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태
진실
진상
실제
현실
본체
d라이브러리
"
실상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10
이 땅에는 동물은 커녕 미생물조차 살기 힘든 지경에 이르렀다. 국토를 따라 연이은 산은
실상
주변 생태계와 연관을 갖지 못하는 섬이 되고 만 것이다.우리 국토는 전체 면적의 3분의2가 산이어서 우리 민족은 대대로 산을 의지하며 살아왔다. 옛적부터 우리 조상들은 스스로가 자연생태계의 ... ...
(1) '절대 시공간 존재하지 않는다' 고전 물리학 근본 뒤엎어
과학동아
l
199309
경우 주변의 시공간은 굽는 것이다.그러므로 시공간이란 탄력있는 고무판처럼 행동한다.
실상
일반상대성이론을 통해 밝혀진 중력의 본질이란 바로 이것이다. 중력이란 그의 본질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개념이다. 중력이란 물체가 시공간의 곡률을 따라 굴러다니는 현상에 불과한 것이다. 물체의 ... ...
(3) 광전효과로 '빛은 파동인 동시에 입자'라는 양자론 기본 개념 확립
과학동아
l
199309
하다"는 이중성의 본보기에서 나타나듯 양자론의 개념은 상식과는 거리가 멀다.
실상
양자론에서는 전자 역시 파동인 동시에 입자이고, 또한 여기와 저기에 동시에 있을 수 있다고 한다.여기와 저기에 동시에 있으면서 파동처럼 보이지만 막상 그 위치를 관측하면 입자인 것이 틀림없다. ... ...
태양표면의 흑점수를 세어보자
과학동아
l
199308
직시법 이외에 '태양 투영판'이라고 하는 판 위에 백색의 도화지 등을 대고 태양의
실상
을 투영하고, 그 상을 연필로 그대로 묘사하는 방법인 투영법이 있다. 투영법은 (그림)과 같이 간단한 도구를 망원경에 부착하여 망원경을 환등기처럼 사용해 스크린으로 옮기는 방법이다. 적은 추가비용으로 ... ...
나일 삼각주 침강 속도 1년에 약 2.6㎜
과학동아
l
199306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의 지질학자들은 옛 도기의 파편에서 점차 가라앉아가는 나일 삼각주의 운명을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이 연구는 세계 13개 ... 훨씬 빠른 속도다.이 지역은 지하수의 염수화와 바닷물 범람으로 위협받고 있는데, 이는
실상
세계 삼각주 지대 공통의 문제이기도 하다 ... ...
허공에서 북과 꽹과리치는 가상현실의 세계
과학동아
l
199306
정보)을 받아들이는 이미지를 담고 있다. 현재 가장 활발히 진행중인 전자(컴퓨터)혁명의
실상
을 소개하고 그것이 가져다줄 미래의 모습이 어떤 것일까를 관람객들에게 전달해주는 곳이 바로 테크노피아관의 역할이다.건물 안으로 들어서면 이른바 컴퓨터에 대해 묻고 답하는 Q&A공간이 나타난다. ... ...
정확한 초점, 선명한 사진
과학동아
l
199306
눈으로 보게 되는 것들은
실상
이 아니라 허상인 반면, 카메라 필름에 기록되게 되는 상은
실상
이기 때문에 눈으로 볼 때와 사진을 찍을 때의 접안렌즈 위치는 달라질 수밖에 없다. 눈으로 초점을 맞춘상태에서 그대로 카메라를 망원경에 부착하여 사진을 찍으면 절대로 사진이 나오지 않는다 ... ...
35㎜ 콤팩트 카메라시대 열려
과학동아
l
199302
있다. 결혼식 졸업식 등 크고 작은 일들을 추억으로 남기기 위해 사진을 찍게 되지만
실상
카메라를 대하고 보면 섣불리 알고 있는 지식이 얼마나 하잘것 없는 것인가를 절감하게 된다.사진은 순간을 포착, 사실을 기록할 뿐 아니라 상상력을 유발할 수 있다는 특징 때문에 비디오의 열풍 속에서도 ... ...
맨눈과 망원경의 차이
과학동아
l
199301
관측을 해도 별이 주먹만하게 보이지 않는다. 우선은 망원경의
실상
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다.광학기기 판매장이나 학교 과학실에서 천체망원경의 모습을 보면 "이것으로 밤하늘을 보면 별이 주먹만하게 보이고 또 우주의 모습을 들여다보면 뭔가를 볼 수 있는거구나!"라고 누구나 생각한다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11
게놈연구를 추진하는데 있어서 그 연구기준을 만들었다는 데 커다란 의의가 있다. 사
실상
이러한 보고는 인체게놈연구가 궤도에 진입, 본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반영이다.염색체 21에 대한 유전정보 탐구가 여기서 끝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각도에서 보면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