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지"(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성 짱! 동물들이 모인 LOST VALLEY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우리가 만난 암컷 백사자 타푸는 두 살이에요. 그런데 성인남자와 줄다리기를 해서 지지 않을 정도로 힘이 세답니다.기린에게 식빵 먹이기장순이의 남편 기린인 장다리에게 간식을 줄 시간이에요. 그런데 기린의 혀는 신기하게도 보라색을 띠고 길이도 50㎝가 넘어요. 식빵을 본 기린은 코를 ... ...
- 제9의 예술 만화에 빠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9호
- 제대로 된 일본 만화를 본 뒤, 내가 무지했구나 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선입견을 가지지 말고 부모님과 아이들이 함께 제대로 된 만화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어때? 어린이과학동아 속 만화 세상 즐거웠니? 사실은 말이야…, 네가 어과동만 펴들면 언제든 만화 세상으로 들어올 수 있단다. 만화 속에 ... ...
- 끊임없이 소원 비는 날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때문에 괜찮아요. 윽, 이야기 나누는 사이에 유성우 쇼가 모두 끝나 버렸어. 아직 지지지 밖에 못 했는데!유성우는 거의 매달 있어요. 특히 혜성 궤도를 지나는 7~8월에 집중돼 있지요. 또 올해 11월에는 혜성 ‘아이손’이 태양에 가까이 접근하는 우주쇼가 있답니다. 지금 예상으로는 11월 20일 ... ...
- 눈이 번쩍 뜨이는 시력짱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7호
- 근시를 예방하는 게 가장 중요하지. 이미 근시라고 해도 18~20세 까지 눈이 급격히 나빠지지 않도록 유지해야 해. 어떻게 하면 소중한 시력을 지킬 수 있을까? 나, 눈알이가 여섯 가지 방법을 알려 줄게!1. 어두운 곳에서 책이나 TV를 보지 않기.2. 가까운 곳을 보는 중간에도 가끔 먼 곳을 바라보기.3. ... ...
- Part 1_ 우주를 팽창시키는 힘, 암흑에너지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것 만이라도 알아두자.진공에너지는 다른 물질과는 다르게 부피가 증가해도 밀도가 작아지지 않는다. 즉, 부피가 증가하면 진공에너지도 커진다. 그런데 왜 진공에너지는 우주의 팽창을 촉진할까.방의 벽이 움직여서 공간을 확장했다고 가정해 보자. 방의 부피가 증가한 만큼 내부에너지의 손실이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당시에 자신이 개발한 망원경으로 관측한 결과를 바탕으로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지지한다. 하지만 이것이 로마 교황청의 미움을 사서 재판을 받고, 앞으로는 지동설에 대해 일절 말하지 말라는 경고를 받는다.하지만 1623년 란 책을 통해 다시 천동설을 주장하는 측의 방법적 오류를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돌아다녀도 서로 마주칠 확률은 지극히 낮다. 열적 죽음과 마찬가지로 어떤 일도 벌어지지 않는다. 이 상태가 영원히 지속된다면 종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단, 어떤 과학자들은 이 뒤에 빅립이나 새로운 빅뱅이 일어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급격한 파열로 죽는다그런데 앞서도 말했듯이 ...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나만이 아니었다.은색 천구 속에는 온통 소리 없는 불꽃과 피가 떠다니고 있었다. 총제를 지지하는 정화파들은 입자의 핵력을 역전시키는 재래식 무기를 난사해 총제를 보호하면서 그와 동시에 양자사기꾼들을 총집결시켜 우주의 재규정을 가속화하고 있었다. 전투에 참가한 진화파들은 자신의 ... ...
- 수학으로 만든 화폐, 비트코인!수학동아 l2013년 12호
- 흡사하거든요.만약 비트코인 시스템의 창시자가 신이치 모치즈키가 아니고, 끝까지 밝혀지지 않는다고 해도 비트코인 시스템에 창시자만 알 수 있는 치명적인 약점은 있을 수 없어요. 비트코인 시스템은 처음부터 ‘오픈 소스’로 만들어졌거든요. 오픈 소스란, 프로그램을 만든 설계도를 누구나 ... ...
- Intro. 우주론의 역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호일이 ‘빅뱅’이라는 용어를 만들다. 그러나 호일은 우주가 불변하다는 정상우주론 지지자였으며, 빅뱅이라는 용어는 대폭발 이론을 비꼬기 위해 만든 것.1965년아노 펜지아스와 로버트 윌슨이 2.7K의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하다. 이는 빅뱅 이론의 증거가 되다.1960~70년베라 루빈 등이 은하 회전팔의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