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658건 검색되었습니다.
[블랙홀 첫 관측]천문연·서울대·연세대 등 국내 연구자 8명도 참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 레터스’ 10일 특별판에
발표
됐다. 총 6편의 논문이
발표
됐으며 EHT 공동 연구팀에는 아프리카, 아시아, 유럽, 북미와 남미로부터 모인 200명이 넘는 연구자들이 소속돼 있다 ... ...
[블랙홀 첫 관측]우주의 검은 구멍 찾아 한 세기, 주목할 도전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하는데 이때 발생하는 시공간의 일렁임이 중력파다. 아인슈타인은 일반상대성이론을
발표
하면서 중력파의 존재 또한 예측했으나 100년 만에야 그 존재가 드러났다. 인류는 블랙홀의 이론과 증거를 1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모아왔다. 하지만 이번 연구처럼 사건의 지평선이 드러날 정도로 관측한 ... ...
[블랙홀 첫 관측]블랙홀이란 무엇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ESO)가 10일 오후 10시 ‘사건의 지평선 망원경(EHT)’ 프로젝트의 첫 관측 결과를
발표
했다. 천재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 1915년 일반상대성이론에서 빛에 중력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예고하며 블랙홀의 존재 가능성을 보인 지 100년이 넘어서야 첫 이미지가 공개되는 것이다. 블랙홀은 ... ...
[블랙홀 첫 관측]실루엣 드러낸 ‘블랙홀’ 우주 진화 설명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상상도. 미국항공우주국 제공 특히 이번 관측은 2015년 처음으로 검출돼 2016년 공식
발표
된 중력파와 함께 우주의 수수께끼를 풀어줄 또다른 열쇠가 될 전망이다. 사건지평선이 단일 블랙홀의 크기를 알아내는 수단이라면, 중력파는 중성자별이 병합하거나 블랙홀끼리 병합하는 과정에서 중력이 ... ...
[블랙홀 첫 관측] 천재물리학자의 방정식부터 중력파까지104년史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충돌로 생성되는 미세한 시공간의 일렁임인 ‘중력파’ 검출에도 성공하면서(최초
발표
는 2016년), 이제는 전자기파가 아닌 새로운 매체를 활용한 블랙홀 연구가 탄력을 받게 됐다. 최근에는 초대질량블랙홀도 많이 발견되고 있다. 이번 EHT 연구에서 관측한 것도 초대질량블랙홀이다. 태양보다 ... ...
[데이터]블랙홀 포착에 나선 전세계 전파망원경들
2019.04.10
대만 타이페이 등 세계 여섯 곳에서 EHT 프로젝트의 ‘놀라운(groundbreaking) 결과’를
발표
하기 위한 기자회견을 열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를 위해 EHT는 전세계에 흩어진 전파망원경 또는 전파망원경 여러 개를 연결해 ‘간섭계’라는 더 큰 전파망원경으로 활용하는 전파망원경 ... ...
美 "2024년까지 달에 우주인 보낸다" 공식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미국항공우주국(NASA)는 2024년까지 미국 우주인을 달에 보내는 계획을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NASA 제공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미국 우주인을 2024년까지 달에 다시 보내라는 트럼프 행정부의 주문을 받아들인다며 자세한 계획을 공개했다. 민간과 협력해 달 궤도 정거장을 건설하고 이를 전초기지 삼 ... ...
암세포 '신분증' 바꿔치기 해 암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알아내, 지난달 2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
했다. 모든 세포들은 50~150nm 정도 크기의 작은 소포체(엑소좀)를 분비한다. 엑소좀은 세포의 성질과 상태에 따라 안에 들어 있는 성분이 다르다. 즉 엑소좀을 보면 그 세포의 정체를 알 수 있다. 특히 ... ...
연구용원자로·중성자 국제 전문가 한 자리에 모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일본 등 세계 16개국 300여 명의 전문가가 참석해 총 125건의 구두
발표
와 25건의 포스터
발표
를 할 예정이다. 또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워크숍도 동시에 개최돼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연구로 현황을 공유하고 국가간 협력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하나로는 한국에서 자력으로 1985~1995년에 제작한 ... ...
김치 ‘매운맛’ 정도, 분자 수준에서 구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등급화가 정밀하게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지난 3월 농림축산식품부가
발표
하 ‘김치산업 육성 방안’ 중 ‘김치 맛·품질 표시제 도입’을 추진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재호 세계김치연구소 소장은 “이번에 개발한 기술로 상품김치 매운맛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 ...
이전
1295
1296
1297
1298
1299
1300
1301
1302
13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