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1억 원 우주관광 티켓의 비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실은 로켓을 발사한 뒤, 로켓을 바다에 버리지 않고 수직으로 다시 착륙시키는 방식을 고려 중이다. 지난해 10월 자사 로켓의 수직이륙 및 재착륙 실험에서 최고 높이 744m를 기록했다. 우주왕복선도 저렴하게 재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최기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 전기모터로 3초만에 시속 100km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레이스가 치러진다. FIA 측은 올해 처음 열리는 포뮬러 E를 홍보하기 위해 여러 이벤트를 고려하고 있다. 그 중 ‘Fan Boost’는 전기자동차의 특성을 잘 활용한 이벤트다. 관객의 표를 가장 많이 얻은 드라이버 3명은 전기모터의 제한된 출력을 뛰어넘을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는데, 마치 비디오 ... ...
- 사카린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물질이다. 사카린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식약처는 과학적 증거와 국민 정서를 모두 고려해서 식품첨가물의 사용을 허가한다. 확실한 근거도 없이 부당한 이익을 챙기기 위한 노이즈 마케팅이나 옐로 저널리즘의 황당한 주장보다는 식약처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신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충파 전술이 행해졌다면 판옥선이 충분히 세키부네를 깨뜨렸을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고려시대부터 적선에 충격을 줘 깨뜨리는 ‘당파(撞破)’전술이 있었는데, 임란 당시에는 판옥선과 거북선에 장착한 화포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당파 전술을 행했다. 즉 배와 배가 직접 부딪치는 일은 별로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방정식의 구조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영역을 상세히 공부하는 이론이다. 그런데 민코프스키 때는 간단한 종류의 영역만을 고려하던 것을 바르가바는 ‘산술군 이론’을 사용해 훨씬 복잡한 영역속의 이산수체계의 분포 검사를 성공했고, 그에 따라서 수의 기하학을 훨씬 더 강력한 수학적 도구로 발전시켰다.바르가바는 또 차수가 6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안녕, 나는 미래에서 온 ‘아토’라고 해요. 지금 여러분이 즐겨 쓰는 스마트폰 메신저의 미래 버전이라 볼 수 있죠. 나는 훨씬 더 발달된 기능을 포함하고 있어요. 예를 들어 지금처럼 과거로 돌아가 메시지를 보낼 수 있고, 내 모습도 마음대로 바꿀 수 있어요. 그런데 나를 만나려면 꼭 알아야 ... ...
-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증언해 주고 있다.조선시대 초기의 수학(당시로는 산학)이 중요하게 인식된 이유로는 고려가 멸망한 이유 중 하나인 문란한 농지측량 제도를 꼽을 수 있다. 이를 바로잡기 위해 조선 초부터 임금들은 각별한 정성을 쏟았다. 특히 조선의 4대 임금인 세종은 나라의 정책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과학과 ...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수학동아 l2014년 08호
- 직책을 담당해온 하나은행 유시완 본부장에게 ‘수학’에 대해 물었다. 유시완 본부장은 고려대 수학과를 졸업했고, 현재 하나은행 최고정보책임자(CIO)를 담당하고 있다.“저는 순수학문인 수학을 전공했지만, 누구보다 빨리 취업을 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전산학을 더 공부했어요. 저는 전문 ... ...
- ❶ 행성의 타원궤도 - 뉴턴 미적분, 죽은 케플러를 춤추게 하다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실제 우주는 좀더 복잡하다. 예를 들어 지구의 궤도를 계산할 때 태양뿐 아니라 달도 고려해야 한다. 수학적으로 표현하면 ‘변수가 세 개 이상일 때 행성의 궤도는 어떻게 되는가’이다.이를 ‘3체 문제’라고 하는데, 뉴턴 이후 수백 년 동안 수많은 수학자들이 도전했다 실패한 난제 중의 난제다. ... ...
- 야구공 뇌는 어떻게 칠까?과학동아 l2014년 08호
- 아니니까요. 아무튼 이런 경우, 투수나 타자는 심판의 그날 스트라이크존도 사전 정보로 고려합니다. 스트라이크 존이 넓다면 투수는 좀더 편하게 밖으로 빠지는 공을 던지려 할 거고, 반대로 타자는 어지간한 공은 치려고 하거나 적어도 파울로 걷어내려 하겠죠. 그런데 개인에 따라 이런 적응을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