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장"(으)로 총 8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01
- 따라 음식 가열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예측했다. 맥스웰 방정식이란 전기장과 자기장의 관계를 설명하는 4개의 방정식으로, 이 연구에서는 전자기파에서 출발한 에너지 중에서 얼마나 열에너지가 되어 음식을 데우고 또 사라지는지를 계산하는 데 쓰였다.이렇게 만든 수학 모델로 버드 교수는 ... ...
- 100년 전 수첩에서 유령입자까지 남극 미스터리어린이과학동아 l201423
- 오로라가 빛을 내는 원리는 야광운과 다르답니다. 오로라는 주로 태양에서 나와 지구 자기장에 이끌려 대기로 들어온 입자에 의해 생겨요. 이런 입자들은 아주 큰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데, 지구 대기를 만나면 산소 원자와 마구 충돌하면서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해요. 이때 보이는 빛이 바로 ... ...
- 이그노벨상이 궁금해!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왜 미끄러질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21
- 위해 2년 동안 개 70마리가 똥을 1893번, 오줌을 5582번 싸는 걸 지켜봤대. 그 결과 개들이 자기장 방향에 맞게 자세를 취한다는 걸 확인했지. 으~, 정말 인내심이 대단한 걸~!극지과학 순록도 사람이 더 무서워북극에 사는 스발바르 순록은 덩치가 큰 북극곰을 무서워할까, 처음 보는 낯선 사람을 ... ...
- 국제우주정거장에서 본 초록빛 오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19
- 주로 그린란드나 알래스카처럼 북극지방에서 볼 수 있어요. 다른 지역에 비해 자기장이 엷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힘들어요. 북극지방에서 오로라를 직접 본 사람들은 하늘에 초록빛 커튼이 휘날리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고 말한답니다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12
- 복잡한 미분방정식을 풀기 쉬운 함수로 변환해 주는 방법이다.전자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이뤄져 있으며 맥스웰 방정식★을 통해서 해를 구할 수 있는데, 푸는 방법이 매우 어렵고 적용하는 것도 만만치 않기 때문에 여러 가지 조건으로 단순화시켜서 적용하고 있다.5G 시스템에서는 높은 주파수 ... ...
- PART5. 핵융합의 난관과학동아 l201412
- 비교해 보자. 핵융합 반응에 필요한 고온(약 1억K. 0K은 영하 약 273℃)의 플라스마가 자기장에 의해 가둬져 있듯, 주전자 안에는 물이 가둬져 있다. 이 때 가스레인지(외부 에너지 공급)를 이용해 물 온도를 100℃까지 올린 뒤 가스레인지를 꺼 보자. 물의 온도가 떨어지는 시간은 주전자의 보온 성능과 ... ...
- PART 2. 소행성 ‘보쌈’해 지구 구한다과학동아 l201412
- 태양전지판 두 개를 달 계획이다. 이온 추진 로켓도 장착한다. 제논 가스에 전압이나 자기장을 걸어 전자와 양이온으로 분리한 뒤 무거운 양이온을 빠른 속도로 가속시켜 내뿜는 이온엔진은 연료효율이 좋다. 시속 1만5000km까지 우주선을 가속시키기 위해 기존 화학로켓은 연료를 3500kg이나 쓰는데, ...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과학동아 l201412
- 2분 정도만 나타나며, 띠가 아닌 점 형태로 발생한다. 심지어 행성 내부 활동이 멈춰 자기장이 없을 것이라고 판단했던 화성에서도 오로라가 관측된다.글의 마지막에 이야기하게 됐는데, 사실 올해는 오로라를 관측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다. 태양은 11년 주기로 활동성이 변하는데, 올해가 활발한 3~ ...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과학동아 l201412
- 방법을 쓴다. ‘헬리 컬(helical) 코일’이라 불리는 나선형 외부 도체에 전류를 흘려 직접 자기장을 만든다. 두 장치는 구조에서도 차이가 있다. 토카막의 경우, 중심에 원통형 코일이 필요하다(그림 참조). 그러나 스텔러레이터는 원통형 코일은 필요없지만, 토로이달 코일은 여전히 필요하다.사진을 ...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과학동아 l201412
- 고에너지 전자빔 또는 이온빔을 사용해 플라스마를 가두는 관성가둠(116쪽) 방식과, 자기장을 사용해 플라스마를 가두는 자장가둠(118 및 120쪽) 개념으로 각각 발전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들 방식은 지금도 핵융합을 실현시킬 최종 후보로 꼽히고 있다. 과연 누가 에너지의 최종 왕좌를 차지할까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