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성 골수성 백혈병 치료제 국내서 개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하지 못해 환자가 목숨을 잃는다. 이번에 개발된 치료제 ‘슈펙트캡슐’은 이 돌연변이
유전자
를 무력하게 만들어 백혈구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것을 막는다.슈펙트캡슐은 국내에서는 18번째 신약이다. 일양약품이 2001년부터 연구해 10여 년 만에 신약허가를 받았다 ... ...
중심체 없는 편형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정상적인 개체로 성장한다. 연구진은 이 벌레의 중심체를 제거하고 중심체 생성을 막는
유전자
조작 실험을 진행했다. 그러자 이 벌레의 번식력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았고 심지어 원래 중심체가 없었던 것으로 밝혀졌다.연구를 이끈 월러스 마셜 캘리포니아대 박사는 “중심체가 없는 동물을 ... ...
유방암 백신 여성의 구세주 될까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죽인다. 결국 펩타이드 백신은 단백질 조각을 직접 넣고 DNA 백신은 단백질 조각을 만드는
유전자
를 넣는 것이다.수지상세포(DC)를 배양해 암세포(항원)와 함께 넣는 방법도 있다. 수지상 세포(DC)는 암세포(항원)를 세포 안으로 잡아들인 뒤 항원 펩타이드를 세포독성T세포에게 내 보인다. 이를 통해 ... ...
살찌는 원인은 ‘미식가’ 혀?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비율이다. 지방 맛을 보는 실험 결과 역시
유전자
조사 결과와 같았다. ‘맛’을 느끼는
유전자
와 그에 따른 식습관이 모두 비만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밝혀졌다 ... ...
늦잠,
유전자
때문이야!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신경정보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해 수면의 양에 변화가 생긴 것이다. 초파리의 잠
유전자
를 연구하는 최준호 카이스트 생명과학과 교수는 “칼륨 이온 통로가 수면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말했다.변이가 일어난 셰이커
유전자
도 칼륨 ... ...
정답이 하나뿐인 스도쿠를 만들려면?
수학동아
l
2012년 02호
최근 아일랜드 더블린대 개리 맥과이어 교수팀은 스도쿠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바로 스도쿠의 정답이 하나뿐이려면 먼 ... 증명한 맥과이어 교수는 “이 연구에 사용된 알고리즘은 스도쿠 문제뿐만 아니라,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에도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발달 장기 추적 MRI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음주, 성관계 등 위험한 행동에 쉽게 빠져드는 현상을 설명해준다.한편 뇌 발달 과정은
유전자
의 프로그램에 따라서만 일어나는 게 아니라 환경의 영향에도 민감하다. 즉 시냅스의 가지치기 가운데는 ‘쓰지 않으면 잃는다(use it or lose it)’는 원리가 적용되는 경우가 있다. 즉 자주 사용하는 ... ...
용을 찾아서 무無 용龍 담談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돕고 있어요. 예를 들어
유전자
를 재조합해서 사람에게 장기를 줄 수 있는 돼지나
유전자
를 재조합해서 특정한 병에 걸리게 한 쥐가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약을 개발할수 있게 도와 주고 있답니다." 염영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의학연구센터장)조선왕조 실록의 다섯 마리 용이번에도 역시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국가간, 지역간 편중이 심한 식량 자원을 잘 분배하는 것이 더 낫다는 주장이다.
유전자
변형작물(GM)을 둘러싸고 아직 갈등이 여전한 점도 장애 요인이다.2 소행성 충돌위협 요인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있는 천체로는 지구의 공전 궤도와 겹치는 소행성이 대표적이다. 천문학자들은 지구 궤도와 아주 ... ...
“지금 안 막으면 사방이 가시박 천지가 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열매를 맺는 식물이 사라질 가능성이 크다. 그 결과 생태계 건전성의 지표인 생물다양성,
유전자
다양성이 감소한다. 강 교수가 조사한 양재천의 경우 2005년 429종이던 초본식물이 불과 5년 뒤인 2010년에는 318종으로 줄어들었다. 사실 문제는 가시박 뿐만이 아니다. 환삼덩굴이나 칡 같은 덩굴식물도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