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측정"(으)로 총 4,720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자원 넘치는 북극 바다밑, 지형부터 알아야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되는지 조사해 수백 장의 보고서를 제출한다(빙하로 뒤덮인 북극해에 음파를 쏴 깊이를 측정하고 탄성파로 특성을 조사하려면 몇 년의 시간과 수백억 원의 돈이 든다). 이것을 일일이 검토해서 법적 대륙붕을 결정짓는 기준점(FOS)을 정한다. 심사국의 주장을 무조건 받아들이면 안 되기 때문에 관련 ... ...
- [Interview] “차세대 가속기 과학자 키울 겁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해외에서 보냈다. 일본에서는 전자와 양전자를 충돌시키는 가속기에서 빔의 위치를 측정하고 운동 방향을 분석하고 제어하는 장치 등을 설계했다. 이후 미국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LBNL)로 자리를 옮겨 뮤온가속기와 중성미자가속기를 개발하고 빔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에 참여했다. 국내로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조금이라도 더 건강하게 자라날 가능성이 있는 박을 선택하기 위해 크기와 색상을 측정했고, 세포 표본을 떼어 내어 분석했고, X선 사진을 찍었다.그런데, 그 X선 사진에서 전혀 기대 못했던 것이 나타났다. 박 속에서 단순히 박의 과육 이외에 선명히 구분되는 다른 인위적인 구조물이 보였던 것이다.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척추 교정 클리닉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발에 걸리는 압력을 측정해 걸음걸이를 분석하는 검사였답니다. 서 있을 때 무게중심을 측정하는 검사나, X선을 이용한 전신 검사 등도 함께 받았어요.검사 결과는 어땠을까요? 두 기자 모두 척추측만증이 있다고 나왔어요. X선 사진을 통해 본 두 기자의 척추는 모두 좌우 균형이 맞지 않는 상태였죠. ... ...
- [과학뉴스] 사드 전자파(전자기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사드 배치를 찬성하는 쪽의 논리는 이렇습니다. 미군이 괌에 배치한 사드의 환경영향을 측정해 작년 6월에 발표한 보고서에서 100m 밖에서는 건강 안전상의 문제가 예측되지 않는다고 밝혔다는 거죠. 또, 레이더를 최대한 낮췄을 때(지표면과 이루는 각도 5°) 일반인 출입 한계인 3.6km에서 전자파가 ... ...
- [News & Issue] 젊은 해커들이 기판으로 명찰을 만든 이유는?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공개됐고, 그 자리에서 바로 심사가 이뤄졌다. 영예의 1등은 알코올 측정기를 연결한 음주측정 배지가 차지했다. 1등 수상자에게는 건담 조립모형이 전달됐다. 시작은 필자, 몽이, 나스카 등 세 명이었지만 배지를 완성시킨 것은 김치콘 참가자들이다. 매캐한 연기를 마다하지 않고 납땜에 도움을 준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감수하는 손실은 0.9-0=0.9였다. 열위 수컷의 이타적 행동으로 우위 수컷이 얻는 이득을 측정하고자, 팀에 참여하는 우위 수컷의 자식수(7)와 외톨이 수컷의 자식수(0.9)를 비교했다. 즉, 우위 수컷이 열위 수컷의 이타적 행동으로 얻는 이득은 7-0.9=6.1이었다.이제 해밀턴의 규칙에 세 변수의 값을 넣으면 ...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텐! [뉴로피드백 훈련을 받고 있는 사격선수. 자신의 경기영상을 보면서 뇌파를 측정하고, 현재 자신의 상태가 화면에 색깔(신호등)로 나타난다. 반복된 학습을 통해 자신의 안정상태와 불안상태를 자각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훈련은 끝났다. 이제는 ‘컨디셔닝’Part 1. ... ...
- [Tech & Fun] 전자를 가속시켜 깨끗한 물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아프리카와 동남아시아 국가의 수질 관련 연구자와 정부 관계자 등을 대상으로 수질측정기기 사용법과 결과 분석법을 교육했다. 앞으로는 수질 관련 활동을 하는 비정부기구와 협력해 저가 필터를 개도국에 공급할 예정이다.노영민 GIST IERC 연구교수는 “개도국에 수질관리용 필터를 제공한 사례는 ... ...
- [과학뉴스] 뜨는 소재 흑린, 그래핀도 뛰어 넘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열전소재로 각광받고 있다.배명호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양자측정센터 책임연구원은 3차원 구조의 흑린 속 전하들이 열전현상이 일어날 땐 평면방향(2차원)으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혀냈다. 연구팀은 흑린에 산화실리콘 기판을 접촉시켜 흑린 내부의 전자들을 기판에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