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원경
사진
d라이브러리
"
사진망원경
"(으)로 총 664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생 170주년 카메라의 무한 변신
과학동아
l
200910
1839년 프랑스의 발명가 루이 다게르는 인류 최초의 사진을 찍었다. 그 뒤 카메라는 대형 기계에서 휴대용 전자기기로 발전하며 총천연색을 그대로 담는 수준까지 진화했다. 그런데 최근 들어선 카메라가 아예 풍경과 인물 촬영이라는 오랜 기능에서 벗어나 새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뱃속을 돌아다 ... ...
‘우주 나비’ 찍은 허블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10
최근 성능을 개선한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찍은 영상이 처음 공개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지난 5월 대대적인 수리를 마친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찍은 신비로운 우주 사진을 9일 9일(현지 시간)공개했다.공개된 사진은 우주왕복선 애틀란티스호가 허블 우주망원경에 새로운 카메라를 장착한 뒤 처 ... ...
밤하늘 별은 얼마나 많을까요?
과학동아
l
200909
“우리 주위에는 총총한 별들이 마치 헤아릴 수 없이 거대한 양떼처럼 고분고분하게 고요히 그들의 운행을 계속하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따금 이런 생각이 내 머리를 스치곤 했습니다. 저 숱한 별들 중에 가장 가냘프고 가장 빛나는 별님 하나가 그만 길을 잃고 내 어깨에 내려앉아 고이 잠들어 ... ...
밤하늘은 왜 어둡나요?
과학동아
l
200908
여름휴가를 맞아 산사를 찾아 몸과 마음을 정화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며칠간 템플 스테이(temple stay)를 하다 보면 해가 지고 난 뒤 세상이 얼마나 조용해지는지, 밤이 얼마나 어두운지, 밤하늘에 별이 얼마나 많은지, 즉 자연의 본모습을 알고 놀라게 된다.밤하늘이 어두운 이유는 물론 햇빛을 받 ... ...
7월 22일 태양이 빛을 잃는다
과학동아
l
200907
7월 22일 태양의 대부분이 달에 가려지는 부분일식이 일어난다. 주변이 갑자기 어둑해지고 초승달처럼 가늘어진 태양이 하늘에 빛난다.이날 서울에서 태양을 보면 최대 약 79%가 가려진다. 이는 1948년의 금환식(태양 가장자리가 금가락지 모양으로 보이는 일식) 이후 가장 많이 가려지는 일식이다. 태 ... ...
달 정착촌 후보지 찾아 나서다
과학동아
l
200907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미국이 진행한 아폴로 프로젝트의 핵심은 달에 인간을 ‘잠시’ 보내는 내용이었다. 달에 착륙한 우주인들은 과학 연구에 쓸 다양한 표본을 수집하며 활발히 활동했지만 달에 머문 시간은 길어야 며칠에 불과했다.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세계 각국은 화성을 비롯한 다른 ... ...
하늘에서 내리는 생명수 ‘빗물’
과학동아
l
200907
| 지구를 살리는 빗물의 비밀 |한무영 지음 | 그물코|161쪽 | 1만 원 최근 물에 대한 논란이 많다. 우리나라가 유엔이 정한 물 부족 국가라는 주장이 있는가 하면 4대강 살리기 사업의 목적도 부족한 물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슬그머니 바뀌고 있다. 물에 관한 국민들의 생각도 극명히 갈린다. 일부는 ... ...
‘신의 눈’에서 ‘우주 물음표’까지
과학동아
l
200906
‘신의 눈’이라 불리는 나선성운 NGC7293. 지구에서 물병자리 방향으로 700광년 떨어져 있는 이 성운은 태양 같은 별이 최후에 바깥쪽으로 기체를 잇달아 뿜어내 탄생한 행성상성운이다. 적어도 2개 이상의 원반으로 구성돼 있는데, 마치 파란 홍채에 충혈된 눈동자처럼 보인다. 군데군데 길쭉한 배경 ... ...
별빛 끝에는 무엇이 있는가
과학동아
l
200906
500여 년 전, 대양의 끝에 무엇이 있는지 궁금했던 인류는 목숨을 건 항해에 나섰다. 그 당시 바다는 미지의 신비로 가득 찬 신화의 세계였다. 금지된 해역으로 뛰어든 선원들은 낯선 바람과 조류를 신의 분노라며 두려워했다. 하지만 그로부터 불과 다섯 세기가 지나기 전에 인류는 달에 도달했다. ...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으로 3차원 구조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05
가느다란 철사를 손으로 잡아 반으로 휘어보자. 휘어진 반쪽을 다시 반으로 휘고, 또 반으로 휘기를 반복하면 어느 순간 철사는 더 큰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휘어지지 않는다. 이렇게 재료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더 강해지고 변형이 어려워지는 현상, 즉 ‘크기 효과’는 결정 크기가 마이크로미터(1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