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상어가족, 지구 반대편에서도 인기 만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핫100에 올라1월 9일, ‘상어 가족’이 동요 최초로 미국 대중음악 순위 ‘빌보드 핫100’에 올랐어요. 지금까지도 유튜브 조횟수 24억회를 넘으며 순위에 머물러 있지요. ‘상어 가족’은 동남아시아와 유럽, 북미에서 특히 화제가 됐어요. 유튜브에 수많은 춤 영상이 올라오고, 영국과 미국의 인기 ... ...
- [맛있는 수학] 솔로몬의 햄 샌드위치 정리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먼저 샌드위치를하나도 가리지 않는 왼쪽편에 칼을 둬요. 그러면 샌드위치는 0:100으로 분배된 상태가 되죠. 이번엔 칼을 완전히 오른쪽에 가져갑니다. 그러면 샌드위치는 100:0으로 분배된 상태예요. 이제 칼을 천천히 움직여 빵 위 어딘가에서 방향을 맞추고 칼의 각도를 기울여 봅시다. 아마 수많은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TrueNorth)’다. 트루노스는 54억 개 트랜지스터를 내장한 4096개의 반도체를 이용해 100만 개의 뉴런과 2억6000만 개의 시냅스(뉴런 접합부)로 얽힌 인간 두뇌를 모방했다. 트루노스는 기존 시스템보다 1만분의 1 수준으로 적은 전력(25~275mW)으로 구동했다. 덕분에 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가 선정한 ... ...
- 화성의 메탄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자료를 분석한 결과 메탄 농도가 큐리오시티의 측정값보다 10배에서 최대 100배 이상 낮은 0.05ppbv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코라브래브 연구원은 “최대로 잡았을 때 0.05ppbv인데, 이는 사실상 메탄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는 얘기”라면서 “화성의 대기 활동으로 메탄이 흩어져 측정 범위를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향해 은 입자를 쏘면 아주 얇은 실이 만들어집니다. 지름 1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길이 수m에 이르는 ‘은나노섬유’가 만들어지는 것이죠. 은나노섬유로 그물 구조를 만들면 기존의 ITO 이상으로 전도도가 뛰어날 뿐 아니라 투명하고 스트레처블한 전극을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 ...
- [수학뉴스] 수론의 '거인' 시무로 고로 별세수학동아 l2019년 06호
- 바뀌었습니다.‘시무라 다양체’, ‘시무라 부분 군’ 등 다양한 이론을 남긴 시무라는 100편 이상의 논문과 책을 저술했을 만큼 열정적인 수학자였습니다. 그는 두 개의 책상을 놓고 오전에는 한쪽 책상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짜는 데 매진하고 오후에는 다른 한쪽 책상에서 논문을 쓰고 완성도를 ... ...
- [따끈따끈한 수학] 어떤 경로도 다르게! 반복없는 색칠 문제수학동아 l2019년 06호
- 항상 반복 없게 색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인 평면 그래프에서는 색깔 수가 10의 100승 개라도 항상 반복 없는 색칠이 가능한지 알지 못했습니다. 이 질문은 2002년 노가 알론, 야로스와프 그리트추크, 마리우시 하우슈차크, 올리버 리오단이 함께 쓴 논문에 처음 등장하는데 10여 년 동안 아무도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고무줄 탄성을 이용해 총알을 날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매달아 협곡 반대편으로 날려 보내는 놀이기구예요. 이 투석기를 타면 1.5초 만에 시속 100km의 속도로 150m를 날아갈 수 있다고 해요. 어때요, 도전해보고 싶지 않나요 ... ...
- 신을 쫓는 기계과학동아 l2019년 06호
- LHC는 지하 175m 깊이에 둘레 27km인 원형 터널 안에 놓여 있다. 건설에는 1998~2008년 100개국 이상에서 1만 명이 넘는 과학자들이 참여했다. CERN 소속 연구자만 2500명, 그리고 그들과 협력하는 1만 명이 넘는 사람들 중에서도 유독 튀는 한 사람이 있다. 바로 LHC의 검출기 중 하나인 뮤온 압축 솔레노이드(CMS . ...
- [프리미엄]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핵심이 되는 최소지배집합을 찾고, 그 기능을 온전히 밝히는 게 가능할까.조 교수팀이 100명의 확산텐서영상 자료에서 1억 개의 신경세포를 특정한 뒤, 이들을 온전히 작동시키는 최소지배집합을 찾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약 1년 4개월이다. 60개의 중앙처리장치(CPU)와 128GB(기가바이트)의 메모리를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