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과학사] 섭씨 온도를 만든 셀시우스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친구였던 식물학자 칼 폰 린네가 이를 뒤집어서 현재와 비슷한 온도 체계로 만들었어요. 이후로 널리 퍼진 섭씨 체계는 현재 세계 거의 모든 곳*에서 쓰인답니다. *미국에서는 섭씨와 다른 온도 체계인 ‘화씨(℉)’가 주로 ... ...
- [우주화장실] 똥? 버리든가 먹든가!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과정에서 배설물을 분해해 에너지를 만들자, 부산물로 단백질과 지방질이 만들어졌죠. 이후 미생물이 만든 영양분을 측정해 보니, 단백질이 52%, 지방질이 36% 들어있다는 결과가 나왔어요. 언젠가는 똥에 둘러싸인 채, 똥에서 나온 영양분을 먹으며 우주 여행을 하는 시대가 올까요 ... ...
- [탐험대학] 날아라! 로켓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진흙을 묻혀가며 샅샅이 뒤져봤지만 결국 처음 발사한 로켓은 찾지 못했어요.다행히 이후에 날린 네 개의 로켓은 모두 회수했어요. 한 로켓은 바람 방향을 잘 맞춰서 발사한 곳으로 되돌아온 덕분에 회수가 쉬웠어요. 오후가 되면서 바람이 강하게 불어 마지막 로켓은 결국 발사하지 못하고 다음을 ... ...
- [헥!헥!핵물리학자] www는 물리학자가 개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CERN 밖에 있는 물리학자들도 정보를 빠르게 교환할 수 있어 공동 연구가 가능해졌어요. 이후 일반 사용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웹브라우저가 개발되면서 지금과 같은 인터넷 환경이 만들어졌지요.2008년부터 CERN은 전 세계의 컴퓨터를 하나로 묶은 ‘WLCG’라는 시설을 구축해 왔어요. 전 세계 42개 ... ...
- [통합교과맵] 어둠 속에서 박에 연결된 폭탄을 제거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2호
- 돼요. 빛은 각막을 거쳐 볼록렌즈 모양의 수정체를 통과하면서 굴절돼 한 데 모여요. 이후, 시세포가 분포해 있는 망막에 닿으며 상을 맺지요.망막에는 빛의 색과 밝기를 파악하는 두 종류의 광수용체 세포가 있어요. 색깔을 인지하는 ‘원추세포’와 색의 밝기를 파악하는 ‘간상세포’지요. ... ...
- 노벨생리의학상│ 바이러스 사냥꾼들, C형 간염의 범인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걸린 사람이 전 세계 7200만 명이라고 추정했어요.또, 간염으로 사망한 사람은 1990년대 이후 60% 가량 늘어 2015년 134만 명을 기록했는데, 이는 C형 간염 사망자가 크게 늘었기 때문이었어요. A형과 B형 간염은 백신이 개발돼 예방이 가능한 것과 달리, C형 간염은 백신 개발도 매우 어려워요. 포스텍 ... ...
- 생각을 읽는 기술? 돼지 머리에 기기를 심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신호가 나타났지요. 일론 머스크는 “지금은 뇌파를 일방적으로 수신하는 수준이지만, 이후에는 신호를 뇌로 보내는 등 쌍방향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어요.이 기술은 어디까지 활용될 수 있을까요? 현재 뉴럴링크 기술은 동물 실험에 그쳐 있어요. 그러나 앞으로 뇌파를 읽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왕자님을 집으로 돌려보내 주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마저 걸러내요. 여기까지 거치면 물속에 떠다니던 알갱이들의 대부분이 제거되죠.이후 소독을 위해 물에 소량의 염소 기체를 넣으면 염소 기체가 물에 녹아 ‘하이포아염소산’이 돼요. 이 물질이 세균을 죽이죠. 마지막으로 ‘정수지’에서 2차로 염소 소독까지 마치면 우리가 사용하는 수돗물이 ... ...
- [시사과학] 노벨 평화상의 주인공은? 유엔 세계식량 계획!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대응하지 않으면 2019년 말 기준 1억 3000만 명이었던 배고픈 사람들의 수가 코로나 사태 이후 2억 6000만 명에 이를 것”이라고 발표했지요.코로나19바이러스가 왜 식량과 관계 있을까요? 그건, 코로나19가 대유행하면서 국경이 폐쇄돼 국가 간 이동이 제한됐기 때문이에요. 배나 비행기가 움직이지 않자 ... ...
- [이달의 과학사] 최초로 지구 궤도에 오른 동물 '라이카' 우주로 떠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1호
- 초파리였어요. 지구와 우주의 경계로 불리는 상공 100km의 ‘카르만 라인’을 넘었지요. 이후 미국과 소련은 먼저 우주로 진출하기 위한 경쟁에 돌입합니다. 우주 동물 실험에 미국은 인간과 비슷한 몸을 가진 영장류를, 소련은 다루기 쉬운 개를 사용했어요. 이 우주 경쟁의 최종 승자는 1940년대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