네요.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kids ... ...
정글의 법칙 수학으로 파도타기!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실제 파도 표면을 분석해야 합니다. 그래서 수학자들은 파도의 표면과 수면 위에서의
움직임
에 집중해 연구하죠.먼저 파도 표면이 이루는 곡면을 구성하는 각 점의 기울기를 구하고, 그 값을 모아 곡면의 변화량을 살펴봅니다. 그런 다음 기울기가 급변하는 지점을 방정식에 대입해 해를 구하면 ... ...
[생활] 유희의 수, 15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하다. 보름은 보름달이 뜨는 음력 15일, 또는 15일이라는 기간을 뜻한다. 또한 태양의
움직임
에 따라 기후의 변화를 나타내는 24절기와도 관련이 있다. 지구가 태양을 1년 동안 한 바퀴 360° 회전하는 것을 15°로 나누어 1년을 24절기로 구분한 것이다. 이제부터 숫자 15가 가지고 있는 더욱 신기한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거북은 어느 정도 무게가 있는 장치를 달아도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근력이 발달해 있고
움직임
이 느려 실험이 쉽기 때문이다.연구팀은 현재 거북이에서 성공한 시스템을 그대로 물고기에 적용해 연구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는 3가지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첫번째가 자극 장치의 크기를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연료도 크게 절약할 수 있다.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최해천 교수팀은 새 깃털의
움직임
에 주목했다. 새는 하늘을 날 때 날개의 깃털을 들어 유동저항을 줄인다. 이처럼 자동차 뒷부분에 새 깃털을 모방한 장치를 달면 유동저항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사실 최신 차량에는 이미 ‘디플렉터(PMD)’라는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감지해서 소리를 들어. 이런 음파탐지능력을 이용하면 주변 환경과 먹이의 크기,
움직임
, 심지어 질감까지도 느낄 수 있지. 보통 박쥐가 이 정도인데 다른 박쥐보다 청력이 더 예민한 작은갈색박쥐는 얼마나 세밀하게 주변 환경을 파악하겠어. 모기 잡는 건 약과야. 머리카락보다 가느다란 물체도 ... ...
똑똑한 사냥꾼 T세포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기생충에 감염된 쥐를 대상으로 T세포가 어떻게 기생충을 찾아내는지 그
움직임
을 추적했다.그 결과, T세포는 세포가 모여 있는 한 장소를 지정한 뒤 그 곳에서 짧게 자주 움직이다가 다른 곳으로 이동해 다시 짧게 움직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5월 27일자에 게재됐다.연구팀은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연결했다고 해서 캐시가 곧바로 로봇 팔을 움직일 수는 없었다. 어떤 신경신호가 어떤
움직임
을 명령하는 것인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신경신호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연구팀은 캐시에게 로봇 팔의 특정 운동을 반복해서 상상하게 했다. 그리고 특정 운동을 상상할 때 발생하는 신경신호를 분류해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라플라스의 악마’다. 이 악마는 세상의 과거와 현재 상태에 대해 원자 하나하나의
움직임
부터 사람들의 심리까지 모두 꿰뚫고 있다. 자연을 움직이는 법칙도 모두 알고 있다. 따라서 미래가 어떻게 될지 정확하게 계산해 낼 수 있다. 로또 당첨 번호는 물론 올해 대통령 선거에서 누가 당선될지,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있는 거리)이라고 하는 매우 좁은 지역 안에서 은하 중심부 주위를 공전하고 있는 별들의
움직임
을 포착하는 데 성공했다. 별들의 운동으로부터 역학법칙을 적용해 은하 중심부의 질량을 측정하자 우리은하 중심부에는 태양질량의 약 460만 배 되는 물체가 있어야 한다는 놀라운 결과를 얻었다.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