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4,44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09
빨리 과학을 발전시켜야겠다는 생각이 든단다. 그런데 과학 기초는 산학이라지? 정확히
셈
을 할 줄 알아야 발명품도 만들고 역법도 발전시킬 수 있다더구나. 집을 짓거나 탑 하나를 세우는 일에도 정밀한 계산이 필요하고, 악기를 만드는 데에도 산학이 필요하지. 그러고 보니 세상엔 산학이 ... ...
“10년 후, 로봇이 한반도 지킨다”
과학동아
l
201009
사람이 직접 무선으로 로봇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일종의 ‘반자동’ 제어 시스템인
셈
이다.ADD는 여러 대의 차량형 로봇을 통제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전투 지역으로 1대 이상의 지휘통제 차량을 보내 여러 대의 로봇을 모두 조작하는 것이다. 벌써 실용화 단계까지 이르고 있다 ... ...
덩치 큰 슈퍼컴퓨터, 소프트웨어로 다이어트하다
과학동아
l
201009
노드를 골라 하나의 실제 기계로 몰아넣고 일을 한다. 실제 일을 하는 기계는 하나인
셈
이다. 할당받지 않은 실제 기계들은 저전력 상태로 두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반대로 시스템이 바빠지면 가장 일이 많은 가상 노드부터 실제 기계로 옮겨 실행시킨다. 잠시 작동을 멈춰야할 때도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09
열대우림이 ‘핫 스폿’이지만 해양에서는 열대바다보다 중위도 바다가 ‘핫 폿’인
셈
이다. 이런 결과는 해양생물 다양성이 바다 표면 온도와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는 점을 알려준다.심해저 생물과 미생물 포함하면 수백만 종 훌쩍“과학자들이 200만 개의 생물종을 밝혀냈지만 이는 전체 생물 ... ...
1992년 사무엘 웨이스 박사의 성체 신경세포 생성 발견
과학동아
l
201009
〃어른의 뇌에서는 신경세포(뉴런)가 죽어갈 뿐 새로 만들어지지는 않는다.〃지금까지도 상당수 사람들이 믿고 있는 이 도그마는 19세기 신경해부학자들의 관찰 결과를 토대로 한다. ... 100년 된 도그마를 무너뜨렸을 뿐 아니라 미래 인류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데 초석이 된
셈
이다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09
도출하는 방법을 생각해야 했으며, 정답을 내야 했다. 물고기를 잡는 방법을 혼자 터득한
셈
이다.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은 당연했다. 박사 과정 초반에는 연구 성과도 적었다. 성공한 결과보다는 시행착오가 많았기 때문이다. 그는 교수가 되고나서야 라이프 교수의 교육 방식이 얼마나 중요한지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
과학동아
l
201009
발아할 경우 식물체가 겨울에 얼어 죽기 때문에 겨울을 난 뒤에 싹을 틔우기 위한 전략인
셈
이죠. 이런 현상이 씨앗의 휴면입니다. 그렇다면 깽깽이풀 씨앗의 이중 휴면이란 어떤 현상일까요.특이하게도 깽깽이풀의 씨앗은 겨울로 착각하게 하는 저온처리만으로는 발아를 잘 하지 않습니다. 이에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09
물감층이 더 두껍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여러 색깔을 여러 번 덧칠해 어두운 느낌을 살린
셈
이다.연구팀은 모나리자를 그린 포플러 나무 화판에도 주목했다. 화판의 정확한 크기는 가로 53.4cm, 세로79.4cm였으며 두께는 약 1.4cm였는데, 모나리자의 머리 위로 11.9cm나 되는 균열이 발견됐다. 그들은 화판이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09
전해진다. 나트륨이 아닌 물질이 나트륨처럼 맛 경로를 이용해 짠맛을 느끼게 하는
셈
이다. 짠맛 조절물질이 들어 있는 음식을 먹은 사람은 소금을 넣지 않았는데도 짭짤한 맛을 느끼게 된다.KFRI-LHe은 현재 가루 형태로 개발됐다. 눈으로 보기에는 조미료처럼 연한 갈색을 띄는 가루처럼 보인다.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09
증명했다. 폴 박사가 만든 광학기기는 바로 현미경이었다. 렌즈 대신 바늘을 꽂은
셈
이다. 빛에 바늘을 가져가면 왜 빛이 빠져나올까. 또 갇혀 있던 빛에는 어떤 정보가 담겨 있을까.근접장에 닿는 순간 나노 바늘은 ‘움찔’“비밀은 빛을 머금은 나노입자 주변에만 존재하는 근접장(near-field)에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