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갈라진 틈
d라이브러리
"
돌파구
"(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4) 의약·산업분야 대변혁 예고
과학동아
l
199409
그 가운데서도 핵산을 어떤 정해진 자리에서 끊는 제한효소의 발견이 기술발전으로의
돌파구
가 되었다.미국의 앤슬라인 교수팀은 뉴클레아제라는 핵산을 분해하는 효소의 활성자리를 모방하여 원하는 자리만을 끊어주는 인공제한효소를 만들어냈다. 앞으로는 "이런 자리를 분해하는 제한효소를 ... ...
벽에 부딪친 초전도 연구에
돌파구
제시한 고려대 최동식 교수
과학동아
l
199309
"초전도 현상을 해석하는 기존BCS 이론이 잘못됐다는 것부터 지적하고 싶습니다"1980년대 말 세계 과학계는 초전도 열풍으로 몸살을 앓았다. 컴퓨터 혁명에 이어 20세기 대미를 장식하는 과학혁명으로 '초전도'를 추천하는데 과학자들 대부분은 주저하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초전도체 개발은 인류 ... ...
염색체 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308
그 해답을 '생명현상'에서 찾기 시작했다.생명과학이 21세기를 바라보는 인류의
돌파구
로 부상하고 있는 것이다. 생명과학의 발달은 정보처리, 신산업기술과 신물질, 신동력 등 혁신적인 과학기술의 등장을 예고하고 있다. 이런 측면에서 생명공학의 현주소를 조망해보고 앞으로의 전개방향을 ... ...
세균 크기 로봇이 몸속에 들어가 치료하는 마이크로 머신 전성시대 온다
과학동아
l
199305
로봇이 출현하게 될지도 모른다.이러한 가능성 외에 마이크로 머신 분야의 새로운
돌파구
가 생명공학에 의해 열릴지도 모른다. 스스로 판단하여 행동하고 자기복제가 가능한 궁극적인 마이크로 머신은 분명 생명체와 흡사할 것이기 때문이다. 어쨌든 인간의 미시세계에 대한 탐구와 도전이 ... ...
가이아 이론이란?
과학동아
l
199301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경고한다.과학자들이 환경문제를 새로운 연구비의
돌파구
로만 파악하는 상황을 비판하고, 예를 들어 체르노빌 사고 이후 근처의 순록을 절멸시킨 것은 지역주민에게 방사능 이상의 심각한 생존 문제를 야기한 것이라고 지적하는 것이다. 각종 환경 규약과 ... ...
기막힌 풀러렌
과학동아
l
199208
벤젠의 원자들은 6각형 고리구조를 형성하고 있다고 확신하였다.1984년엔 또다른 유형의
돌파구
가 생겼다. 휴스턴시에 있는 라이스대학의 리처드 스말리, 봅 컬 그리고 영국의 화학자인 헤리 크로토는 거대한 탄소별들을 만드는 것처럼 보이는 탄소원자고리들의 구성방법을 실험실에서 재생하고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08
자료들과 수학적으로 분할된 스펙트럼들을 보여 주었지만, 역시 고등정신활동의 파악에
돌파구
를 열지는 못하였다. 사실상 우리 머리속에 주파수가 여러가지인 사인파발진기가 몇십개씩 들어있으리라 믿는 사람은 없었고, 푸리에변환은 생물학적 잡음을 억지춘향식으로 수학에 두드려 맞추려는 ... ...
개량형 틀니 개발해 국제발명전 휩쓴 치과의사 윤한석
과학동아
l
199204
나가는 과정을 몸에 익힌 덕분에 생각이 꽉 막혀 더 이상 작업이 나아가지 못할 때마다
돌파구
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는 게 그의 체험이다.특허 취득 이후 윤씨가 직접 만든 틀니를 해 넣은 사람은 1백여명에 이른다. 이중 일부는 잘 맞지않아 다른 형태의 틀니를 해 가기도 했지만 현재까지 80%정도의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02
버리지만, 창조력이 있는 사람은 자기의 조그만 아이디어에 주의를 집중하여 새로운
돌파구
를 연다. 따라서 창조력을 높이고자 하는 사람은 자기 아이디어의 가치를 믿고 끈질기게 발전시켜 나가면 될것이다. 전문가 따로 있다는 생각 버려야똑같은 야구선수들도 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유격수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02
이러한 현상을 뛰어넘기 위해서 영화산업 종사자들은 기술적인 개발을 통한 새로운
돌파구
를 모색하게 되었다. 대형화면이 등장하면서부터어나모픽 렌즈(anamorphic lens)를 이용해 촬영했던 1952년, 영상기술사에 큰 획을 긋는 발명이 이뤄졌다. 화면을 2분의 1로 압축해서 촬영을 한 뒤 스크린 위에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