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인간은 왜 늙는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노화 혁명’, ‘당신의 백년을 설계하라’등 노화전문서적을 집필했다. + 더 읽을거리1) doi:10.1038/270301a02) doi:10.1093/geronj/11.3.2983) doi:10.1126/science.11304814) doi:10.1038/310154a05) doi:10.1016/0014-4827(61)90192-66) d ...
- [가상인터뷰] 오줌으로 대화하는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밝혀냈답니다.아직 해양생물들의 오줌에 대해 밝혀지지 않은 사실들이 많아요. 연구할 거리가 남았다는 박사님들을 도와 주러 이만 가봐야 할 것 같아요. 안녕~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엄치나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꼬리 달린 별, 혜성!밤하늘에 긴 꼬리를 휘날리며 나타났다 이내 사라지는 별은 혜성이에요. 평소엔 먼지와 가스, 얼음이 뭉쳐진 상태로 우주를 유유히 떠다니 ... “하아…, 그나저나 누구를 멤버로 영입하지?”그때였어요. 어두운 숲 사이로 바스락 거리는 소리가 들렸어요.“거기 누구야 ... ...
- [Future] 아동학대수사, 로봇이 도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있다”며 “아직 교육 내용도 표준화돼 있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 더 읽을거리Zachary Henkel et al. ‘A Robot Forensic Interviewer - The BAD, the GOOD, and the Undiscovered’ (doi:10.1145/3029798.3034783)Cindy Bethel et al ...
- [Issue] 지금, 당신의 머리 위로 우주가 내린다 우주먼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극지연구소가 함께하는 우주먼지 헌터 프로젝트를 통해서 할 수 있다. +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별과 생명의 씨앗 우주먼지’(2011.9)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109N03 ... ...
- [Origin] 모든 선택을 설명하는 이상한 수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데 적용되는지 이제 알게 됐습니다.” 자, 이 이야기는 다음 달에 해보자. + 더 읽을거리Harman, O. (2010). The price of altruism: George Price and the search for the origins of kindness. W. W. Norton & Company, New York, N. Y. (p. ...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않았다.평균 나이 89세의 사진 촬영기!순창읍에서의 촬영이 끝나고 차로 한 시간 정도 거리에 있는 복흥면을 찾았다. 사실 촬영이 가능한 어르신을 섭외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다. 많은 우여곡절 끝에 복흥면에서는 세 분을 섭외할 수 있었지만, 이대로 촬영을 하기엔 조금 아쉬웠다. “한 분만 더 ...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중이다. 현재 혈액 속 miRNA가 근육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 더 읽을거리1) doi:10.1101/gad.263574.1152) doi:10.1016/j.cell.2008.06.0513) doi:10.1016/j.cmet.2011.03.020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국인은 어쩌다 장수의 민족이 됐을까Intro.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알고 나면 매력이 두 배! 야구의 모든 것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받아요. 타자를 아웃시켜야 하므로 순발력이 좋아야 해요.●유격수 : 땅볼을 잡아 긴 거리를 던져야 해요. 상황 판단 능력이 필요하고, 몸놀림도 빨라야 하죠.●좌익수, 우익수 : 홈에 정확한 공을 보낼 수 있도록 팔과 어깨 힘이 필수예요.●중견수 : 중견수는 외야 중에 수비 범위가 가장 넓어서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평면 위의 두 정점에서의 거리의 차가 일정한 점들의 모임’을 말해요. 모양을 보면 세로로 서 있는 두개의 선이 안쪽으로 굽은 상태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지요. 이 선들이 ‘쌍곡선’으로 불리는 이유는 한자어를 보면 알 수 있어요.‘쌍(雙)’은 새를 뜻하는 ‘새 추(隹)’ 두 개와 오른손을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