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찰제
연고제
경고
붕대
연고
d라이브러리
"
고약
"(으)로 총 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은 모순을 먹고 자란다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있는데, 자기 자신을 포함하는 집합은 양파처럼 껍질을 벗겨도 또 자기 자신이 나오는
고약
한 성질을 갖는다. 이것을 악성집합이라고 하자. 그리고 악성이 아닌 것, 즉 자기 자신을 포함하지 않는 집합을 양성이라고 부르자.모든 양성집합의 집합을 R로 표시한다. 즉 R의 요소이면 양성집합이며, ... ...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불만이 높아졌다. 또 '대통령보다 많은 봉급'을 받게 되면서 시끄러운 기계소리나
고약
한 약품 냄새가 나는 연구실에 들어가지 않고 호화로운 해외나들이나 즐기는 귀족과학자와 터무니 없는 기술로 돈을 요구하는 기술 사기꾼들이 들끓기 시작했다.실제로 박 대통령은 원자폭탄에 대한 집념 때문에 ... ...
3. '지구의 허파' 열대우림 파괴는 어떤 핵전쟁보다 끔찍한 일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기체는 염화불화탄소(CFCs)다.이 기체는 지구에서는 대기권의 오존층을 파괴하는
고약
한 오염물질로 지목받고 있다. 만약 처치 곤란한 이 기체를 미소 냉전체제의 붕괴로 쓸모가 없어진 대륙간탄도탄 미사일에 실어서 화성에 보낸다면 온실효과를 증폭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CFCs의 ... ...
마늘, 암 예방·살균작용에 놀라운 효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웬만한 자리에서는 꺼리게 되는 '고민거리'도 제공하는데, 먹은 뒤 한동안 없어지지 않는
고약
한 냄새가 그것이다. 이는 마늘에 들어 있는 아릴화합물이 타액이나 위액 등과 반응 하여 악취물질이 생겨나는데 따른 것이다.마늘 냄새를 없애는 간단한 방법은 얇게 썰어 물에 담가두거나 열을 가하는 ... ...
라플레시아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피어나면서 땅을 향해 젖혀지고 전체에 걸친 우유빛 반점이 퇴색, 적갈색으로 변하면서
고약
한 냄새가 나기 시작 한다. 이때 파리들이 냄새를 맡고 몰려드는 데, 파리들은 꽃속을 드나들며 수분(授粉)을 도와준다.꽃은 핀 지 3~4일쯤 지나면 전체가 검게 변하면서 죽은 시체같이 돼버린다. 그래서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맛과 같았다고 한다. 공기의 순도를 나타내대부분의 지의류는 맛이 쓰고 끈적거리며
고약
하다. 유명한 자연 과학자인 시튼(Ernest Thompson Seton)은 바위에 붙은 너절한 지의로 오크라수프(gumbo soup)를 만드는 처방을 마련하였다. 그에 의하면 지의류를 여러번 씻은 후 (나무재 혹은 중조로 어떤 유해한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예상했던 일이 생기고 말았다. 이 신기한 새 비단은 난로 가까이만 가면 불이 붙는
고약
한 성질을 보였던 것이다. 면화약으로 섬유를 만들었으니 그럴 수밖에 없지 않은가. 사실은 질산셀룰로오스 섬유를 처음 만든 사람은 샤르도네가 아니고 조세프 스완이었다. 스완은 1883년 질산 셀룰로오스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 말은 MIT 학생들이 무슨 법칙이라도 되듯이 주기적으로 만들어내 던 대학 내의
고약
한 농담을 지칭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용어가 TMRC 회원들에 의해 사용되었을 때 거기에는 새로운 의미가 함축됐다. 그들은 작업과정 그 자체에서 느껴지는 순수한 즐거움 이외에 어떠한 목표도 갖지 않는 ... ...
하이에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발톱이 나 있다. 그리고 사향삵과(科)동물과 유사한 항문선(腺)을 갖고 있어 냄새가 아주
고약
하다. 또 짖을 때 머리를 땅에 가까이 대고 '아우 아우'하고 소리내는 것도 특이하다.이들의 활동은 주로 밤에 이뤄진다. 철저한 야행성 동물로 일정한 영토 내에 굴을 파고 살아간다. 그래서 밤거리의 ... ...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사실을 밝혀냈다.NRI의 생태학자인 헬라이나 블랙은 "지금까지 곤충학자들은 흰개미를
고약
한 해충으로만 알아왔다. 아마도 흰개미가 익충(益蟲)역할을 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일 것이다"라고 말한다.한편 과학자들은 흰개미가 왜 수직 대신 수평방향으로만 집을 짓는지 궁금해하고 있다. 블랙은 ... ...
이전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