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정
제한
조건
조제
속박
매뉴팩
억제
d라이브러리
"
제약
"(으)로 총 747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11
올해 1월 미국의 생명공학 벤처기업인 바이오벡스가 개발하던 항암 바이러스는 거대
제약
사 암젠에 10억 달러(1조 1000억 원)에 팔렸다. 로저 퍼뮤터 암젠 부사장은 “바이러스 자체뿐 아니라 바이러스가 유도하는 면역기능 때문에 그 정도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가장 강력한 항암 바이러스를 ... ...
펜보다 키보드
수학동아
l
201110
노트북에 달린 키 84개짜리 키보드는 노트북용 키보드의 표준이 됐다. 노트북은 공간에
제약
이 있기 때문에 숫자패드를 없애고 자주 쓰지 않는 키는 다른 키와 기능을 합쳐 쓴다. 그 뒤로 윈도 키나 알트 키를 1개로 줄이고 몇몇 키를 덧붙이면서 현재는 노트북용 키보드로 키 83~89개짜리가 많이 ... ...
꿈을 향해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09
기록으로 남긴다면 좋겠지. 생명공학 계통 대학에서 열리는 캠프를 알아보는 것도 좋고,
제약
회사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여는 캠프에도 참가해보렴. 이과생은 배경지식이 있어야 독서를 할 수 있어. 읽은 책 목록만 봐도 그 학생이 갖고 있는 지식의 수준을 가늠할 수 있지. 그러니까 지금부터라도 ... ...
Part 1. 비타민, 추락하다
과학동아
l
201108
생산된 연구 결과가 대중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유통 경로와 자본이 필요하다. 이때
제약
회사에 의해 간접적인 검열이 이루어진다. 그들은 비타민의 효능에 대해 긍정적인 결과가 나온 철 지난 연구 논문을 지속적으로 대중에게 홍보한다. 이에 반해 비타민의 효능을 부정적으로 다룬 최근 연구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07
신경들을 지나쳐야만 뇌에서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진화상의 불리한 점들을 계통적
제약
(phylogenetic constraint)이라고 한다. 그래도 오징어의 큰 눈 보다는 여러분의 초롱초롱한 눈망울이 더 예쁘니 너무 실망하지는 말자.다양한 생물의 눈에 숨은 비밀인간과 달리 다른 동물은 어떻게 세상을 ... ...
동문과 관찰지도교사의 힘 청주교대 과학 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07
일정 중간의 쉬는 시간마다 여기저기 조별로 머리를 맞대고 토론이 한창이다. 시간의
제약
이 없으니 토론은 밤늦게까지 이어진다. 야간탐구 프로그램이라는 이름이 제격이다.겨울집중교육의 마지막 밤에는 ‘사이언스 나이트’라는 특별한 프로그램이 열린다. 중등과정을 마치는 학생들이 ... ...
게보린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06
사리돈에이의 시중판매만 계속될 거라고 보기도 한다. 또 입증 책임을 당사자인
제약
사에게 맡기는 것은 옳지 않다는 의견도 많다.하지만 이번 안전성 조사는 국내 약물 역학관리 조사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것이다. 심창구 교수는 “국내 기술로 약물의 위해성을 증명해 세계에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05
2억 7800만 t에서 2009년 3500만 t으로 급감했다. 1998년 출시된 발기치료제 비아그라를 만드는
제약
회사 화이자는 반응공정을 개선해 비아그라 1kg을 만들 때 나오는 폐기물을 105kg에서 8kg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다. 한국화학연구원은 촉매를 이용해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20%나 줄인 나프타분해공정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05
염료를 이용해 흡수하는 빛의 파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금속을 쓰지 않아 자원의
제약
도 없다. 값비싼 제조설비가 필요 없어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의 2분의 1 정도의 비용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구부리거나 염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색을 낼 수 있어 쓰임새가 더 넓다. 태양전지로 만든 ... ...
과학기술인을 ‘발명부자’로
과학동아
l
201105
특허권의 주인을 밝혀 주고 적절한 보상까지 받을 수 있게 한다.김 변호사는 2003년 모
제약
회사의 전직 연구원이 자신이 한 발명 특허에 대해 회사가 보상을 해 줘야 한다고 낸 소송을 승리로 이끌어 냈다.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이었다.“일본에서는 이듬해인 2004년, 우리 돈으로 2000억 원(200엔)이나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