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기"(으)로 총 1,9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08.13
- 사용할 수 있지요. 더 많은 친구들이 뚜루뚜루로 재밌게 코딩을 배우면 좋겠어요! 기자단 친구들이 이은승 실장님과 인터뷰 하고 있다. *출처: 어린이과학동아 15호(8월1일 발행)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 ... ...
- [이강운의 곤충記]살려면 먹어야 한다… ‘물장군’의 동종포식2018.08.08
- re.kr)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 (사)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회장이며 국립인천대학교 매개곤충 융복합센터 학술연구 교수. 과학동아 Knowledge 칼럼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Caterpillars of Moths in Korea Ⅰ’(환경부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당신도 해적입니다...반사회성의 진화 2018.08.05
- 정부에서는 해적에게, 사략증, 즉 ‘사적으로 약탈하는 것을 허용하는 허가증’을 발부하기도 했었죠. 그리고 이들은 얌전한 신사라면 도저히 엄두도 못할 일을 해냈습니다. 안타깝게도 현대 문명 사회에는 이들이 발붙일 곳이 별로 없습니다만…… 하지만 해적이나 침략자 수준은 아니더라도, 우리 ... ...
- [이강운의 곤충記] 물장군 수컷의 희생, 알을 깨운다2018.07.25
- re.kr) 서울대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사)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소장, (사)서식지외보전기관협회 회장이며 국립인천대학교 매개곤충 융 복합 센터 학술연구 교수. 과학 동아 Knowledge 칼럼 ‘애벌레의 비밀’을 연재했다. 2015년 ‘한국의 나방 애벌레 도감Ⅰ Caterpillars of Moths in Korea Ⅰ’(환경부 ... ...
- 쌍둥이 대형망원경 제미니천문대에 내년부터 한국 전용 관측시간 생긴다동아사이언스 l2018.07.25
- 대형망원경은 비용, 입지 등의 문제로 국제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공동 운영 기회를 통해 공동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향후 GMT 국제 공동운영을 위한 노하우가 축적될 수 있길 바란다”고 밝혔다 ... ...
- 지구사랑탐사대 2018 여름 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 어린이과학동아 l2018.07.21
- “우아! 깃동잠자리가 힘이 장사네요! 가느다란 다리로 나뭇가지를 번쩍 들고 있어요!” 깃동잠자리는 날개 끝에 있는 갈색의 깃동무늬가 특징이다. (출처 : 지구 ... 참가한 부모와 어린이들이 생명 보존의 가치와, 자연과 더불어 사는 인식을 배우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부모의 가혹한 양육이 자녀 비만 부른다2018.07.21
- 블로그’ (jinpark.egloos.com)를 운영하고 있다. 과학동아에 인기리 연재했던 심리학 이야기를 동아사이언스에 새롭게 연재할 계획이다. 최근 스스로를 돌보는 게 서툰 이들을 위해 를 썼다. 현재는 UNC 의과대학에서 연구원을 하고 있다 ... ...
- 돌고래 ‘제돌이’ 방류 5년 모습 포착, 어디서 살고 있나동아사이언스 l2018.07.21
- 연 기자회견이 한창이었다. 바다위원회는 “제주, 서울, 울산 등 전국 다섯 개 기관에 아직 39마리의 돌고래와 흰고래(벨루가)가 수족관과 공연장에 갇혀 있다”며 “이들 역시 자연에 방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무리 과학적 방법을 따르더라도, 모든 방류 돌고래가 생존하지는 못한다. 너무 ... ...
- [카드뉴스] 나노 기술이 도전하는 미래로 들어가시겠습니까?2018.07.20
- [In-depth] 한국의 나노기술 로드맵(제3기 국가나노기술지도) “나노 분야 SCI 논문 수 세계 4위, 관련 미국특허 등록건수 세계 3위” ‘나노 ... 안전성 평가 기술 -한국 기술수준 : 작업자 노출평가기술 80%, 소비자 노출평가기술 50%, 환경 노출평가기술 70% ... ...
- [2022 수능개편안 연속기고] 무리한 문이과 통합에 길 잃은 백년대계2018.07.19
- 헤매는 대한민국 교육부를 어이할꼬. 길을 잃었을 때는 길을 찾는 게 먼저다. 길을 찾기 전까지, 교육부는 초·중·고등학교 교육과 수능을 자꾸 건드리지 말고 제발 가만히 계시라. 개정 시안보다는 그나마 현행이 훨씬 나으니까 ... ...
이전1251261271281291301311321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