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력
혈통
변화
공학
변천
유전공학
유전공학연구소
d라이브러리
"
유전
"(으)로 총 4,276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우병 막을
유전
자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가진 단백질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아냈다. 연구팀은 “병을 앓는 과정에서
유전
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프리온에 내성이 있는 단백질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내성 단백질의 구조를 밝힐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6월 11일자에 실렸다 ... ...
우주에선 노화 느려질까? 꼬마선충 직접 실험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진행하고 있다고 5월 13일 밝혔다. 연구진은 2개월 동안 선충을 키우면서 지구와는 다른
유전
자 변이가 나타나는지, 표현형에 변화가 있는지 등을 조사하고 있다. 연구진은 이번 실험이 우주에서 장기 체류한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뼈·근육 질량 감소의 원인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 ...
박종화 생명과학부 교수 - 늙지 않는 세상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복잡하다. 그래서 컴퓨터를 이용한다. 수많은 경로 중에서도 아주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유전
자를 다섯 개까지 좁혀 자살위험군을 조기에 찾아내는 게 그의 목표다.늙지 않는 세상이 언제쯤 찾아올까박 교수는 이외에도 DNA 전사인자, 단백질의 접힘 구조 등 다양한 생물학적 주제들을 연구하고 있다 ... ...
[Life & Tech] 혀를 중독시킨 붉은 마약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항암이나 항염증에 효과가 있다. 권대영 한국식품개발연구원 전 원장은 “한국인의
유전
자 변이를 연구하면 한국인이 왜 이렇게 매운맛을 좋아하는지 단서를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생활] 22년 만에 다시 펼쳐진 공룡 세상 쥬라기 월드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날갯짓을 하면 이로 인해 다른 한쪽에서는 태풍이 생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여러 가지
유전
자를 섞어 새로운 생명체를 탄생시키는 일도 이와 마찬가지로 계산기에 숫자와 기호를 넣어 답을 얻는 것처럼 일정한 공식이 정해져 있지 않다.영화 ‘쥬라기 월드’는 화려하고 다양한 공룡과 함께 손에 ... ...
[수학뉴스]
유전
자도 꿰어야 보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이듯,
유전
자 하나보다
유전
자가 얽혀 있는 세포조직을 이해하는 것이 훨씬 의미있는 일입니다. 몸이 자라거나 아픈 건 세포조직 ... 맞는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유전
학’ 4월 27일자에 실렸습니다 ... ...
[카툰]
유전
자 편집, 혁명인가 재앙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돼지, 심지어는 인간배아 같은 동물의
유전
자 교정에 성공했다. 크리스퍼가 과연 사람의
유전
자도 편집하는 날이 올까. 세상을 바꿀 힘을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관련 기사는 42쪽에)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
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어떨까. 우리나라는 생명윤리 및 안 전에 관한 법률에 의해 인간 생식세포에 대한
유전
자 조작이 법으로 금지돼 있고, 이 문제에 대한 관심이 미미하다. 아직까지 크리스퍼를 연구하는 학자의 숫 자도 많지 않다. 크리스퍼의 무분별한 사용을 막기 위 해 우리도 논의를 시작해야 될 시점이다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셰크먼 교수는 그때부터 30여년 동안 세포 내에서 운반 소낭을 수송하는 데 관여하는
유전
자와 단백질을 대거 찾아냈다. 세포의 물질 수송 과정을 상세하게 밝힌 연구로 그는 2013년 노벨생리의학상의 영예를 안았다.새로운 길 가는 즐거움 누리세요"의사의 길을 걷지 않고 기초과학을 연구하는 데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가설에 따르면, 인간은 오랜 세월 동안 진화를 거치면서 최적의 생태적 공간을 좋아하는
유전
자를 갖게 됐다.넓고 메마르지 않아 식물이 많고 어느 정도 질서가 잡혀 있으면서도 완벽하게 기하학적 대칭을 이루지 않는, 아프리카의 사바나 같은 환경을 선호한다는 얘기다. 진화심리학자 고든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