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대로"(으)로 총 1,805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06
- 그 결과 성인 피질세포보다 발달 중인 피질세포가 더 많이 죽었고, 세포분열 과정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했다(doi:10.1016/j.stem.2016.04.014). 오가노이드 간 비교를 했을 때도, 바이러스에 감염된 피질세포는 그렇지 않은 세포보다 성장이 6% 가량 떨어졌다.정리하면 지카바이러스가 소두증을 유발하고,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06
- 아니라는 것이다. 기자가 아이에게 물려준 것이 아버지로부터 시작됐을 당시 받았던 그대로의 것이 아닌 것처럼, 기자의 아이 역시 살아가며 ‘아빠’로부터 더 많은 것을 받아서 삶을 형성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빠 노릇의 과학’은, 늦었다고 생각하는 그 순간이 가장빠른 때라고 귀띔해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06
- 세 남자들과 함께 툴툴거리며 남은 세월을 살아갈 것이다. 하지만 은성에 대한 사랑은 그대로일 것이고 그 뒤로도 윤정의 일부로 남아 그녀의 삶을 풍요롭게 할 것이다. 그리고 그건 좋은 일이라고, 정말로 좋은 일이라고 윤정은 생각했다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06
- 수상하겠다고 주장했는데, 노벨 재단이 이를 거부한 것. 이에 C씨는 노벨 재단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판결을 열흘 앞둔 이달 5일, C씨를 어렵게 만날 수 있었다.“저는 언니의 연구 과정과 결과, 그리고 앞으로 계획 등을 모두 알고 있어요. 제 뇌가 기억하고 있다고요. 외모도 이렇게 비슷한데, ... ...
- [재미] 에피소드수학_팬케이크를 맛있게 굽는 비법수학동아 l201605
- 비교했답니다.맛있는 팬케이크는 베이커 비율 175실험 결과, 겉보기는 우리가 예상하는 대로였습니다. 걸쭉한 반죽으로 구운 것은 너무 두꺼웠고 속까지 익히기도 어려웠어요. 질은 반죽으로 구운 것은 얇게 퍼져서 잘 익는 반면에, 까맣게 타 버리기 쉬웠지요.연구팀은 팬케이크의 지름과 두께의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K박사의 섬과학동아 l201605
- 나무 밑에서 탈수증과 설사로 고생하며 알 수 없는 한기에 부들부들 떨며 될 수 있는 대로 고통스럽게 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인류와 나의 모든 죄를 속죄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고독과 더 많은 고통이 필요하다고. (그러나 과연 존재 자체가 원죄일 수 있을까? 그렇다면 존재에서 비롯된 원죄를 ... ...
- Interview. 합성생물 디자인대회 ‘아이젬(iGEM)’과학동아 l201605
- MIT에 재직하던 2003년에 제안한 대회로, 합성생물학을 홍보하고자 만들었다. 그들의 바람대로 아이젬의 참가자는 매년 늘고 있다. 2004년 다섯팀에 불과했던 참가팀은 2015년에는 280팀으로 56배 늘었다.올해로 13번째를 맞는 아이젬에 출품된 작품들을 보면 정말 기상천외한 작품들이 많다. 바나나 향이 ... ...
- [Tech & Fun]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과학동아 l201605
- 워낙 그릴요리(고기나 생선을 석쇠에 구워먹는 것)를 즐기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아쉬운 대로 예나 도심에 있는 소시지 가게를 추천합니다. 언뜻 정육점처럼 생겼는데, 빵 사이에 구운 소시지를 끼워 팝니다. 저도 먹어보진 않았지만 설명이 필요 없는 맛이라고 하네요 ...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05
- 됐다.칸지는 이를 이용해 새로운 기술도 배웠다. 고고학자인 니컬러스 토스에게 배운 대로 돌을 깨서 원하는 형태의 뾰족한 돌을 만들어 보였다. 칸지는 우리의 옛 조상들이 돌을 깨서 뗀 석기를 만드는 기술을 렉시그램 언어를 통해 습득했다는 얘기다. 이뿐만이 아니다. 대부분의 하루를 숲 속과 ... ...
- [과학뉴스] ‘블라인드 안녕~!’ 자동으로 투명도 조절하는 창문과학동아 l201604
- 투명도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미국 하버드대 공학및응용과학대 데이비드 클라크 교수팀은 전류를 조절하는 방식으로 투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소재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옵틱 레터스’ 3월 15일자에 발표했다.투명도를 조절하는 창문은 기존에도 있었지만 화학적인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