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볼
공로
공적
무
구
뽈
성공
d라이브러리
"
공
"(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브릭 작품의 세계로 초대합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작가, 하비앤토이 대표 인터뷰) Q. 레고
공
인 작가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A. 레고
공
인 작가는 덴마크의 장난감 회사인 레고사가 인정한 작가예요. 작품을 꾸준히 내는 브릭 작가로 활동하면서 창작 실력을 인정받아야 하지요. 자신이 만들고 싶은 작품을 실제로 만들어내는 실행력이 ... ...
[출동! 슈퍼M] 더 부드럽게, 더 멀리~! 바람의 비결은?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2호
되어 있어요. 나선형 안전망을 통과한 바람은 비틀어지면서 회오리바람이 돼요. 즉,
공
기순환기는 날개의 모양과 안전망의 모양으로 인해 강력한 회오리바람을 만들게 돼요. 그래서 바람이 흩어지지 않고 뭉쳐서 멀리 나아가게 ... ...
[매스미디어] 태양의 서커스 : 뉴 알레그리아
수학동아
l
2022년 12호
흔들리거나 떨어지지도 않고 가만히 있을 수 있는 지점을 ‘무게 중심’이라고 해요.
공
연 사진을 바탕으로 무게 중심을 찾아봐요. 가장 꼭대기에 있는 단원의 손바닥에서부터 인간 탑의 가장 아래에 있는 사람까지 쭉 선을 그리면 그 선의 어딘가에 무게 중심이 있습니다. 선분의 가운데 지점에서 ... ...
[특집] 네모난 브릭으로 원 만들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2호
사용하는 정사각형 칸이 많을수록 곡선을 더 잘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김성완 레고
공
인 작가는 ‘인간과 고양이’ 작품을 만들 때 실제 고양이의 2배 크기로 만들었어요. 고양이 몸의 곡선과 표정을 세심하게 표현하기 위해서지요. 브릭 조각을 모을 땐 분수를 이용해요! 원하는 크기의 ... ...
[특집] 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 진출, 통계로 점치다!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수학 모형을 이용한 모의실험으로!Part3. [특집] 숫자로 보는 별별 월드컵Part4. [특집]
공
은 둥글지만 통계는 날카롭다 월드컵 예측!Part5. [특집] 축구 덕후 수학자의 월드컵 결과 예측! 우승컵은 누구의 품으로 ... ...
[특집]
공
은 둥글지만 통계는 날카롭다 월드컵 예측!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교수팀이 만든 모형을 이용해서 분석해 봤어요. 폴리매스 어셈블인 유태영 서울대 컴퓨터
공
학과 학생과 김홍녕 KAIST 수리과학과 학생이 2001년부터 2021년까지의 A매치 결과를 김 교수님의 통계 모형에 넣어 2022 카타르 월드컵의 각 팀의 16강 진출 확률을 예측했습니다. 그 결과 우리나라와 같은 H조 ... ...
[인터뷰] 특별 인터뷰 시리즈 1. 최초를 넘어 최고로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몇 년째 들고 있으니 학계에서 고립될 것 같았지요. 포기하고도 싶었지요. 그렇지만
공
들인 시간을 무의미하게 만들고 싶지 않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계속했어요. 젊은여성수학자상 덕분에 내 연구의 의미를 알아주는 곳이 있다는 생각에 감사했지요.” 이 경험 덕분에 ‘시간을 들인 만큼 문제는 ... ...
[출동! 슈퍼M] 축구
공
을 알면, 첨단 과학이 보인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1호
더했어요.
공
인구 최초로
공
에 NFC(근거리무선통신) 칩을 넣어서,
공
을 차는 속도나
공
의 위치를 추적하고 분석할 수 있게 됐지요. 용어 설명 *분자: 물질이 가진 성질을 나타내는 가장 작은 입자(알갱이)예요 ... ...
[특집] 새로운 기술로 더 편리하게 수학으로 더 정확하게!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당시 골대와 가장 가까운 두 팀의 선수들의 위치 좌푯값을 확인하지요. 단 한 점이라도
공
격수의 좌푯값이 수비수의 좌푯값보다 골대에 가까우면 이 정보를 현장에 있는 주심에게 알립니다. 마지막으로 주심은 비디오를 확인하고 판정을 내리는 거지요. 과연 이번 월드컵에 처음 도입된 시스템은 ... ...
[카타르 월드컵, 과학으로 즐기기] 인
공
지능이 예측하는 한국 16강 진출 확률은?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세계 최강이라는 독일 대표팀을 상대로 2:0 승리를 거뒀다. 하지만 볼 점유율과 패스 성
공
률, 유효슈팅 비율 등 축구 경기력을 나타내는 지표를 살펴보면 처음부터 끝까지 독일이 지배한 경기였다. 이 때문에 러시아 월드컵 독일전은 ‘간절함’이 승부의 외적 변인으로 작용한 사례로 꼽히기도 한다.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