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학술"(으)로 총 14,3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난치병 고치는 새 치료 전략…빛으로 신경·면역 조절동아사이언스 l2024.12.27
- 디지털 의료기술을 융합한 '디지털 광의약 플랫폼'을 제시하고 연구결과를 2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즈'에 공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인간의 신경계와 면역계는 밀접하게 연결돼 자가면역질환, 신경퇴행성 질환, 암 등 난치성 질환의 발병과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 ...
- 12분 만에 완충 가능 '차세대 리튬-황 전지'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12.27
- 밝혔다. 유정훈 석박사통합과정생과 이병준 연구원이 참여한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ACS 나노'에 게재됐다. https://pubs.acs.org/doi/10.1021/acsnano.4c0989 ... ...
- 2형 당뇨 예측 AI 임상 착수…10년 전 위험 식별동아사이언스 l2024.12.27
- 당뇨병 환자는 8억명이다. 세계 인구 10명 중 1명도 당뇨병 환자인 셈이다. 지난해 국제학술지 ‘랜싯’에 실린 미국 워싱턴대의 연구에서는 2050년 당뇨 인구가 13억명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혈당 수치를 제대로 조절하지 않거나 방치하면 실명, 신부전, 심장마비, 뇌졸중, 발 절단 등 다양한 ... ...
- [동물do감] 표범의 포효 소리, 개체마다 다르다동아사이언스 l2024.12.26
- 3.1%의 정확도로 표범을 식별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22일 영국 런던동물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생태학 및 보존 원격탐사(Remote Sensing in Ecology and Conservation)'에 실었다. 연구진은 탄자니아의 니에레레 국립공원 내 450km2 면적의 지역에서 도로와 산책로를 따라 줄 서 있는 나무에 50쌍의 카메라를 ... ...
- 만성 장 질환 환자 '희소식'…손상된 장 재생시키는 단백질 발견동아사이언스 l2024.12.26
- 재생줄기세포, 장 줄기세포의 상호작용을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2일 국제학술지 '디벨롭먼탈 셀'에 공개됐다. 최근 손상된 장 재생 과정에서 재생줄기세포(Revival stem cell)라는 새로운 줄기세포의 존재가 밝혀지며 과학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장 내피세포에서 생성된 재생줄기세포는 ... ...
- 루닛 "AI솔루션, 응급실 응급환자 분류시간 77% 단축"동아사이언스 l2024.12.26
- CXR'을 활용하면 환자 분류에 소요되는 시간이 77%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최근 국제학술지 ‘유럽 영상의학저널’에 게재됐다고 26일 밝혔다. 싱가포르 창이종합병원 연구팀이 실시한 해당 연구에선 2023년 8월부터 12월까지 이 병원 응급실에서 촬영한 총 2만944건의 흉부 엑스레이 영상을 루닛 AI ... ...
- 배터리 화재 줄이고 수명 늘리는 삼중층 고체전해질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12.26
- 삼중층 고체 전해질 리튬금속 배터리를 개발한 김재현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책임연구원(뒷줄 오른쪽) 연구팀. D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새로운 복합고분자 고체 전해 ... 고 전했다. - doi.org/10.1002/smll.202406200 DGIST 연구팀의 성과가 실린 국제학술지 '스몰'의 속표지. DGIST ... ...
- 천진우 IBS 단장, 美 화학회지 부편집장에 선정동아사이언스 l2024.12.26
- 미국 일리노이대 동문상, 훔볼트 연구상도 받았다. 천 단장은 "화학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의 편집장으로 선정되어 매우 기쁘다"며 "국내 우수 연구자들이 국제무대로 진출하는 데 기여하겠다"고 전했다 ... ...
- 질병청, R&D 예산 전년대비 25.1% 증가…감염병, 미래의료 투자 확대동아사이언스 l2024.12.26
- 원, 만성병 311억 원, 연구기반 53억 원 순으로 투자된다. 2025년도 국립보건연구원 신규 학술연구용역사업의 공고는 2025년 1월 중 이뤄질 예정이다. 감염병 27건, 미래의료 26건, 만성병 17건 등 총 90개 신규과제가 공고된다. 자세한 공고 사항은 국립보건연구원 누리집(www.nih.go.kr)에서 확인하면 된다. ... ...
- 연말연시 잦은 술, 안주 안 먹어도 살 찐다동아사이언스 l2024.12.25
- 양의 음주는 존재하지 않는다. 지난 7월 캐나다 빅토리아대 약물사용연구소가 국제학술지 ‘알코올 및 약물 연구 저널’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적당량의 음주가 건강에 좋다는 연구들은 실험 설계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다. 건강상 문제로 술을 끊은 사례, 금주 기간 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 ...
이전124125126127128129130131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