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달"(으)로 총 4,277건 검색되었습니다.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않는다. 시작점부터 도착점까지 모든 노드가 동시에 연결돼 있어야 정보가 무사히 전달된다. 우주에선 매우 어려운 일이다. 지연허용망은 그럴 필요가 없다. 노드 역할을 하는 위성에 정보가 도착하면 그때마다 ‘일시멈춤’하고 대용량 메모리에 보관한다. 다음 위성까지 통신이 가능하다고 ... ...
- [Hot Issue] 떠오르는 사물인터넷?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위험한 지역이라는 정보를 받아, 스스로 속도를 줄이게 설정돼 있다. 그런데 누군가 차에 전달되는 정보를 조작해 사고다발지역이 아닌 곳에서 속도를 줄여 사고가 발생했다. 이런 경우, 정보가 빠져나간 경로가 기기(자동차)인지 아니면 네트워크인지, 플랫폼인지, 서비스인지 알 수가 없다. 그만큼 ... ...
- [Knowledge] 정자 셔틀? No! 정액의 재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하나(XY)’만 전달할 수 있는 반면, 암컷은 그걸 무력화하는 유전자를 ‘두 개(XX)’나 전달할 수 있다. 유전자 싸움에서 암컷에게 절대적으로 유리하다. 수컷에게 유리한 정액 단백질 유전자는 Y염색체가 아니라 상염색체 위에 있다.경쟁이 다는 아니다서로 다른 종 사이의 경쟁이나, 동성 개체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자기장을 만들어내면,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진 수신부 코일에 집중적으로 전기가 전달되는 원리다. 이 방식을 이용하면 수 m 내외까지 무선으로 전력을 보낼 수 있지만, 민감도가 높아져 온도변화와 같은 주변 환경 변화에 따라 효율이 크게 달라진다.다이폴코일 공진방식은 추가적인 공진코일 ... ...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Microlensing)두 항성이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앞 항성의 중력장에 의해 뒤 항성의 빛이 휘어 전달되는 효과를 이용한다. 앞 항성에 외계행성이 있다면, 뒤 항성에서 오는 빛에 불규칙성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포착한다. 다른 방법들이 항성 근처에 있는 큰 가스형 외계행성을 찾는 데 유리한 반면, ...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통일을 준비하는 물 공학자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훌륭한 정수시스템을 마련하는 것이다.“많은 사람들이 우리가 사용하는 기술을 북한에 전달해줘야 한다고 생각해요. 하지만 그걸로는 충분하지 않아요. 우리가 사용하는 물 처리 시스템 중에도 실패한 것들이 많거든요. 지금보다 더 나은 기술을 만들어야죠. 물론 북한의 물 전문가와 함께요. 이런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강하게 만들어 줘요. 그 결과 열에너지가 재료 사이를 자유롭게 통과하게 되어 열이 잘 전달되었답니다. 2 변신 “이런 기능성 플라스틱들이 만들어지면 무엇에 좋으냐고? 비싸거나 무거운 다른 소재들을 대신할 수 있게 될 거야. 예를 들어 금속이나 돌, 유리를 플라스틱이 대신하는 거지 ... ...
- 숫자 세 개가 만나는 곳에 보물이 있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없는 항해시계 ‘크로노미터’로 발전했다. 지금 서 있는 곳의 위치를 알고, 그 위치를 전달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은 사람들은 위치를 표시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둥글고 큰 지구에서 한 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은 경도와 위도였다. 위도는 태양이 머리 위에 오는 시간과 같은 ... ...
- 야행성 VS 주행성 동물들이 보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사진을 보여 주는 거예요. 그러면 오랫동안 말로 설명을 해야 하는 정보들도 단번에 전달할 수 있어요. 반 친구들 모두 아빠의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으니까요. 또 성격이나 이름과 같은 정보만 알고 있을 때보다 얼굴 생김새나 표정 등이 담긴 사진을 보면 그 사람을 훨씬 기억하기 쉽지요.이렇게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끊으면 금단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디지털에 중독되면 ‘긍정의 힘’을 일으키는 신경전달물질 ‘세로토닌’은 분비량이 줄어든다. 이탈리아 국가연구진흥원의 루카 파사몬티 박사팀은 디지털 중독 환자의 뇌를 관찰한 결과 세로토닌이 분비되는 전두피질 부위가 망가져 있는 것을 발견했다.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