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카레 비법] 야채를 모아 볶아요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당근과 감자가 프라이팬에 모였어요. 당근 1개와 감자 9개가 모여 총 10개! 당근과 감자가 모여 10개가 되는 방법은 또 무엇이 있을까요? 다음으로 양파와 토마토가 모였어 ... 시간! 탕에 모인 채소들은 모두 똑같이 노란 옷을 입고 카레 채소로 변신해요. 카레 채소는 모두 몇 개일까요 . ...
- [카레 비법] 채소탕에 모으고 그릇에 갈라 먹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그릇에는 채소가 몇 개 담길까요? 드디어 맛있는 카레를 맛볼 시간이에요. 카레 채소 12개가 담긴 밥을 숟가락으로 듬뿍 뜨니, 채소가 3개 담겼어요. 12에서 3을 빼면 얼마일까요? 두 가지 방법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 어떤 방법이든 가르기를 활용하면 뺄셈은 식은 카레 먹기! 그럼, 남은 카레 채소도 ... ...
- 영재학교 전교생이 열광하는 소수교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보이는 활동이지만, 억지스러운 활동은 아니다. 우리 신체 대부분은 첫 번째 소수인 2개인 것이 많으며, 18세는세이고, 학번 107은이듯 1과 소수만을 이용해 모든 수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화 프로그램을 거친 뒤에 소수교 정식 부원이 되면 일주일에 한 번씩 모여 각자 소수를 공부한 내용을 ... ...
- 모든 수의 근원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부터 순서대로 동심원 위에 시계 방향으로 나열하면 이 같은 그림이 나타난다. 숫자 24개마다 한 줄 밖의 원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돼 있고, 소수는 흰색 원 안에 표기했다. 그러자 소수는 2와 3을 제외하고는 특정 선 위에만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하지만 여기까지. 각 직선을 보면 전혀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것이라 호언장담했다. 페이스보다 앞서 더 거대 소수 찾기에 빠졌던 수학자가 있다. 4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은 커티스 쿠퍼 미국 센트럴미주리대학교 교수다. 그는 2005년 43번째 메르센 소수 230402457-1을 찾은 것을 시작으로, 2006년 44번째, 2013년 48번째, 2016년 49번째(추정) 메르센 소수를 찾았다. ... ...
- 리만 가설을 향한 수학자의 끝없는 도전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정답은 ‘큰 영향은 없다’다. 앞서 이야기했지만, 리만 가설은 소수의 개수가 대략 몇 개인지 알려주는 함수다. RSA 암호의 핵심은 엄청 큰 수를 소인수분해 하는 게 어렵다는 걸 이용한 것이므로, 리만 가설과 직접 관련이 없다. 설령 소수를 전부 찾을 수 있어도 소인수분해는 다른 문제다. 물론 ... ...
- Part3. 대규모 언어모델 AI 로봇 혁신할까과학동아 l2024년 02호
- AI보다 뒤쳐진 것은 사실이다. 이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로봇공학은 통일된 학습 모델 개발과 임무 처리 과정을 추론하는 연구로새로운 돌파구를 찾고 있다. 아직 갈 길은 멀다. 김 책임연구원은 “로봇 작업 모델을 통합하려는 시도는 시작단계”라며 “상용화에 도달한 AI와 비슷한 수준으로 가기 ... ...
- [COP28리뷰] 한국은 왜 ‘오늘의 화석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인터내셔널이 발표한 주요국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평가에서 유럽연합(EU)을 포함한 67개국 중 64위를 기록했습니다. 한국보다 순위가 낮은 나라로 산유국인 아랍에미리트, 이란, 사우디아라비아가 자리한 것을 보면 꼴찌나 다름없는 셈이죠. 평가 기준은 온실가스 감축량, 재생에너지 비율, 에너지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배치해 언어 내 단어 간 패턴을 찾는 알고리즘이고, 비지도신경망은 전혀 모르는 두 개 언어가 주어졌을 때, 두 언어를 충분히 분석하기만 하면 두 언어를 번역하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는 알고리즘입니다. 이를 통해 지구종프로젝트는 현재 까마귀, 벨루가, 얼룩말핀치새 등의 울음소리를 분석 ... ...
- [빅테크 기업들의 생성 AI 독주 속 START-UP 살아남는 방법] 포자랩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미디 데이터에는 악보 정보가 담겨 있어, 인간이 악기를 다루는 것 같은 연주법을 개발할 때도 유용하다. 포자랩스는 그동안 연구한 ‘미세한 셈여림 정보 생성 인공지능 기술(MID-FiLD・MIDI Dataset for Fine-level Dynamics)’을 AI 최고의 학회인 AAAI에 2023년 12월 발표했다. 이는 악기의 주법에 따라 변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