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피의자
혐의자
용
주의 인물
d라이브러리
"
용의자
"(으)로 총 126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과학으로 풀어본 X파일의 실체 : 흡혈귀
과학동아
l
199707
피를 먹고 사람을 죽이는 기괴한 사건을 맡은 멀더는 수사 도중 혈액원에서 피를 먹던
용의자
를 체포해 감옥에 가두지만 그는 햇빛에 타 죽는다.괴테, 고골리 등 근대 낭만주의자들의 작품 속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인 흡혈귀는 동유럽 등지에서 중세 이래 널리 알려진 이야기다. 14세기경 흑사병의 ... ...
3. 잠재의식과의 대화
과학동아
l
199611
자기가 탔던 자동차의 엔진소리와 문고리에 있던 흠집, 실내장식 등을 기억해 냄으로써
용의자
를 검거하는데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했다. 이같은 경우는 최면이 아니었다면 범인을 잡을 수 없었을 것이다. 이와 비슷한 사례는 얼마든지 있다. 그러나 최면 상태이건 아니건 사람의 기억은 사진을 ... ...
4. 눈없이 보는 능력 초시
과학동아
l
199601
피살된 사람의 외투만으로 살인자의 인상착의를 상세하게 알아 맞춘 것이다. 경찰이
용의자
를 체포했을 때 허코스는 범죄에 사용된 무기를 감춘 장소까지 알아냈다고 한다.물질이 그것과 접촉한 모든 시공간대의 기억을 어떤 파장의 원리로 간직하고 있는 것일까. 그리고 그것을 어떻게 인지할 수 ... ...
5 유전자 지문, 범인 색출·친자감별의 해결사
과학동아
l
199509
예상되고 있다.이 DNA 분석자료는 범죄현장에서 발견되는 생물학적 흔적물의 유전자를
용의자
의 유전자와 비교하면 99% 이상의 정확도를 가진 결정적인 증거자료로 인정될 수 있으므로 이 자료만으로도 확실하게 범인을 체포할 수 있다고 경찰관계자는 말하고 있다.현재 우리나라에서도 1994년 ... ...
혈액 DNA 감정 11년 전 범죄 밝혀
과학동아
l
199406
있었다.수사본부는 즉각 사건현장에 떨어져 있던 라이터에 묻어 있던 미량의 혈액과
용의자
의 혈액을 DNA감정, 두 혈액이 완전히 일치함을 알아냈다. 종래의 ABO식이나 Rh식 등의 혈액감정법에서는 혈액형을 알더라도 개인을 특정하는 것은 무리다. 그러나 DNA 감정을 사용하면 개인을 특정할 수 있고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02
지구의 어딘가에 숨어 있는 것이 분명하다면, 이산화탄소를 숨겨줄 만한 가장 유력한
용의자
는 없고 넓은 바다였기 때문이다.하지만 심증이 있어도 확실한 증거가 없는 것이 문제였다. 용의점만 가지고는 이산화탄소의 행방을 설명하기엔 불충분했다. 더구나 앞으로도 계속 바다가 이산화탄소를 ... ...
우주감마선의 진원지는 중성자별
과학동아
l
199310
감마선분출을 설명할 수 있을만큼의 에너지는 충분히 생성될 것이다."우슬리는 또다른
용의자
도 주목하고 있다. 거대별들이 블랙홀이 되면서 감마선을 분출할 수 있다는 가정이다. 블랙홀이 형성되는 순간 아주 고온으로 가열된 일부 물질은 감마선 형태로 빠져나올 수 있다고 한다.감마선 분출의 ... ...
1 네가지 벽 허문 21세기 견인과학
과학동아
l
199212
채취한 머리카락 핏자국 침 살점 등으로부터 핵산을 추출하고 이를 증폭한 후 분석해
용의자
들 중에서 범인을 정확히 가려내는 방법이 이미 법의학에서 사용되고 있다.아직 실용화되지 않았지만 기술적 문제가 해결됐거나 조만간 성공이 기대되는 항목들은 수없이 많은데, 그중 독자의 관심을 끌만 ... ...
빅뱅이론 총정리
과학동아
l
199212
마이클 터너(M. Turner)의 표현을 빌려보자."살인현장, 시체 바로 옆에서 피묻은 칼을 든
용의자
가 있어서 범인은 쉽게 검거된듯 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피의자는 총에 맞아 죽었음이 확인됐다."부활 기다리는 우주상수우주상수 문제를 일부러 못본체 하거나 간과하려는 기존 학자들의 비겁한(? ... ...
유전자검색 어떻게 활용되나
과학동아
l
199204
유전자형 검사가 실시되어 범행현장의 혈흔과
용의자
혈액의 유전자형이 동일하다고
용의자
를 범인이라고 할 수는 없다. 범인이 아닌 사람이 범인과 동일한 유전자형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대립유전자의 수가 많고 그 유전자가 고르게 분포하면 할수록 또 여러 개의 유전자 부위를 검사할수록 ... ...
이전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