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집쟁이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온 썰렁홈즈는 사람들이 땅을 파고 뭔가를 보고 있는 장면을 목격했다.“우린
천문
지리를 담당하는 관상감 사람들이오. 비가 얼마나 왔는지 측정하고 있소이다.”측우기를 발명하기 전에는 땅을 파서 흙이 젖어 있는 깊이를 보고 비가 온 양을 측정했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아서 문제였다.“비를 ... ...
태초에 빛과 물질이 함께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쉬워 보이는 질문도 20세기 초까지 해결하지 못했다. 이 질문을 해결한 사람은 미국의
천문
학자 에드윈 허블이다. 허블은 탁월한 관측가로 오늘날 먼 우주를 둘러싼 대단히 중요한 발견을 여럿 했다. 먼저 1921년 세페이드 변광성을 이용해 우주의 크기를 쟀다. 또 밤하늘에 구름조각 모양으로 ... ...
온화한 빛의 화가 베르메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힘이 있다고 생각했지만, 베르메르는 과학기기도 하나의 도구로 표현하고자 했어요. 에 등장한 지구본은 17세기 초에 지구본 제작자로 유럽에서 명성을 얻었 던 요도쿠스 혼디우스의 천구의를 보고 그린 것이랍니다. 그림 속에 지도를 넣은 까닭은?네덜란드가 바다를 건너 식민지를 ... ...
암흑물질 후보 윔프 입자 ‘없다 VS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계절별 차이를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암흑물질 검출 경쟁에 대해 금용연 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는 “자료가 축적되는 3년 뒤에는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과학 고전 시리즈물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관심이 대단하다.이렇게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오늘날까지 물리학자와 수학자,
천문
학자를 매료시키는 아이디어의 원천이다. 그런 아인슈타인과 대화하거나 강의를 듣는 방법은 없을까. 아인슈타인은 오래 전에 타계했지만 다행히 간접적으로 그의 강의를 맛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바로 강의록을 ... ...
Part 2. 우주를 지배하는 어둠의 입자 - 암흑물질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가설로만 남아 있다.또다른 가상 입자로는 액시온(Axion)이 있다. 김진의 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가 제창한 액시온은 윔프와 함께 차가운 암흑물질로 분류되며 질량이 작다(0.01~100meV 정도. 윔프의 약 10-15배 수준). 유럽입자물리학연구소의 콘스탄틴 지오타스 교수가 검출장비인 ‘액시온 태양망원경 ... ...
떠돌이행성 처음으로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공동으로 태양계 밖에서 궤도를 잃고 떠도는 행성 무리를 발견했다. 그동안 많은
천문
학자들이 이 떠돌이행성의 존재를 주장해왔지만 직접 확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연구팀은 ‘중력 마이크로렌징’ 기법을 사용해 이 행성을 찾았다. 중력이 강한 별이나 행성이 빛을 휘게 만드는 현상이다. ... ...
허블 3D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고철덩어리로 만들 수도 있다. 이 중요한 임무에 직접 관련된 사람들도 그랬겠지만,
천문
학자들에게도 그 열하루는 손에 땀을 쥐는 기간이었다. 전날에 있었던 우주비행사들의 활동이 매일 아침 뉴스가 되었다. 광시야 카메라가 드디어 장착됐다거나, 나사 하나가 안 풀려서 고장 난 기기를 떼어내지 ... ...
임지순 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말한다. 한국인으로는 세 번째로 미국과학학술원(NAS) 회원에 선임된 서울대 물리
천문
학부 임지순 교수(60)다.생애 마지막 목표 수소 저장 물질“‘후배들에게 책임을 다 했다’는 기분이에요. 노벨상 빼고는 최고의 영예니까. 그런데 노벨상은 우리 세대의 몫은 아닌 거 같아요. 우리보다 2세대쯤 뒤,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둘러싸려고 할 때, 최대 12개까지 붙일 수 있다는 뜻이지.17세기 유명한 수학자이자
천문
학자였던 요하네스 케플러는 3차원 공간에서 공을 가장 효율적으로 쌓는 방법을 연구해 ‘케플러의 추측’ 을 제안했어. 케플러는 공을 쌓을 때 빈 공간이 정육각형이 되도록 쌓는 ‘면 중심 입방격자’ 일 때가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