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
사고
사변
사태
업무
일거리
비상상태
뉴스
"
사건
"(으)로 총 2,009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⑭ 유방의 수수께끼
2017.08.12
논란이 많다. - Sadat Shami 제공 ● 뇌의 진화와 유방 인류 진화사의 가장 중요한 두
사건
을 꼽는다면, 바로 직립보행과 대뇌화입니다. 두 발로 걷는 인간은 엄청나게 큰 뇌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두 가지 적응 사이에서 충돌이 일어났습니다. 직립보행을 하려면 골반이 작아야 합니다. 그런데 큰 ... ...
[종합] 박기영 과기혁신본부장 사퇴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이야기 나눴던 2000년 경 장면이 15년도 넘은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납니다. 논문 조작
사건
이 벌어진 이후 진행된 검찰 수사 과정에서 저를 비롯한 저희 실험실 학생구성원과 연구진 모두가 참고인 신분으로 검찰에 소환되어 조사를 받았으나 연구진행과 연구비 사용에 문제가 없었습니다. 이번 ... ...
시민단체-학계는 ‘박기영 과기혁신본부장 사퇴 요구’… ‘과학 단체’들은 ‘함구’
2017.08.11
● “미래는 젊은이들의 몫”…과학계 원로들도 입 ‘꾹’ 한편 과학계 원로들도 이번
사건
에 대해 입을 닫았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11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새롭게 도입되는 과학기술혁신본부에 바란다!’는 주제로 제 114회 한림원탁토론회를 개최했다. 통합적 과학기술정책기구, ... ...
[기자의 눈] 황우석 사태를 덮을 만한 박기영 본부장의 ‘공’은 무엇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박 본부장 한 사람이 이룬 것인가. 그리고 건국이래 최대 망신을 당한 ‘황우석 사기
사건
’을 덮을 만한 공을 세운 사람이 당시 정부에 있었나 의문이다. 박 본부장은 간담회에서 “연구 개발의 의사 결정 구조에 국민의 뜻이 반영될 수 있도록 과학기술정책에 국민들의 참여를 확대하겠다. 연구 ... ...
박기영 본부장, 과학기술계 사퇴 압박에도 버티기…자격논란 확산될 듯
동아사이언스
l
2017.08.10
별도의 징계나 사과 없이 직위만 내려놓고 순천대 교수로 돌아갔다. 심지어는 논문 조작
사건
이 일어난 뒤에는 황 박사의 연구가 실패한 탓을 김선종 연구원에게 돌리며 황 박사를 두둔하기도 했다. 박 본부장은 “2004년 사이언스에 논문 공저자로 올라갔던 일은 당시 신중하게 생각하지 못했기 ... ...
靑 “박기영 과기본부장 거취 심각하게 고민”
동아사이언스
l
2017.08.10
임명을 두고 내부적으로 들끓었다. 2005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줄기세포 논문 조작
사건
당시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이었던 박 본부장은 20조 원의 과학계 예산을 관할하는 요직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한 여당 의원은 “과학계에서 한목소리로 반대하는 박 본부장의 과오를 알고도 ... ...
과기정통부, ‘과학기술 50년사’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7.08.08
2편 △과학기술 정책과 행정의 변천 그리고 국내 기술 개발의 주요 성과 및 역사적
사건
을 기록한 3편 △과학기술 분야별 발전으로 구성됐다. 과학기술사는 20년사를 시작으로 10년 주기로 제작되고 있다. 편찬위원장을 맡은 이장무 KAIST 이사장은 “역사는 과거의 기록이지만, 미래를 설계하는 가장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비율이 높은 분자이기 때문에 이런 짓을 했다(1%만 넣어도 단백질 함량이 4% 올라간다).
사건
이 터지고 5년이 지난 2013년 학술지 ‘사이언스 병진의학’에는 멜라민 분유가 신장결석을 일으키는 과정에 장내미생물이 관여한다는 사실을 밝힌 논문이 실렸다. 클렙시엘라(Klebsiella)속 장내미생물이 ... ...
과기혁신본부장에 박기영 전 정보과학기술보좌관…과기계, “‘황우석 사태’ 주역” 반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8.07
세간의 주목을 받았으나 결국 조작으로 판명됐다. 박 신임 본부장은 황우석
사건
과 관련해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황우석 박사로부터 연구비 2억5000만 원을 받았고 논문에 공동연구자로 이름도 올렸지만, 실험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황우석 사태를 조사한 서울대 조사위원회 역시 ‘박 ... ...
[이슈&트렌드]‘규제’를 규제해야 과학이 산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07
유전자 치료에 우리가 민감해진 배경에는 2005년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논문 조작
사건
이 있다. 당시 황 전 교수 팀은 인간의 난자를 그대로 실험에 사용하는 등 무리한 방식으로 적잖은 지탄을 받았고, 이 영향으로 관련 법이 엄격해졌다고 보는 견해가 많다. 그러나 경쟁 국가들은 오래전부터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