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택
선발
결정
발췌
발탁
취사
지정
스페셜
"
선정
"(으)로 총 1,430건 검색되었습니다.
전 세계 나노 분야의 허브 센터 꿈꾼다
IBS
l
2015.05.07
덕분에 IBS 단장이 됐다고 생각합니다." 2012년 10월 IBS 나노구조물리 연구단의 단장으로
선정
된 이영희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가 나노 연구와 인연을 맺은 것은 1996년 안식년을 미국에서 보냈을 때였다. 당시 리처드 스몰리 교수와 탄소나노튜브를 대량 합성하는 방법을 찾아내는 연구에 ... ...
경주시월성원전·방폐장민간환경감시기구를 소개합니다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7
이에 따라 지역의 요구에 의해 2012년 삼중수소영향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전문기관을
선정
해 현재 삼중수소 노출평가를 진행 중에 있습니다. 향후 결과는 지역설명회를 통해 설명하고 대책까지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신월성원전 침수사고뿐만 아니라 삼중수소 문제 등에 대해 접근하고 ... ...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시나리오를 도출했다. 이를 다시 압축, 선별하여 가장 타당성이 높은 네 가지 시나리오를
선정
하고 1994년 집권한 흑인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국가 통합 정책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박 소장은 남아프리카의 사례에서 보듯, 흑백논리에 머무르지 않고 광범위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물론 이렇게 이야기가 전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화양연화’는 2010년 토론토영화제가
선정
한 ‘세계 100대 영화’에 들어갈 수 있었을 것이다. ●치정관련 강력범죄 증가 추세 바람을 피우는 입장에서 배우자들이 이렇게 온순하게 대응한다면 더 바랄 게 없겠지만 현실은 그렇게 아름답지 않다.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
IBS
l
2015.02.26
UNIST 생명과학부 특훈 교수는 지난해 12월 15일 IBS '유전체 보전 연구단'의 단장으로
선정
됐다. 명 단장은 2002년 미국 국립보건원(NIH) 인간유전체연구소(NHGRI) 연구원으로 들어가 2009년부터 종신연구원으로 활동해 왔다. DNA 복구(repair)와 게놈 안정성 연구 분야의 석학으로 알려져 있는 명 단장을 UNIST 내 ... ...
명품화장품은 좋은 원료에서 나온다
KOITA
l
2015.02.23
코스메틱 전문잡지 ‘SPC Magazine’이
선정
한 ‘안티에이징 원료 베스트 10위’에
선정
됐다. 아이디켐은 인 코스메틱 아시아 가이드북에 새로운 공급업체로, NBM은 인 코스메틱스 아시아 ‘Official Show Preview’에 주목할만한 신제품으로도 소개됐다.향수존에서는 신제품 전시와 시향 테스트가 열렸다. ... ...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
IBS
l
2015.01.16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할 계획입니다." 얼마 전 IBS 분자분광학 및 동력학연구단의 단장으로
선정
된 고려대 화학과 조민행 교수는 연구단을 소개하면서 분자 동영상이란 말을 꺼냈다. 분자 동영상에는 사람보다 1억분의 1 또는 10억분의 1만큼이나 작은 분자들이 '배우'로 등장한다. 그런데 이렇게 작은 ... ...
친환경 에너지 타운에 전통녹색기술 접목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위해서는 지역 고유의 환경과 문화 공간에 적합한 신재생에너지 시설을 주민이 주도해
선정
하고, 이를 바탕으로 심미적 가치를 살릴 수 있는 특색있는 친환경 에너지 타운을 조성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하나의 요소기술로서 전통녹색기술이 검토될 수 있다. 전통녹색기술은 인문, 사회와 과학 ... ...
환경과 지역 함께 살리는 아이디어
동아사이언스
l
2015.01.14
쓰레기 처리장을 시민을 위한 공원으로 꾸밀 것을 제안했다. 아이디어상 수상작으로
선정
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김응원, 곽노현 씨 팀의 출품작도 비슷한 고민을 담아냈다. 김 씨는 쓰레기 소각시설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이용해 식물원을 갖춘 생태공원을 운영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광운대학교의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처음 제기한 프린스턴대의 천체물리학자 데이비드 스퍼겔 교수가 ‘화제가 된 10명’에
선정
된 것. 스퍼겔 교수는 발표가 있고 열흘쯤 지났을 때 관측 데이터에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한다. 즉 우주먼지가 신호에 교란을 준 걸(노이즈) 신호로 해석했다는 것. 지난 9월 유럽우주국(ESA)의 ... ...
이전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