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지
방해
중단
중절
단선
둥에서 잡기
가로채기
d라이브러리
"
차단
"(으)로 총 998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08
종은 시야각이 180°나 돼 자신의 꼬리까지 볼 수 있었고, 햇빛을 가려 눈부심을 방지하는
차단
막까지 갖추고 있었다(오른쪽 페이지 첫번째 사진).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 다른 절지동물은 물론 삼엽충의 친척 중에도 눈이 아예 없는 종류가 많았던 것에 비하면 천지차이다. 앞서 말했듯, 삼엽충의 ... ...
개와 고양이가 자외선을 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6
자외선을 막지 않으면 눈이 멀 수 있어 자외선을 볼 수 없다는 거지요.또 자외선을
차단
하면 시야가 더 선명해질 것이라고도 추측하고 있어요. 더글라스 교수팀은 추측한 내용이 사실인지 알아내기 위해서 더 연구할 계획이랍니다 ...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6
수 있는 앱을 이용하는 것이 좋아. 플에이스토어나 애플스토어에서 '중독방지'나 '유해
차단
' 같은 검색어를 입력해 제시되는 앱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거야. '스마트보안관' 같은 앱은 일정 시간에는 전화기능만 되고 앱과 인터넷을 쓸 수 없게 조절해 줘. 또 어떤 사이트에 접속하는지 확인해 해로운 ... ...
피아노 VS 파이프오르간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5
음량이 작은 고음을 풍부하게 만들기 위해서예요. 피아노는 건반에서 손을 떼면 진동
차단
장치가 현으로 내려와 모든 소리가 멈춘답니다. + 현을 튕기는 건반악기도 있다?작은 피아노처럼 생긴 하프시코드(쳄발로)는 건반을 누르면 건반 끝에 달려 있는 가죽인 플렉트럼이 현을 튕기면서 소리를 ... ...
우유속 단백질, 화재 막는다!
과학동아
l
201404
발라 내연성을 강화시키는 물질이다.연구팀은 불에 닿으면 고분자층을 형성해 열전달을
차단
하는 인산염이 카제인에 많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카제인을 발라 코팅한 면과 폴리에스테르를 대상으로 연소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면은 15%, 폴리에스테르는 23%만 타고 저절로 소각되는 ... ...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4
매몰하고 발생 농장을 모두 폐쇄한다. 위험지역 내에는 가축과 차량 등의 이동을 완전
차단
하고, AI가 퍼질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되면 지역 내 가금류를 살처분한다.AI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각각의 농가별 방역이 가장 중요하다. 김재홍 교수는 “특히 온도가 낮은 겨울과 유기물이 있는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02
만드는 유전자 치료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동물실험 결과 p53은 암 줄기세포 발생을
차단
할 순 없지만 악성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데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유전자 치료법은 기존의 항암치료법에 비해 완치율이 크게 높진 않다. 하지만 항암제 치료에 비해 부작용이 적고, 한 치료제로 ...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2
꺼지지 않는 거품을 만들 수 있답니다.우유거품은 커피 위에 막이 생기는 것을 막고 열을
차단
해 오랫동안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어요. 하지만 우유가 너무 뜨거우면 거품벽이 빨리 말라버려 거품이 잘 생기지 않아요. 거품을 내려면 7~8℃의 차가운 우유에서 수증기로 재빨리 만들어야 하지요 ... ...
[독자탐방] 미술관에 숨겨진 수학을 찾아서!
수학동아
l
201401
’라는 단순한 질문으로부터 조사를 시작했지요. 덕분에 독감이 발생한 지역의 주변을
차단
해 독감이 퍼지는 것을 막을 수 있었어요.뿐만 아니라 복잡계 네트워크 이론을 활용하면 선거 결과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요. 이처럼 복잡계 네트워크 이론은 실생활에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답니다.현재 ... ...
고압송전탑 밑에 살면 정말 암에 걸릴까?
과학동아
l
201401
동원해 어떻게든 원인을 찾아내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연구진이 섣불리 가능성을
차단
했다”고 비판했다. 더구나 최 소장은 “이번 연구는 154kV와 345kV 고압송전선만 조사해 최근 개발된 765kV 고압송전선의 위험성을 증명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연구팀은 보고서에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