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어귀
강어구
후미
협만
강구
d라이브러리
"
하구
"(으)로 총 158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07
때 약통에 붙은 소형로켓에 불이 붙어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폭발한다)은 주로 압록강
하구
의 의주성에서 강건너편에 있는 오랑캐들에게 사용했는데 이로 미루어 보아 사정거리는 1.5~2km는 됐던 것으로 추측된다.신기전의 구조는 약통과 발화통(폭탄) 그리고 길다란 안정막대로 구성돼 있다. 발화통을 ... ...
남해안 철새도래지
과학동아
l
199203
낙동강
하구
탐사에 나섰다. 우리나라 최대 겨울철새 도래지인 낙동강
하구
는 87년
하구
언 댐공사 후 많은 변화를 겪었다. 우선 철새의 숫자가 크게 줄었으며 앞에서 지적한 대로 바다철새종이 많이 발견됐다.을숙도를 한바퀴 돈 후 을숙도 남단에서 강자도 상륙작전을 시도했으나 수면이 낮아져 ... ...
주남·낙동강
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03
같은 맥락에서 주목해야될 것입니다.
하구
언 댐공사의 영향을 보다 정확히 조사하려면
하구
언의 상류지역도 탐사해 조류상을 조사했어야 했는데 그러지 못한 것이 서운합니다.최진복 저는 슬라이드를 학습자료로 쓰려고 사진찍는데 주력했습니다. 생물을 전공했지만 이처럼 조류를 집중적으로 ... ...
베네치아
과학동아
l
199201
급속히 무역의 중심지로 성장해 간다. 역S자형의 대운하가 시가지 중심을 지나가고 운하
하구
에 장대한 산마르코광장(廣場)이 자리한 기본적인 도시형태는 산마르코대성당을 비롯한 교회 궁전 등과 더불어 13세기에 벌써 완성돼 있었다. 14세기에서 15세기 초에는 해양무역이 절정을 이뤘으며, 19세기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01
남녀따로 그 복잡한 수업시간표를 짤 수 있어? 만약 학생들이 한쪽으로 몰리면 어떻게
하구
?" 학생들의 편의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는 이선생과 학교 입장을 고려해 달라는 교감선생의 토론이 한시간이 넘도록 계속되지만 좀처럼 서로의 거리가 좁혀질 것 같지 않다.이런 장면은 요즘 어느 ... ...
파타고니아
과학동아
l
199112
대변해 주는 것이다.여름이 평상시보다 조금 더 따뜻하기라도 하면, 빙하의 녹은 물이
하구
지역을 범람시키기도 한다. 빙하. 특히 아름답기 그지 없는 곡(曲)빙하를 상공에서 내려다 보면 경탄을 금치 못할 정도다. 그리고 여러곳에 빙하호가 산재해 있고, 안데스산맥의 연장부에는 2천m가 넘는 높은 ... ...
낙수가 만들어낸 구혈과 폭호
과학동아
l
199107
물은 높은 지역에서 낮은지역으로 흘러 하천을 이루는데 거의 대부분이 바다와 접히는
하구
지역은 경사가 완만한 평지지역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그대로 하천이 바다로 유입된다. 따라서 해안 폭포가 발달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상태다. 우리나라 해안지역에는 거의 발달돼 있지 않지만 ... ...
줄어드는 삼각주
과학동아
l
199102
불리는 이유는 그리스문자인 델타가 삼각형인 까닭이다). 요즘은 모든 강의
하구
를 삼각주라고 부르는데 사실 미시시피 강의 삼각주처럼 전혀 삼각형이 아닌 것도 있다.이집트는 고대엔 지구상에서 가장 부유한 국가였다. 기원전 1500년부터 1200년 사이에 이집트의 군대는 나일강 상류와 ... ...
기름을 분해하는 박테리아
과학동아
l
199008
3차에 걸친 연속적인 배양을 통해 성장도가 빠른 균주들을 선별하였다. 그 결과 낙동강
하구
의 경우 총 3백96개의 단일 균주중 단독으로 유류분해를 할 수 있는 1백51개의 유류분해균주를 선별해 분리하였고, 광양만에서는 1백47개의 단일균주중 74개의 단독유류분해균주를 분리했다.그 분리된 종류를 ... ...
동물원 밖에서는 이미 찾기 힘들다
과학동아
l
199007
부근에서 잡힌 암컷은 황오리와 청머리오리의 자연잡종으로 보고되었고, 1913년경 금강
하구
에서 잡힌 수컷 한마리와 1916년 12월 부산 낙동강 하류에서 잡힌 암컷 한마리 등 네마리가 지구상에 남아있는 표본이다. 소련 것은 덴마크의 국립박물관에 있고 우리나라에서 잡힌 암수는 일본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