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리
음향
사운드
음
재생음
초음파
초음속
d라이브러리
"
음파
"(으)로 총 61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해저도시 건축학
과학동아
l
201205
ROV(Remotely-Operated Vehicle)와 무선장비인 AUV(Autonomous Underwater Vehicle)로 나뉜다. AUV는
음파
나 초
음파
를 이용해 해저 지형 등을 측량한다. 해저도시 건설에 필요한 것은 ROV다. 조종 설비를 갖춘 선박을 통해 광통신으로 조종, 바다 속에서도 정밀하게 작업할 수 있다. 절단 ...
국내 최강 IT기술 이제는 바다로
과학동아
l
201205
속 상태가 초
음파
신호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미리 알지 못하면, 변형돼 도착한 초
음파
신호만으론 바다 속 상태를 추측할 수 없다. 방정식을 풀어야 하는데 미지수가 너무 많아서다.해답은 러시아에 있었다. 러시아는 30년 동안 해수 표본을 채취해 바다의 기초적인 성질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 ...
Part2. 말도 안되는 배들 4S
과학동아
l
201205
탐지를 피할 수 있다. 메타물질의 원리. 파동의 굴절률을 (-)나 0으로 만들어 빛이나
음파
의 파동이 지나가도록 만든다.]지나간 흔적까지 없앤다도대체 어떻게 바다 속을 지나간 흔적까지 없애줄까. 정확하게 말하면 지나간 흔적을 적에게 들키지 않는 기술이다. 미국 듀크대 데이빗 스미스 교수팀은 ... ...
Part3. 바다 속으로 태평양을 건너다
과학동아
l
201205
조금씩 파면서 지질을 확인한다. 특히 수심이 깊어질수록 비파괴 검사에 사용하는 초
음파
의 정확도가 떨어져 아직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가 필요하다. 김동규 연구위원은 “수심이 깊을수록 해저 지반 탐사나 조사가 훨씬 어려워질 것”이라며 “마치 장님이 코끼리 코를 만지는 것과 비슷하다”고 ... ...
[4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04
하는 게 좋다. 특히 100마디의 설명보다 그림 한 장을 보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음파
진동 원리 설명을 줄이고 이를 표현하는 이미지가 있었으면 훨씬 돋보이는 기사가 됐을 것이다. 두 기사 모두 다소 어려운 과학 원리를 일상 속 소재에서 풀어내려고 했다. 이를 위해 구체적인 사례를 수집하고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04
생각하고 전략을 바꿨다. 선체 대신 더 넓은 범위에 퍼져 있는 파편을 찾는 방식이었다.
음파
탐지기로는 파편을 구별하기 어려우므로 카메라로 바닥을 훑어가며 조사했다.타이타닉의 본체는 생존자의 증언처럼 두 조각으로 나뉘어 있었다. 둘 사이의 거리는 600m였다. 수심은 3.8km였고, 본체를 ... ...
뇌조절 기술
과학동아
l
201204
뇌를 자극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뇌공학자들은 뇌의 감각 중추를 소리(초
음파
)로 자극해서 손, 팔, 다리의 감각을 느끼게 하려는 연구도 시작했다. 이런 연구가 성공한다면 가상현실에서 아바타가 느끼는 감각을 직접 느낄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기술이 사람의 생각을 읽는 기술과 ... ...
7T MRI로 더 선명하게, 더 깊게 본다!
과학동아
l
201204
등장하면서 신체 내부를 볼 수 있는 영상진단법은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했다. X선이나 초
음파
를 이용한 기존 방식은 방사선 노출로 인체가 해를 입거나 해상도가 낮은 문제를 갖고 있었다. MRI는 강한 자기장을 사용하는데 현재 널리 보급된 3T MRI는 인체에 해롭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우리 ... ...
건축도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204
해서 음의 사각지대, 초점현상, 메아리 등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청중이 있을 때에는
음파
가 옷으로 흡수되므로 이런점 까지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대개 콘서트홀은 도심에 있으므로 밖의 소음이 콘서트홀 건물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해야 한다. 건물 내에 있는 냉난방장치나 환풍기도 잡음을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03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897년 원통에 감은 얇은 주석판 위에 진동판의 작은 바늘로
음파
에 상응하는 홈을 새기고 이것을 동일한 장치로 재생해 음을 내는 데 성공한다. 이것이 축음기의 시초다.현대에는 난청인 사람들을 위해 많은 장치들이 개발됐다. 양쪽 귀가 모두 신경성 난청인 사람이나 전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