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학
유전
유전자공학
뉴스
"
유전공학
"(으)로 총 1,396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바이오융합기술 세계 최고 석학 루크 리 UC버클리 교수
2014.10.20
루크 리 미국 UC버클리 생명공학과 교수.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루크 리(55·한국명 이평세) 미국 UC버클리 생명공학과 교수는 10년 동안 직장 생활을 하다가 뒤늦게 대학원에 진학해 39세에 교수로 임용된 ‘늦깎이 연구자’다. 하지만 교수 임용 5년 만에 테뉴어(tenure·정년 보장)를 받았고, 2011년 ... ...
헉! 전자기파 쪼이니 체세포가 줄기세포 되네
2014.10.06
좌우의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자기파가 가운데에 위치시킨 세포를 줄기세포로 바꾸는 과정을 돕는다. - 이우상 기자 idol@donga.com 제공 전자기파를 이용해 체세포를 줄기세포로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김종필 동국대 의생명공학과 교수팀은 전자기파를 이용해 유도만능줄기세포 ... ...
뇌 100% 쓰면 영화처럼 초능력자 될까
2014.09.12
영화 ‘루시’에서 여주인공 루시는 합성 마약의 힘으로 뇌를 100% 활용하며 다양한 ‘초능력’을 선보인다. - UPI코리아 제공 제공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몸속에 마약이 퍼진 주인공. 그녀는 이후 ‘초능력자’로 변신한다. 라디오 전파를 엿들어 정보를 빼내고, 갑자기 외국어(한국어)를 알아듣는가 ... ...
악명 높은 ‘프랑켄 푸드’가 식량난 해결할까
2014.08.31
교보문고 제공 ●크리에이션(애덤 러더퍼드 著, 중앙북스 刊) 브래드 피트가 인류와 가족을 구하기 위해 사투를 벌였던 영화 ‘월드 워 Z’에 과학자문위원으로 참여하기도 했던 영국의 유전학자이자 과학저널리스트인 애덤 러더퍼드의 신간이 나왔다. 책 제목은 다름 아닌 ‘크리에이션(창조) ... ...
우리집 아이의 성적인 질문, 어떻게 대답해 줄까
2014.08.10
사이언스북스 제공 ◆임신과 출산 (DK 임신과 출산 제작위원회 著, 사이언스북스 刊) 어린아이들이 성적인 질문을 하는 건 순수한 과학적 호기심 때문이다. 이 문제에 대해 어린시절부터 제대로 된 정보를 차근차근 알기 쉽게 설명해 주는 부모는 많지 않다. 알기쉬운 그림책이라도 보여주면 좋겠 ... ...
자신이 가장 똑똑한 사람일 필요는 없다
과학동아
l
2014.07.27
왓슨의 이중나선 - 작은길 제공 ◆왓슨의 이중나선 (박승호 외 著, 작은길 刊) 생명공학을 공부한 독자라면 누구나 들어봤을 법한 이름이 있다. DNA의 구조가 이중나선이라는 사실을 밝힌 왓슨과 크릭이다. 그리고 조금만 더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들어봤을 이름들이 또 있다. 모리스 윌킨스, ... ...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장에 김운봉 박사
과학동아
l
2014.07.22
김운봉 신임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장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한국생명공학연구원(생명연)은 신임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장으로 김운봉 전 미국 UC데이비스 유전체 생명정보 연구센터장을 임명했다고 22일 밝혔다. 생명연은 해외 생명자원 전문가인 김운봉 센터장을 영입해 첨 ... ...
“바이오전략위원회 신설해야”
과학동아
l
2014.07.18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17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제11차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서는 바이오 정책을 총괄하는 ‘바이오전략위원회’의 설립 필요성이 제기됐다. - 청와대사진기자단 제공 개인 유전정보를 이용해 맞춤 치료를 하고 동식물 등의 유전정보를 ... ...
‘RNA 막’으로 항암제 전달한다
과학동아
l
2014.07.14
국내 연구진이 RNA를 엮어서 필름처럼 얇은 막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사진 속의 막은 관찰이 쉽도록 염색약으로 붉게 염색한 것이다. - 서울시립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생체 고분자 물질인 ‘리보핵산(RNA)’을 엮어서 손톱 크기의 얇은 막을 만드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이종범 서울 ... ...
‘초록 기름’ 넣고 전투기 띄운다
과학동아
l
2014.07.11
양지원 KAIST 교수가 연구원과 함께 미세조류 배양 방법을 논의하고 있다(위). 연구진은 미세조류에서 기름을 채집한 뒤 이를 항공유로 바꿔 한국형 전투기인 FA-50의 연료로 사용하는 방안을 공군과 논의 중이다. 첫 비행은 이르면 내년 여름 진행될 예정이다. -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한국 토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