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과학] 페트병, 투명 옷으로 변신 중!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색깔이 있는 페트병은 일반 플라스틱으로 분류되지요. 분리배출제는 전국의 아파트에서 7월부터, 단독주택에선 내년 1월부터 시행돼요. 단독주택은 시범운영 기간이어도 분리배출을 어기면 쓰레기를 수거해가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페트병 라벨, PVC 포장재 사용에도 변화 지난해 12월 25일부터 ... ...
- [현장취재] 박쥐 탐사대, 도시 박쥐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연구를 했습니다. 아프리카 콩고와 일본에서 공부하며 박사학위까지 땄지요. 그러다 2017년 국립생태원에 온 뒤, 김선숙 박사님을 만나게 되었지요. 김선숙 박사님은 국내에서 거의 유일하게 박쥐 생태를 연구하는 분이신데, 함께 연구해보지 않겠냐고 제안하셨죠. 마침 저는 박쥐에 대해 관심을 ... ...
- [한 장의 과학] 우리가 엑스선을 볼 수 있다면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초신성 잔해 등이 지도에 드러났어요. 연구팀은 앞으로 3년 반 동안 엑스선 지도를 7개 더 제작하고 이를 모두 합쳐 지금은 발견하지 못한 더 어두운 엑스선 천체도 찾아낼 예정이에요. 이를 통해 은하들의 위치와 우주 팽창의 원인을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
- [이달의 과학사] 마시 vs 코프 세기의 ‘화석 전쟁’, 승자는 누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코프’입니다.오스니얼 찰스 마시는 1831년 10월 29일, 에드워드 드링커 코프는 1840년 7월 28일에 태어난 미국의 고생물학자입니다. 둘 다 물려받은 재산으로 화석 발굴을 시작했지요. 서부개척시대였던 19세기 중반, 둘은 미국의 드넓은 사막에서 화석 찾기에 몰두했습니다.처음 만났을 때만 해도 ... ...
- [통합과학 교과서] 과자보다 맛있는 복숭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하고 있지요. 일본 호쿠리쿠 선단과학기술대학원의 미야코 에이지 박사는 지난 6월 17일, 꿀벌 대신 식물의 수분을 도울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어요. 미야코 박사는 놀랍게도 비눗방울을 이용했어요. 미야코 박사는 처음엔 4cm 크기의 작은 드론을 이용해 식물의 수분을 돕는 연구를 ... ...
- [과학뉴스] 알록달록 친환경 태양전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달리하여 빛이 반사되는 위치를 조절했어요. 덕분에 보라, 초록, 파랑, 노랑, 빨강 등 7가지 이상의 다양한 색을 낼 수 있었지요.연구팀이 만든 CIGS 태양전지는 0.003mm로 매우 얇아요. 연구를 이끈 정용덕 책임연구원은 “이 태양전지는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어 자동차나 휴대용 기기 등 다양하게 쓰일 ... ...
- [헷갈린 과학] 잎과 줄기로 구분해! 무궁화 vs 부용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4호
- 無窮花)’라는 이름에는 ‘피고 또 피어서 영원히 지지 않는 꽃’이라는 의미가 있어요. 7월 무렵 피기 시작하는 무궁화는 9월까지 여름 내내 줄기마다 꽃을 피워 이러한 이름을 갖게 됐어요. 특이한 점은 새벽이슬을 머금고 피어나 오후가 되면 꽃이 오므라들고, 해 질 무렵 생을 다하며 떨어지는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두루미, 초보 아빠 두일이 피가 나도 알을 품던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수락하셨고, 저녁까지 청주동물원에 도착하겠다고 답하셨답니다. 2016년 4월 28일 오후 7시두일이의 부리를 붙이다! 조규만 선생님은 동물원에 도착하자마자 두일이의 부리 상태를 확인하고 처치 방법을 계획하셨어요. 본시멘트를 사용해 부러진 부리를 붙이기로 했지요. 본시멘트는 ... ...
- [시사과학] 올해도 불가마 더위 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요약하면 작년보다는 덥고, 2018년보다는 덜 더울 것으로 예상해요. 이러한 무더위는 7월 말에서 8월 중순에 절정을 보이다 점차 누그러질 것으로 보고 있어요. 작년보다 더워! 2018년 정돈 아냐. 왜? 2018년 당시 우리나라 대기 상층에는 티베트에서 발달한 뜨겁고 건조한 고기압이 자리하고 있었어요. ... ...
- [이달의 과학사] 펜지어스와 윌슨, ‘우주배경복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팀원들에게 “여러분, 우리가 한발 늦었습니다”고 말했다고 해요.이 발견은 1965년 7월 논문으로 발표되었어요. 이후 펜지어스와 윌슨은 빅뱅의 증거를 발견한 공로로 1978년 노벨 물리학상까지 받았어요. 잡음을 없애기 위한 펜지어스와 윌슨의 끊임없는 노력이 커다란 발견을 일궈낸 것이죠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