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연"(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라고 저자를 소개하고 싶다. 주인공은 바로 이지섭 민 자연사연구소장이다. 민 자연사연구소는 그가 세계 곳곳을 돌아다니며 모은 3000점의 광물 중 일부를 전시한 공간이다. 그는 자신을 광물 수집가(영어로는 ‘mineral collector’라는 말로 표현된다)이자 이야기꾼이라고 말한다. 저자는 자신의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환경과 공룡의 모습을 재현한 실감 나는 영상으로 시작됐답니다. 영상이 끝나고 서대문자연사박물관 박진영 연구원이 등장했어요. 국내 유일의 도마뱀화석 전공 고생물학자인 박진영 연구원은 2015년 전남 보성에서 몸길이 2m 이상의 중생대 도마뱀 화석을 발견해 화제가 됐지요. “공룡 화석은 몸 ... ...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전구를 들여왔다. 전기 산업의 발전은 전기 측정에 필요한 단위와 표준의 필요성을 자연스럽게 제기했다. 1901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지오바니 조르지는 미터, 킬로그램, 초 단위계에 전기의 기본 단위도 추가하자고 제안했다. 1939년 전기자문위원회(CCE,현재의 CCEM)는 당시에 사용되던 암페어(A),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중요한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선택에 선택을 거듭해 골짜기 아래에 다다른 공은 자연적 상태에서 스스로 작은 언덕을 넘어 옆 골짜기로 갈 수 없습니다. 즉, 분화 방향을 정한 세포가 자신의 ‘운명’을 바꿔 다른 세포로 변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피부세포가 갑자기 신경세포가 될 수 없듯이 ... ...
- [인터뷰] 연세대 입학처장 엄태호 “다양한 인재에게 고른 기회 준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전형, 논술전형 축소) 정시모집 인원을 입학정원의 약 3분의 1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자연계 학생들에게 유의미한 변화는 의대 논술전형 선발을 폐지하고, 정시모집에서 의예과 인성 면접을 실시하는 것이다. 또 특기자전형에서 지원자격 제한을 두고, IT명품인재계열과 과학공학인재계열을 ... ...
- [이투스교육] 국제 분업과 무역 & 자산 관리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재배할 수 있다. 즉 기술 발전으로 어느 곳에서든 바나나를 재배할 수는 있지만, 자연 조건에 따라 동일한 재화를 얻기 위한 생산비가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동일한 물건을 만들더라도 생산 조건의 차이에 따라 생산비가 국가마다 다르다. 또한 국가마다 제품별 생산비에 차이가 있기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팔씨름 처럼 당기는 힘을 쓸 땐 손목이 몸 바깥쪽으로 돌아가는 ‘회외’ 자세가 자연스럽도록 근신경이 발달돼 있다는 것이다(멱살을 잡아당길 때를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이는 반대로 손목이 몸 안쪽으로 꺾여있다면 당기는 힘을 제대로 쓰지 못한다는 뜻이 된다. 경기가 시작된 직후 ...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위해 인류는 겸손한 자세로 다시 자연에게 배우고 있습니다. 가장 위대한 과학기술은 자연으로부터 나오며 우리가 할 일은 그것을 잃지 않고 보존하는 것입니다. 김영혜서울대 생체분자나노재료 연구실에서 박사과정 연구원으로 있다. 식물 광합성을 모델로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 ...
- [이투스교육] 연세대 논술전형 분석 및 대비전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표 2). 두 번째는 선발인원의 변화다(44쪽 표 3). 전체 선발인원이 소폭 감소한 가운데, 자연계 선발인원은 420명으로 전년도 대비 19명 감소했다. 눈여겨 볼 점은 간호학과와 생활과학대에 속한 모집단위에서 논술전형으로 선발하는 인원이 없어진 반면, 공대의 주요학과에서 선발하는 인원이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달리 높은 주파수(고음)일수록 크기가 작다. 그래서 낮은 주파수(저음)의 소리는 크다. 자연이 만들어내는 무작위한 소리인 백색소음은 난수생성에 이용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이 소리를 담은 영상도 있고, 애플리케이션으로도 있다더라. 어쩐지 바닷가의 파도가 부서지는 소리, 창밖에 내리는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