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물고기"(으)로 총 1,5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돌고래, 바키타기사 l20161118
- 정도 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고 합니다. 그 많은 바키타들은 다 어디로 사라졌을까요? 지금부터 알려 드릴게요. '토토아바'라는 물고기가 있습니다. 토토아바는 캘리포니아 만의 얕은 물에서 살고 있는 희귀 어류입니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토토아바의 부레가 보양식으로 쓰이고 매우 비싸게 팔리죠. 그런데 토토아바의 부레를 먹고 싶어하는 중국인들이 많아 ...
- 장구애비의 사냥탐사기록 l20161111
- 지난 강촌 민물고기 탐사에서 장구애비와 게아재비 그리고 물고기 두마리를 잡아왔다. 장구애비 사진이 누락집에 데려와 기르고 있는데 장구애비가 물고기와 게아재비를 잡아 먹었다. 그리고 먹이가 없어서 도마뱀 주려고 사온 귀뚜라미를 주었더니 잡아먹고 있다. 귀뚜라미를 넣어주자 재빠르게 낚아챘다. 그리고 장구애비 입이 붉은 색이 ...
- 낙동강의 흰수염난쟁이~탐사기록 l20161110
- 거의 모래바닥으로 뒤덮혀 있는 강입니다.낙동강은 물 흐르듯이 모래도 물과 함께 흘러갑니다.그리고 그 모랫 속을 삶터로 하고 있는 물고기가 있습니다.멸종위기 1급 어종인 흰수마자 입니다.흰수마자는 말그대로 흰수염이 4쌍이 있고 분류학적으로는 잉어목 잉어과 모래무지아과 꾸구리속으로 6~10cm밖에 안되는 소형 어류입니다.1935년 일본의 모리 박사 ...
- 서울 성북구 라이노비틀즈 20161029 민물고기 탐사가 끝나고...탐사기록 l20161030
- 안녕하세요? 라이노비틀즈팀 곽수진 대원입니다. 어제 2차 심화교육 민물고기 탐사를 다녀왔는데요, 조금 힘들고 추웠지만 참 재밌고 유익한 시간이었던 것 같아요. 제가 정식으로 물고기를 탐사한 것이 처음이라서 그런지 족대나 ... 너희들이 크면 그런 것들을 다 알고 지켜줘야 해~" 라고 말했어요. 우리가 물고기 탐사를 ...
- 가을에 피는 꽃, 납지리탐사기록 l20161026
- 외래종을 하천에 풀거나 놔준다면 외래어종들에게 밀려 토종 민물고기들이 사라질 것이고 어쩌면 우리의 후손들은 납지리라는 물고기를 영영 볼 수 없을 지도 모른다. 외래종을 방류하는 것을 자제하고 보석 같은 아름다움을 가진 납지리를 우리 손으로 지켜야한다고 생각한다. ▲ 거의 12cm에 육박하던 납지리 수컷 (출처: ...
- 미호종개의 마지막 서식지탐사기록 l20161026
- 인해 서식지의 상당수가 침수되어 모래대신 썩은 뻘이 퇴적되었습니다.상류 쪽으로 비 맞아가며 채집이 이어졌습니다.채집도중 물고기를 보기가 전보다 없음을 체감하였습니다.과연 진짜 미호종개를 볼 수 있을지 걱정이 되었습니다.그러던 중 상류에 자갈 틈에 약간의 모래사장을 발견하여 뒤지니 어렵게 미호종개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30분동안 12개체를 확인 ...
- 피의 색깔은 다 빨간 색일까?기사 l20161025
- 녹스는 것처럼 피도 산소와 닿으면 붉은 색으로 변합니다. 인도양의 어떤 물고기의 피가 하얘서 과학자들이 연구를 해 봤더니 그 물고기의 피 속에는 철분이 거의 없었다고 하네요. 그렇다면 피의 색깔은 바꿀 수 있을까요? 우리 핏속의 철분이 사라지기 전까지는 절대 바꿀 수 없습니다. 이것을 대학교수가 밝혀내 학생들에게 말해 줬더니 한 ...
- 새우가 알을 달고 다녀요!!포스팅 l20161015
- 오늘 아빠께서 물고기 먹이를 주셨는데, 제가 키우고 있는 새우가 배에 무엇을 달고 다닌 다고 하셔서 보았더니 새우가 알을 달고 다니고 있더라고요. 어떻게 해야 하죠?? 새우가 자꾸만 뒷다리로 옆구리를 긁네요. ...
- 우리나라의 고속철도기사 l20161013
- 대해 알아볼까요? KTX-산천은 우리나라에서 기술을 개발하여 만들었어요. 그리고 왜 이름이 KTX-산천일까요? KTX-산천은 우리나라의 토종물고기인 산천어의 모양을 따서 그 이름을 붙인 것이랍니다. 그리고 KTX-보라색 산천도 있지만 다음에 설명할께요. 저는 KTX를 아직 안 타봤지만 엄청 재미있을 것 같아요. 드디어 마지막! 해무-430 ...
- 생태계의 보물 창고, 국립생태원에 가다기사 l20161011
- 전시하고 있었습니다. 제주도의 곶자왈을 재현한 길을 지나자 한강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살고 있었습니다. 한강 상류, 중류, 하류의 물고기가 있었는데 그중에서 저는 천연기념물 황쏘가리(아래 사진)가 가장 마음에 들었습니다. 온대관은 에코리움 내부와 외부로 나뉘어져 있었고, 내부에는 제주 곶자왈과 한강, 외부에는 설악산이 전시되어 있었습니다.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