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나"(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 [2021 소미더뭐니] 최고의 흰 소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한우의 유전질환을 연구할 수도 있죠. Q 동물 복제 기술을 연구하며 어떤 점이 어려웠나요?최근 복제 기술보다는 수정란 이식 등 다른 기술을 개발하고 있어요. 수정란 이식이란 한 번에 우수한 송아지를 많이 낳기 위한 기술이에요. 튼튼한 암소가 난자를 많이 배란하도록 호르몬 주사를 놓고, ... ...
- [질문하면 답해줌!] 배가 고프면 왜 꼬르륵 소리가 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함께 들어 있는 소금과 활성탄은 산화반응을 빠르게 해 주는 촉매 역할을 한답니다.그러나 핫팩을 사용할 때에도 조심해야 해요. 50℃ 내외의 온도에 약 1시간 이상 노출되면 저온 화상을 입을 수 있거든요. 저온 화상을 예방하기 위해 장시간 같은 부위에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답니다 ... ...
-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개를 볼 때마다 반복적으로 이름을 들으면서 둘을 구별하게 되는 것처럼 말이지! 나는 이 방법으로 계속해서 더 똑똑해지고 있어~. 오늘은 내 공부법, 딥러닝을 소개할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함수로 완성한 AI의 두뇌, 딥러닝Part1.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인적도 없는 깊은 밤, 우주 저편에서 온 탐사 우주선들은 다시 평화가 찾아온 지구를 지나가다 이곳 근처를 지날 때마다 이 은하계 최강의 생명체를 향해 저마다의 방법으로 신실한 경의를 표하고 있다.-2021년, 시민의 숲에서. ... ...
- [과동키즈]아픔 앞에 평등한 동물병원을 꿈꾸며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단지 수의사를 구하지 못해 폐업 직전이라는 말에 원장직을 수락했고 지금에 이르렀다. 나의 최종 목표는 고가의 수술도 무료로 제공할 수 있을 정도로 동물병원의 문턱을 낮추는 것이다. 이것은 오직 수의사만이 해낼 수 있는 일일 것이다 ... ...
- 앨런 튜링의 일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그리고 드디어 이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완성했다. 컴퓨터와 대화를 나눌 때 컴퓨터인지 인간인지 구별할 수 없다면 컴퓨터가 인간처럼 생각한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지금은 어렵겠지만 50년 뒤에는 컴퓨터의 진짜 정체를 알아차릴 확률이 70% 이하인 기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와 함께하는 독서활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본책 52 쪽과 함께 보세요! 바로가기 지명 수배 중인 흉악범 삐뚤란을 찾아 도착하게 된 그렁그렁 행성! 마침 말캉 축제가 한창이야. 그런데 그렁그렁한 눈으로 나를 바라보는 그렁그렁 주민의 부탁을 도저히 거절할 수가 없어. 미션을 얼른 해결하고 삐뚤란을 찾자! ...
- [쇼킹 사이언스] 2000년간 보존된 인간의 뇌, 그 비결은 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배열이 변형되지 않았을 것”이라고 추정했어요.이처럼 자연에서 생명체의 유해나 그 일부가 유리처럼 변하는 일은 매우 드물어요. 이같은 사례는 제2차 세계대전 중 폭격에 의해 뜨거운 불길에 휩싸여 목숨을 잃었던 피해자의 유해에서 유리 물질이 발견된 이후 처음 있는 일이죠.연구에 참여한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분석하기가 쉽거든요.사과와 오렌지로 다시 돌아가면 두 과일의 색이나 모양 등을 나타내는 숫자 데이터들이 행렬 형태로, 다차원의 공간에 있습니다. 그런데 사과와 오렌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구분하기 위해서는 질문을 잘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동그란 형태인지 아닌지’라는 질문은 ... ...
- [매스크래프트] #14. 수학으로 표현한 사랑방정식, 나의 마음을 받아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값을 함수로 나타낸 거예요. x=siny에서 siny 전체에 절댓값을 씌웠기 때문에 x값은 양수만 나올 수 있어요. 다시 말해 x가 음수인 부분을 y축을 기준으로 선대칭 이동해 넘기면 숫자 3과 같은 모양이 되죠. 이렇게 만들어진 그래프에 -3을 곱해 방향과 크기를 바꿔주면 E와 같은 모양이 된답니다. 오늘은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