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래"(으)로 총 5,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지구에서 가장 먼 거리에서 촬영한 사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찍은 것이고(위), 나머지 두 장은 카이퍼벨트에 위치한 두 개의 작은 천체를 찍은 것이다(아래). 이들 사진은 지구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지점에서 찍은 사진인 동시에 카이퍼벨트 천체를 가장 가까이서 찍은 사진이기도 하다. 이전까지 가장 먼 우주에서 찍은 사진은 태양계 탐사선 ‘보이저 1호’가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모양의 세포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난할구들끼리 다닥다닥 붙어버리기 때문입니다(아래 그림 1). 놀랍게도 난할구들이 팔을 뻗는 것처럼 세포막을 길게 뻗어 옆 세포를 끌어안는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doi: 10.1038/ncb2875 단단히 붙은 난할구들은 분열을 거듭하며 ‘상실배(morula)’가 됩니다.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시험 기간 금지 게임, 미니 메트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방사형 구조가 유리하지만, 도시가 커질수록 격자형이 좋다고 말합니다. 좌우와 위아래 방향의 노선이 격자 형태로 만나서 모든 승객이 1번만 환승하면 원하는 곳으로 갈 수 있도록 말이죠. 지하철역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불균형하게 분포하던 토지가 균형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큰 도시에서는 ...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않는다. 상대 선수가 왼쪽에서 달려와 내 휠체어와 부딪친다고 생각해보자. 휠체어는 아래 그림처럼 중심점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질량중심이 중심점에서 지면과 수직하는 직선을 벗어나지 않으면, 휠체어는 오뚜기처럼 제자리로 돌아온다. 무게중심이 낮고 아랫변이 긴 농구용 휠체어는 최대로 ... ...
- [과학뉴스] 위장술 갑(甲), 갑오징어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갑오징어의 위장은 시각 신호를 받고 뇌에서 전달한 신호가 피부 근육을 수축시켜 피부 아래에 색소포가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색이 바뀌는 과정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런데 실험 결과, 갑오징어의 외투막과 연결된 운동 신경을 차단한 뒤에도 갑오징어는 피부의 돌기를 바위처럼 바꾸는 위장술을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RNA는 DNA가 가진 정보를 바탕으로 단백질의 합성에 관여한다. DNA와 RNA의 구조와 기능은 아래 표로 정리했다. 유전 정보를 저장하는 DNA는 아데닌(A), 타이민(T), 구아닌(G), 사이토신(C) 등 네 가지 염기로 구성된다. 네 가지 염기는 이중나선 구조를 이루며 특정 염기들이 서로 결합(A와 T, G와 C)을 ... ...
- [교과연계수업] 대한민국 금메달! 스켈레톤! 최첨단 과학 장비, 봅슬레이, 루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맞게 교환할 수 있다. 무게 중심 : 강철을 넣어 무게중심을 아래에 뒀다. 무게중심이 아래에 있을수록 진동을 잘 이겨낼 수 있다. 안쪽 공간 : 선수들의 몸을 3D 스캔한 뒤, 그 모양에 알맞게 디자인했다. 1. 대상 : 동계올림픽의 썰매 삼총사 종목인 루지, 봅슬레이, 스켈레톤에 적용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타르스키 문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잘라서 정사각형을 만들 수 있을까요? 아래 그림과 같이 정삼각형을 4개 조각으로 잘라서 조립하면 가능합니다. 정삼각형을 다각형으로 확장하면 어떨까요? 평면에 넓이는 같지만 모양은 다른 두 다각형이 있을때 하나를 잘라서 다른 다각형으로 만들 수 있냐는 겁니다. 이 질문의 답은 놀랍게도 ... ...
- [Issue]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을 수립해 경제 발전을 견인했듯, 중국은 과학기술력이 곧 국가의 경쟁력이라는 판단 아래 과학기술 5개년 중장기 계획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현재는 2020년까지 추진되는 ‘과학기술 혁신 제13차 5개년 계획(13·5)’ 중에 있다. 13·5가 현재의 중장기 로드맵이라면, ‘인터넷 플러스’ ‘과기혁신 2 ... ...
- [Issue] 韓 ‘세계 혁신 국가 1위’ 의미는?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군대를 보내고, 더 나아가 수십, 아니 수백 배의 상대를 무찌를 수 있는 힘을 불어넣었다(아래 그래프). 대분기는 어떻게, 왜 발생했을까. 가장 중요한 이유는 신기술의 발달이었다. 대표적인 예가 포드의 T형 자동차 사례다. 1909년 T형 자동차가 처음 출시됐을 때 연간 생산량은 1만 대에 불과했고,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