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로라"(으)로 총 145건 검색되었습니다.
- 허블통신 크리스마스 특선과학동아 l199512
- 줄 것이다. 카시니 계획은 NASA와 유럽우주기구(ESA)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토성의 오로라에 관한 연구가 시작된지는 얼마 안된다. 1979년 파이어니어는 토성 양극에 나타난 밝은 지역을 처음 발견했고, 1980년대 초 자외선관측위성(IUE)에 이어 보이저1,2호 역시 양극지방에 나타난 밝은 방출선 ... ...
- 갈릴레오호, 목성 도착 카운트다운과학동아 l199510
- 여기에서 가속된 소립자들은 자기선을 따라 목성 대기에 진입해 지구에서와 마찬가지로 오로라(극광) 현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각종 관측측정장비의 에너지원은 방사성 동위원소 열 발전기(radioisotope thermoelectric generator)로부터 공급된다. 보통 지구 주위의 인공위성에는 태양전지판이 ... ...
- 삼국시대 천체관측기록과학동아 l199506
- 주기변화, 수명, 과거에 존재했던 혜성에 관한 연구 등을 할 수 있다. 또한 태양흑점이나 오로라 관측기록들로부터 태양의 활동과 지구의 반응을 수천년간에 걸쳐 살펴볼 수 있다. 시간의 이정표일반적으로 고대사서에는 자연의 특이현상들이 많이 기록되어 있다. 그것은 자연의 비일상적인 변화가 ... ...
- 1. 고체 액체 기체에 이은 '제 4의 물질상태'과학동아 l199503
- 네온사인 등과 같이 우리 주변 가까이에도 존재한다. 북극의 하늘을 아름답게 장식하는 오로라, 태양에서 불어오는 태양풍, 또 지구에서 전파통신을 가능케 해주는 반알렌대와 같은 전리층들도 모두 플라스마가 만드는 흥미로운 자연현상이다.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플라스마가 존재하는 이유는 ... ...
- 2. 새우주 복병-자기폭풍 통신교란 위험과학동아 l199503
- 및 질소 원자들을 이온화시켜 아름다운 빛을 내게 된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알고 있는 오로라다(사진2).방사선대는 반알렌대라고도 하며 1958년 익스플로러 1호에 의해 그 존재가 발견되었다. 방사선대는 수백만에서 수억 전자 볼트의 고에너지 양성자와 전자가 존재하는 매우 위험한 지역이며, ... ...
- 목성·혜성 충돌 그 후과학동아 l199409
- 가시광선 영역에서 영상관측과 분광관측을 수행했다. 자외선 영상관측으로 새로 생긴 오로라를 관측했고 분광관측으로는 혜성에서만 볼 수 있는 Cs ${S}_{2}$ Fe Na 등의 휘선을 목성 충돌장소에서 발견했다. 무엇보다 지상의 망원경보다 거의 50배 이상되는 분해능으로 충돌장소의 미세구조를 살필 수 ... ...
- 1. 지구질량 318배, 수소·헬륨의 가스행성과학동아 l199406
- 지구질량의 3백배가 넘는 목성은 태양계의 맏형이다. 대적반으로 대표되는 대기의 복잡한 움직임과 그 내부, 오로라 등을 자세히 살펴보자. ... 오로라와 비슷한 위치를 보였다. 앞으로 오로라 화상들을 면밀히 비교 검토한다면 오로라 위치와 생성기원 문제가 풀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 2. 태양계 축소판, 16개 위성과 소행성 가족과학동아 l199406
- _{3}^{+}$ 이온에 의한 3.4미크론 영역의 적외선 오로라가 가장 밝고 아름답다. 이 ${H}_{3}^{+}$ 오로라는 필자와 바론박사에 의해 1991년 세계 최초로 촬영됐다(사진5). 에우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위성들은 분화구가 없으므로 이오와 같이 활발히 자기권의 플라스마에 입자들을 주입시키지 못한다. ... ...
- 3. 컴퓨터 모의 실험- 세기적 '우주쇼' 대예측과학동아 l199406
- 전체 양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 양에 따라서 목성의 극 근처에서 일어나는 오로라 현상에 극심한 변화를 초래할지도 모른다.다섯째 호라니 박사에 따르면 혜성의 꼬리에서 나온 물질들로 인해 목성의 주위에 또 하나의 테가 3-4년 내에 생성될 것이라는 것이다. 그는 컴퓨터 모의실험에 의해 ... ...
- 목성·혜성충돌, 지름 3천㎞ 버섯구름의 대장관과학동아 l199405
- 목성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원자나 분자는 이온화되므로 목성의 극 근처에서 일어나는 오로라 현상도 많이 변화될 것이다. 미국의 호라니 박사에 따르면 혜성의 꼬리에서 나온 물질이 3-4년 내에 목성 주위에 또 하나의 테를 만들지 모른다는 것.우리나라는 7월 중순이 장마 기간이므로 관측조건이 ... ...
이전891011121314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