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여
간섭
참견
가입
관계
개입
뉴스
"
관여
"(으)로 총 1,72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일어난 변이를 1년 안에 재현하는 실험인 셈이다. 포도에서 안토시아닌을 만드는데
관여
하는 DFR-B 효소의 결정 구조에서 촉매 활성 자리를 클로즈업한 이미지다. 효소 활성에 190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Pro190A)이 중요하다. 나팔꽃 DFR-B에서는 195번째 아미노산인 프롤린이 여기에 해당하는데, ... ...
파킨슨병 일으키는 유전자 부위 대거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9.12
때문이다. 창 박사는 “뇌에서 불필요한 물질을 없애거나 에너지를 생산하는 과정에
관여
하는 유전자들이 문제가 돼 파킨슨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새롭게 찾아낸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신약 개발이 이뤄지면 향후 파킨슨병 치료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푹 자야 운동도 잘 한다?
과학동아
l
2017.09.02
쥐가 수면을 취하는 동안 뇌파를 측정해 이와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운동에
관여
하는 뇌 부위에 전극을 꽂아, 뇌파 측정 장치를 달아 쥐가 움직일 때마다 뇌파를 기록한 뒤 데이터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MI)를 이용했다. BMI란 뇌파를 이용해 로봇 팔과 같은 외부 ... ...
아프리카 하드자 족에겐 있고, 도시인에겐 없는 것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27
장내미생물 구성에 큰 차이가 있음을 확인했다. 도시 인구의 장에는 스트레스에
관여
하는 균인 ‘박테로이다세’가 장내 미생물의 21%를 차지하며 지배적이었지만, 하드자 족의 장내 미생 중에선 0.8%에 불과했다. 하드자 족이 가진 박테리아 중 2종은 도시 인구의 미생물 속에선 거의 발견되지 ... ...
‘과학기술혁신본부’가 뭐길래?…과기정책 컨트롤타워, 어떻게 흘러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8.12
차관급이지만 장관급 이상만 참석하는 국무회의에도 배석돼 중요한 국가 정책 결정에
관여
할 수 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상정한 안건에 대한 예비검토를 맡는 등 실무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 내에서뿐만 아니라 국가 전체를 놓고 봐도 매우 중요한 위치인 셈이다. ☞관련 기사: 미래부에 ... ...
혹성탈출 보기 전 알아두면 좋은 과학지식 셋
동아사이언스
l
2017.08.11
11일자에 발표했다. 기억력과 관련된 ‘후각주위피질’과 타인의 감정 이해에
관여
하는 ‘측두극’이 익숙한 얼굴을 바라볼 때 활성화됐다. 랜디 교수는 “익숙한 사물을 볼 땐 이 두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는다. 동료를 구분해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둘. 침팬지의 힘은 사람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
2017.08.08
범주화하는 방식으로 한계가 있다”며 “종이 아니라 균주의 차원에서 생체이물 대사에
관여
하는 효소를 찾고 그 반응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해야 한다”고 결론 내렸다. 장내미생물의 생체이물 대사가 우리 건강에 상당히 중요하다는 건 알겠는데 아직은 내 건강관리로 이어질 방법이 마땅치 ... ...
당신이 공포영화를 못보는 ‘겁보’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8.04
vimeo 제공 공포는 외부 자극에 대한 뇌의 방어 활동의 결과로 나타나는 감정이다. 공포에
관여
하는 대표 뇌 부위는 ‘편도체’다. 이 편도체가 얼마나 예민한지에 따라 용자와 겁보가 갈린다. 외부 자극에 편도체가 쉽게 반응하는 사람은 겁보, 무딘 사람은 용자가 되는 것이다. 이 예민함을 ... ...
도쿄대 와타나베 요시노리 교수 논문 조작 파문…아시아 3국은 논문 조작 중?
2017.08.03
사람에 대한 징계위원회를 열고 처분을 논의한다고 발표했지만, ‘교수가 직접 조작에
관여
했다기보다 박사과정생의 연구에 대한 관리, 감독이 미흡했던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해 빈축을 사기도 했다. 중국의 경우 나라 크기만큼 논문 조작도 스케일이 남다르다. 중국 과학기술부는 약 4개월 전 5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시작해 14일이 되자 완전히 사라졌다. 연구자들은 이 과정에서 ‘PlexA1’이라는 유전자가
관여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렇다면 이 유전자 스위치를 끄면 성장과정에서 회로가 유지돼 생쥐도 사람처럼 손가락을 움직일 수 있게 될까. 이 유전자의 스위치가 꺼진 변이 생쥐를 만들어 실험한 결과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