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릇
습관
관습
관례
적성
재능
소질
d라이브러리
"
습성
"(으)로 총 316건 검색되었습니다.
돌고래는 자는 게 자는 게 아니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0
주기적으로 물 밖으로 고개를 내밀며 항상 경계를 늦추지 않는
습성
이 있어요. 그런데도 돌고래들은 어떻게 수면부족에 시달리지 않을까요?연구팀은 돌고래들이 한순간도 편히 쉴 수 없는 상황에서 잠을 못잔 사람처럼 시각과 청각이 무뎌지는지를 실험했어요. ‘삐삐-’하는 배경음 사이에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10
그래서인지 자산어보의 내용은 생물들 사이의 친연성이나 차이보다는 개별생물의
습성
이나 맛, 용도에 주목하고 있다. 즉, 자산어보는 어민과 함께 하면서 그들의 삶을 개선시키고자 했던 정약전의 실학정신이 구체화된 저술이다. 비록 자산어보의 분류 체계가 객관적이지 못하고 초보적일지라도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
과학동아
l
200910
익룡이 한반도에 존재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번 발견은 백악기 익룡의 보행방식과
습성
을 추가로 연구할 수 있는 자료로도 쓰일 전망이다. 무엇보다도 우리나라 중생대 백악기 전기 지층에서도 거대한 익룡의 뼈화석이 추가로 발견될 가능성도 높아졌다.전 세계에서 발견된 거대 익룡 ... ...
'친구 따라 강남 가는' 잔가시고기
과학동아
l
200908
잡혀 먹힌다”며 “다른잔가시고기들이 어떻게 먹이를 찾아다니는지 보고 따라가는
습성
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잔가시고기가 천적의 눈을 피해 안전한 장소로 다니려고 다른 개체의 행동을 따라하도록 진화했다는 뜻이다.그는 “앞으로 잔가시고기 외에도 사회적 습득 능력을 가진 동물이 더 ... ...
제8회 전국학생과학논술대회 수상작(중등부 대상) - 누구를 위한 이타인가?
과학동아
l
200907
유전자는 자신의 유전자와 동일하므로 결국 자기 자신의 자손번식에 해당 된다. 그들의
습성
은 궁극적으로 자기 집단의 생존, 즉 자신이 살아남기 위함이다. 이처럼 개별 구성원이 집단을 보호하기 위해 스스로를 희생하고 심지어 자기 목숨까지 바치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재능과 유산을 ... ...
[culture] 한여름 보양식의 제왕 뱀장어
과학동아
l
200907
밝혀지지 않은 뱀장어를 옛사람들이 화생의 범주에서 설명했던 이유다.뱀장어의 산란
습성
은 20세기에 들어서야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다. 1922년 덴마크의 동물학자 요하네스 슈미트는 대서양 인근 뱀장어가 버뮤다 섬 부근 수심 2000m 이상의 깊은 바다에서 산란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일본 도쿄대 ... ...
헤엄 잘 치는 '밥도둑' 꽃게
과학동아
l
200906
없다는 뜻으로 ‘게 새끼는 집고 고양이 새끼는 할퀸다’라는 속담이 있다. 게의 잘 집는
습성
을 빗댄 말이다. 재주가 없는 사람을 앞에 두고서는 ‘게 꼬리 같은 놈’이라고 손가락질을 한다. 배가 꼬리 모양으로 짧게 퇴화한 데서 나온 표현이다. 사람이나 동물이 괴로울 때 흘리는 침을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905
덕분에 동물은 더 건강하게 지낼 수 있고 관람객은 야생에서만 볼 수 있는 동물의 다양한
습성
을 관찰할 수 있다. 풍부화 프로그램은 동물의 잠든 야성을 깨운다. 전 세계 동물원이 풍부화 프로그램에 주목하는 이유다.생명의 소중함 전달하는 일본 아사히야마 동물원요시다 토모 bambiberry@hanmail ... ...
봄 식단의 진객 주꾸미
과학동아
l
200905
낭장망이란 그물을 사용해 대량으로 잡는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곳에서 주꾸미의 산란
습성
을 이용한 전통적인 어업 방식이 성행한다. 흔히 ‘소라방’이라고 불리는 통발 어업 방식이다.소라 껍질(실제로는 피뿔고둥의 껍질) 여러 개를 끈으로 묶어 놓은 도구를 통발로 삼아 주꾸미를 잡는다. 미리 ... ...
동물원 역사는 동물이 행복해지는 역사
과학동아
l
200905
캐나다 토론토 동물원은 동물원 안에 초지, 숲, 언덕 등을 조성해 동물이 자신의
습성
대로 살아갈 수 있는 여건을 마련했다. 미국 뉴멕시코주에 있는 ‘살아 있는 사막의 동식물 공원’에서는 멕시코 국경 근처의 건조한 고원과 초지를 모래 언덕, 석회암 언덕, 사막, 냇물 유역, 숲으로 구분해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