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생명과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서울대 환경대학원에서 석사 과정을 밟다가 답답한
연구실
을 박차고 나와 2000년 초 현대기술투자 바이오분야 투자심사역으로 입문했다.“공학으로 큰돈을 벌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줘야 투자도 늘고 인재가 많이 모이죠. 그래야 공학이 진정한 경쟁력을 갖출 수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그는 “사회적인 기여를 하지 못하는 연구는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오늘 밤에도 그의
연구실
에 불이 꺼지지 않는 이유다. 비닐하우스에서 키운 최고 과학자의 꿈 어린 시절을 묻자 유룡 교수는 비닐하우스에서 일한 기억을 풀어냈다. “일손이 부족했죠. 일용직 인부를 고용하는 요즘과는 ... ...
공정시스템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정유회사에 다니는 윤기름 박사(가명)는 회의 도중에 기발한 생각이 떠올랐다. 회의가 끝나기 무섭게 책상에 앉은 그는 인터넷에 접속해 마우스를 클릭했다. 모니터에 떠오른 미생물 목록에서 원하는 미생물을 찾아 클릭하길 몇 번. 기대는 기쁨으로 변했다. “바로 이거야! 이 미생물을 이용하면 ... ...
방어진에는 배가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설명했다. 철판마다 물성과 인성(질긴 정도)이 다르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2002년 용접
연구실
은 LNG선박의 멤브레인 시트를 이어붙이기 위해 기존에 사용하던 이산화탄소 대신 고밀도 에너지인 플라스마를 열원으로 사용하는 ‘멤브레인 시트 플라스마’ 기술을 개발했다. 이밖에 프로그램에 따라 ... ...
뉴질랜드에서 잡힌 대형 오징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실레지아의 그라이비츠에서 출생했고 베를린 대학 부속 천문대에 근무한 후 자기
연구실
에서 연구를 계속했다기체의 전기현상, 특히 저압 가스방전(진공방전)을 연구하여 음극선 연구의 선구자가 되었다 뼈의 발육이 온전하지 못한 선천성 골질환 화골부전증(化骨不全症)이라고도 한다 출생 ... ...
명가의 숨은 명장 4人4色 스토리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35%를 점유하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불꽃이 튀는 곳엔 내가 있다김대순_ 용접
연구실
실장수더분한 웃음을 짓는 이 사람의 어디에서 강한 불꽃을 다루는 힘이 나오는 것일까. 김대순 실장은 독일 아헨공대에서 기계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엔지니어는 현장에 있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199 ... ...
멀티미디어 컴퓨팅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2004년 톰 크루즈가 주연한 액션영화 ‘라스트 사무라이’가 개봉했다. 이 영화는 전미 비평가협회 감독상과 ‘최고의 영화’ 부문 2위를 차지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하지만 제작사인 워너브라더스는 1억달러(약 1000억원)를 투자해 제작비를 조금 넘긴 1억1100만달러를 벌었을 뿐이다. 전직 영화 ... ...
정보디스플레이 및 마이크로플라즈마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5월의 예비신부와 함께 TV를 사려던 미디어다움의 이성규 씨(31)는 매장 직원의 말을 듣고 오히려 혼란에 빠졌다. 어떤 매장에선“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표시장치)가 더 낫다”, 또 다른 매장에선“PDP(Plasma Display Panel, 플라스마표시장치)가 더 낫다”고 추천하는 바람에 판단이 서질 않았다.LCD가 ... ...
소설가 - 김탁환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김탁환 교수가 모습을 드러냈다.“요즘 한옥을 주제로 한 작품을 구상하고 있어서
연구실
을 예스럽게 꾸며봤어요.”김 교수의 첫마디였다.김 교수는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황진이’의 원작을 쓴 작가로 팩션(faction)의 달인이다. 팩션은 팩트(fact)와 픽션(fiction)의 합성어로 실존 인물이나 ... ...
디스플레이 선구자 한민구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결과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그룹의 모든 역량이 모아져야 좋은 논문이 탄생한다”며 “
연구실
에서도 팀플레이가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러면서 실험실 세미나의 토론과정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연구설계가 나온다고 귀띔한다. 한 교수는 제자들에게 창의성을 강조한다. 남들 다 하는 것을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