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키즈] 밤을 밝히는 전등이 모두를 공평히 비추길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대체 해외 봉사 제도인 한국국제협력단(KOICA·코이카) 국제협력요원에 합격해 활동을 시작했다. KOICA는 무상원조를 담당하는 외교부 산하 준정부기관이다. 당시 전기분야 봉사단원이었던 나는 네팔 카트만두대 전력전자 연구실에 2년간 파견됐다. 한국에서 전기는 마치 공기처럼 당연한 자원이다. ... ...
- [비룡소 X 어린이과학동아 장이권 교수의 탐험 일지] ‘바다의 방랑자’가 위험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클래스에서 장이권 교수님이 특별한 탐험 일지를 공개했어요! 탐험일지 강의가 시작되자 장이권 교수님은 바닷속에서 직접 촬영한 바다거북 영상을 독자들에게 보여줬어요. 바닷속 바위에 붙은 해초를 맛있게 먹는 모습이었죠. 그런데 요즘엔 해초를 마음껏 먹지 못하는 바다거북이 늘고 ... ...
- [특집] COP26 왜 숙제 검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COP26이 얼마나 중요한 회의이기에 전 세계 사람들이 영국까지 모인 걸까요? 또, 어떤 점에서 ‘숙제 검사’라 할 수 있는 걸까요? COP26 회의장 ... 분업화와 기계화가 이뤄지는 현상. 18~19세기 산업혁명 때 화석연료로 기계를 작동시키기 시작해, 이후 지구 평균 기온이 인류의 영향으로 올랐다 ... ...
- [방탈출 in 스페이스] 병원을 탈출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빛을 따라 갑작스레 시작됐던 우주 여행. 오랜 시간 우주에 머무른 탓에 혹시 건강에 이상이 생긴 건 아닐까 우려했는데 문제는 건강이 아니었다! 의료진은 동그리의 정체에 관심을 가지며, 이상한 연구실로 데려가는 게 아닌가?동그리를 쉽게 놔주지 않으려는 낌새를 눈치 챈 수연이는 동그리를 ... ...
- [통합과학 교과서] 사라진 공룡을 찾고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떨어졌습니다. 반경 1000km 안의 모든 생물은 흔적도 없이 사라져버렸지요. 이는 시작에 불과합니다. 충격으로 강한 지진과 해일이 발생했습니다. 충돌지점 중심부는 1만℃ 정도로 가열되었고, 이로 인해 녹은 암석이 전 세계에 흩어지며 대기를 뜨겁게 달구는 바람에 심각한 산불이 발생했지요. ... ...
- [특집] 외계인도 궁금한 알쏭달쏭 달력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로마 사람들은 오늘날의 3월을 1년의 시작으로 봤어요. 따뜻한 3월이 되면 농사를 시작하기 때문이었지요. 한 달이 31, 30일로 번갈아 나타나는 달력은 11월(지금의 1월)까지의 날짜 수가 336일이에요. 마지막 달(지금의 2월)이 29일이어야 12개월을 합치면 365일이 되지요. 그런데 로마 제국의 첫 황제 ... ...
- [이달의 식물사연] 겨울에 만나는 아카시아 꽃의 비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사계절전시온실에도 여러 종류의 아름다운 아카시아가 자라고 있다. 특히 한 해가 시작될 무렵 지중해온실에 들어서면 초입부터 풍성한 잎을 가진 아카시아가 방문객들을 반기며 노란 꽃을 피운다. 이 나무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온 아카시아 포달리리폴리아(Acacia podalyriifolia)다. 평상시에는 짙은 ... ...
- [엣지 사이언스] 윤리·데이터법 개정 물꼬 트나? 희귀질환 게놈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작지만, 한국인의 게놈을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2015년 UNIST와 울산시가 시작한 ‘게놈 코리아 프로젝트’다. 2016년 한국인 40명의 게놈 정보를 통합해 국민 표준 게놈 지도인 ‘코레프(KOREF)’를 완성했다. 분석 결과, 코레프에도 기존의 인간 참조 게놈 지도에는 존재하지 않는 영역이 ... ...
- 과학자가 만든 일품요리 집에서 즐기세요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풍미 때문에 특정 음식에 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사례도 적지 않습니다. 한번 굽기 시작하면 온 집안을 비린내로 물들이는 생선구이가 대표적입니다. 그렇기에 이런 재료를 HMR 제품으로 만들려면 불쾌한 풍미를 줄이는 전략이 필요합니다.이런 전략이 적용된 제품의 예가 바로 최근 출시되는 고등어, ... ...
- [작심삼일의 심리학] 보인다… 미래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바로가기 ☞ [작심삼일의 심리학] 우리는 왜 작심삼일을 반복할까? 2022년이 시작됐습니다. 기자는 1월 1일이 되면 빳빳하고 흰 종이 한 장을 꺼내 ‘책 20권 읽기’ ‘가족과 여행가기’ ‘5kg 감량’ 등의 새해 목표를 쓰곤 합니다. 지·덕·체를 모두 갖춘 자신을 떠올리며 벌써 뿌듯해하죠. 앗,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