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20,71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휘어진 시공간’은 어떻게 증명한 걸까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지붕에서 떨어지는 사람은 중력을 느낄 수 없다.’ 일반상대성이론의 출발점이 된 아인슈타인의 유명한 사고실험이다. 그는 중력효과와 가속도효과를 구분할 수 없으므로 중력과 가속도는 같다고 생각했다(등가원리). 이런 좋은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으면서도 아인슈타인은 어떻게 중력을 이론 ... ...
- INTRO. 3D 프린터, 혁명을 출력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1만 년 남짓한 인류의 문명사에는 훗날 혁명이라 불린 순간이 있었다. 농업혁명, 상업혁명, 산업혁명 등. 그 중 활자와 컴퓨터의 발명은 인류가 폭발적인 속도로 지식을 공유하게 된 ‘지식혁명’이었다. 오늘날 인류는 비슷한 혁명의 소용돌이 안에 있다. 커다란 기계가 돌아가는 공장이 아닌, 누구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나이가 얼마 되지 않아 쉽게 포기가 안되네요.’ 안타까운 사연에 수많은 응원 댓글이 달렸다. 3D 프린터용 소프트웨어를 만들면서 취미로 직접 제작도 하던 이 대표는 도움을 주기로 마음먹었다. “제가 아는 지식을 총동원하면 만들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제가 제일 못하는 모델링은 다른 분의 ... ...
-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님 중에는 멘붕에 빠진 학생들을 위해 수업 마치기 5분 전에 한글로 수업 내용을 요약해주는 분도 있었다.하지만 달라졌다. 순도 100% 영어강의였다. 교수 강의와 학생 발표는 물론이고, 수업 전 공지사항과 중간 질의응답, 농담도 모조리 영어였다. 갑작스런 질문에도 곧장 ... ...
- [손바닥 인터뷰] ‘셀프 디스’는 계속돼야 한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게다가 송 작가는 개봉을 며칠 앞두고 자신의 SNS 계정에 “개봉을 반기지 않는다”는 글을 남겼다. 어찌 된 영문일까. 그에게 ‘셀프 디스(스스로 자신을 부정하는 행위)’의 이유를 전화로 물었다. Q 위성을 쏘게 된 계기부터 말씀해주세요.A 특별히 인공위성이 좋아서 쏜 것은 아닙니다. 처음에 ... ...
- [과학뉴스] 황우석․미탈리포프, 중국과 손잡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2월 9일,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가 “세계적인 줄기세포 학자인 미국 오리건대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교수, 중국 줄기세포 회사인 ‘보야라이프’와 공동연구를 한다”고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발표했다. 미탈리포프 교수는 배아줄기세포 복제를 2007년 세계 최초로 성공한 인물이다. 하지만 ... ...
- [과학뉴스] 4만 년 전 인류, 예술로 소통해요~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지난해 ‘사이언스’ 선정 10대 과학뉴스로 이름을 올린 소식 중에 예술 분야가 있다. 인도네시아에서 발견된 동굴벽화의 연대를 새로 측정했는데, 지금껏 ‘예술의 발상지’로 알려져 있던 유럽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앞선 것으로 나왔다. 유럽과 동남아시아인들이 비행기를 타거나 SNS로 교류했 ... ...
- [과학뉴스] “여기는 탐사선 던, 소행성 세레스 14만 km까지 접근 중”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소행성대 최대의 천체이자 유일한 왜행성인 ‘세레스(지름 950km)’가 처음으로 얼굴을 드러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월 4일, 미국의 소행성 탐사선 던(Dawn)이 세레스에 14만km까지 접근해 찍은 영상을 공개했다. 지금까지 얻은 가장 선명한 영상으로 크레이터가 보이기 시작했다. 던은 2007년 9월 ...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예술이란 무엇일까. 손을 이용해 의도적으로 대상에 흔적을 남기는 것을 예술의 정의라고 한다면, 자연이 만든 돌멩이인 이 작품은 결코 예술의 범주에 들지 못할 것이다. 하지만 만약 인류가 ‘미’를 인식하고 의식적으로 그것을 수집했다면?남아프리카공화국 마카판스가트 지역의 300만 년 전 지 ... ...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외계행성은 천문학에서 아주 핫한 분야다. 네이처와 사이언스를 비롯해 주요 학술지에도 관련 논문이 자주 올라온다. 외계행성은 태양이 아닌 다른별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을 말한다(당연히 태양계 바깥에 있다). 우리은하에만 수십억 개의 외계행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측된다.그런데 슈나이더 ... ...
이전1287128812891290129112921293129412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