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환
교환
전향
전도
변경
전화
스페셜
"
전환
"(으)로 총 1,29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물]영화 탄생의 숨은 공로자, 마이브리지
KISTI
l
2013.05.02
1892년 사진용품 회사 이스트먼 코닥(Eastman Kodak)을 설립하면서 동영상 기술은 다시 한 번
전환
기를 맞이한다. 원반을 이용한 주프락시스코프는 몇 초 동안의 움직임만 보여줄 수 있었지만, 롤 형태의 이스트먼 방식을 사용하면 몇 십 분짜리 영상을 촬영하고 재생하는 일이 가능했다. 영화라는 장르가 ... ...
나노입자 기반의 신개념 슈퍼렌즈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줄이려는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산란광들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방식으로 발상의
전환
을 통해 값싸고 응용성이 높은 초고해상도 이미징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공동 제1저자인 KAIST 박정훈 학생과 박충현 박사는 “산란을 이용해 빛을 제어하여 초고해상도 초점을 형성한 것으로 나노광학 ... ...
“생명공학 산업화, 포스코·삼성같은 일류기업 나서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한다"며 "기술력을 확보하는데 만족하지 말고 기술을 매출로 이어가는 인식의
전환
이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국내 바이오기업들은 제품화까지의 시간과 비용이 많이 필요한 바이오산업의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고 연구개발에 뛰어들었기 때문에 가능성 있는 원천기술을 개발하면 초기에 외부에 ... ...
ETRI, 스마트TVㆍ방송장비 보고서 2종 발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관심사는 멀티 플랫폼에서의 콘텐츠 전송이었으나 장비 투자 관점에서는 아직도 HD로의
전환
과 워크 플로우의 개선이 가장 주요한 분야로 나타났다. 또 글로벌 장비업체들도 기존에는 방송전용 장비를 주로 사용했는데 서버나 SW등 범용 IT장비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고 밝히며 앞으로 이러한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연구 인력이 수요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국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기초 연구 인력으로
전환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 하지만 박 원장은 생명공학 안에서도 한쪽으로 치우치는 쏠림 현상은 경계했다. 그는 “기초 생물학 연구 인력이 최근 눈에 띄게 줄었다”며 “머지않아 국내에서 식물 분류나 ... ...
광합성의 양자생물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엽록체가 빛에너지를 모아 전기에너지로
전환
하는 효율은 95%가 넘는데, 이는 화학의 관점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엽록체에는 엽록소 분자들이 모여 깔때기 같은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마치 빗물을 받듯이 깔때기에 배열한 엽록소에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8킬로톤에 해당한다! 즉 500킬로톤이라는 값은 유성체의 운동에너지 전부가 폭발에너지로
전환
됐다고 가정한 것이다. 그리고 히로시마 원폭의 에너지는 TNT 16킬로톤에 해당하므로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에너지가 된다. 이번 유성체 폭발 과정에서 일부 잔해가 남아 수많은 운석으로 떨어진 것으로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이 현상에 ‘형질
전환
(transduction)’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1959년 레더버그는 접합과 형질
전환
발견의 공로로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았다. 1959년 록펠러대학에 자리를 잡은 진더는 박테리오파지 연구에 몰두했고 1961년 RNA를 게놈으로 갖는 박테리오파지 f2와 DNA 단일가닥 게놈인 박테리오파지 f1을 ... ...
쓰임새를 바꿔라 :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된 농기계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4.23
알고 난 뒤 목판 인쇄로 방향을 바꾸었다. 목판 인쇄보다 개량된 방법을 찾다가 발상의
전환
을 통한 목활자 인쇄를 시도했지만 이 역시 문제점이 많았다. 구텐베르크는 목활자 인쇄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으려 노력했고 결국 성공했다. 그가 잘 알고 있는 금속으로 만든 금속활자 ... ...
“대한민국 이종이식 연구, 9년 간의 성과를 공개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3.13
이종이식에 필요한 과제를 나눠 연구하고 있다. 바이오신약장기사업단은 이식용 형질
전환
무균돼지 생산과 이식용 면역억제제를 개발하고, 바이오이종장기개발사업단은 이런 신규면역억제제를 기존의 면역억제제와 어떻게 혼합해서 쓰는 게 좋은지 연구하는 부분을 담당한다. 정 교수는 “다른 ... ...
이전
124
125
126
127
128
129
1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