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타트
최초
시작
시초
출발점
개시
출항
d라이브러리
"
출발
"(으)로 총 2,25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온라인에 있다는 것이다.싸이월드는 애초에 친구를 찾아 클럽을 형성하는 것에서부터
출발
했기 때문에 오프라인의 인맥이 기본이다. 즉 오프라인에서 알고 지내던 사람들의 만남을 온라인으로 옮겨놓은 것이다. 반면 세이클럽의 경우 온라인에서의 새로운 만남에 의미를 둔다. 그래서 싸이월드는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특성·사명·활동방향에 대한 호소를 포함하며,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과학운동의
출발
점을 이루었다한국의 과학기술 발전과 국민생활의 과학화, 과학인구의 저변 확대를 위해 과학기술처(科學技術處)가 주최하고 국립과학관(國立科學館)이 주관하여 교육부·농수산부·상공부·동력자원부의 ... ...
다재다능 이산수학 맛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만들어졌다.오일러가 그린 이런 그림을 그래프라고 부른다. 그는 1736년 어떤 점에서
출발
해 선을 한번씩만 지나서 다시 그 점으로 돌아올 수 있는 그래프는 각 점에 결합된 선분의 수가 모두 짝수인 성질이 있다는 내용을 증명했다. 이는 흔히 ‘쾨니히스베르크 다리 문제에 대한 해답’으로 불린다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착륙에 성공한 지 35주년이 되는 날이다. 이글호를 실은 아폴로 11호가 케네디 우주센터를
출발
해 달의 궤도 진입에 성공한 다음 날의 일이었다. 지구촌은 그야말로 감동의 도가니가 됐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꿈꿔왔던 달 여행이 2천여년 만에 실현된 순간이었고, 우주 속의 지구를 눈으로 확인한 ... ...
카시니가 보내온 토성 위성 포이베의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997년 10월 15일 토성을 향해
출발
한 미항공우주국(NASA)의 우주선 카시니호가 7여년의 대장정을 마치고 7월 1일 토성 궤도에 진입할 예정이다. 종착점을 향해가던 6월 카시니호는 토성의 미스터리한 위성, 포이베를 2천km 거리에서 지나갔다. 이때 찍은 포이베의 선명한 모습이 지구로 전송돼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물질의 근본을 이루는 나노세계에 대한 이해가 가속화됐다. 한마디로 STM은 나노과학의
출발
점인 셈이다.우리는 주변 사물을 눈으로 본다. 맨눈으로 보이지 않는 미시영역은 빛을 이용한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크기가 빛의 파장보다 짧아 볼 수 없는 원자의 세계는 새로운 방법이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휜 시공간에 영향을 받는다. 빛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에게서 멀리 떨어져있는 별에서
출발
한 빛이 지구로 다가오면서 은하계나 태양과 같은 거대한 물체 옆을 지나친다. 이때 별빛은 태양계나 은하 근처에서 휘어진다.아인슈타인은 이 결론을 1911년에 얻었다. 그리고 일식이 일어날 때 이를 관찰할 ... ...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과학대중화의 씨앗을 뿌린 모임이다.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과학기술 운동을 목적으로
출발
한 이 모임은 80년대 후반 과학대중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면서 과학도서 기획, 출판모임으로 바뀌었다.과학책하면 지금도 발행을 망설이는 출판사가 많지만, 당시는 과학책이 아예 상업성과는 ... ...
러시아 소유즈 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가수분해하여 얻는다 α형 결정은 1수화물로서 프리즘 모양이다갈락토오스 대사(代謝)의
출발
점을 구성하는 중간대사물 대체로 영양소로서 생체세포에 들어온 갈락토오스는 갈락토키나아제의 작용으로 ATP와 반응하여 α-d-갈락토오스-1-인산이 되고, 핵소오스-1-인산우리디릴전이효소의 작용으로 ... ...
야행성 철새는 해질녘에 나침반 보정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지는 방향을 보고 원래의 길을 찾아냈다고 결론 내렸다. 즉 밤새 이동한 뒤 다음날 저녁
출발
하기 전에 해가 지는 것을 보고 자신들이 따라가야 할 자기장의 방향을 확인한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사이언스’ 4월 16일자에 게재됐다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