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궤"(으)로 총 48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포스트 ISS 시대, 달 우주정거장이 되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현재는 한국형발사체 개발, 차세대 중형 위성 및 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 시험용 달 궤도선 개발 등을 독자적으로 진행 중”이라며 “NASA, JAXA 등과 국제 협력을 통해 ISS를 활용한 우주 실험에도 참여하는 등 ISS 이후의 유인 우주탐사 시대를 위한 토대를 닦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주도로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지구로 떨어지게 돼요. 큐브샛에 달린 팔이나 그물로 우주쓰레기를 직접 잡아 저궤도로 떨어뜨리는 방법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음료수 캔이 인공위성이 된다?! 큐브샛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Part 2. [활약1] 뭉치면 강하다!Part 3. [활약2] 지구를 넘어 ... ...
- 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우주선을 발사한 뒤, 한 대로 외계 태양빛을 가리고 다른 한 대로 외계행성의 주기나 궤도 등을 관찰하는 거예요. 이때 얇고 커다란 막을 이용해 외계태양의 빛을 가릴 계획이에요. ‘별 그림자’라고 불리는 이 막은 평소에는 작게 접혀 있다가, 해바라기 꽃잎 모양으로 활짝 펼쳐지며 인공 ... ...
- [과학뉴스] 화성에는 돌풍과 함께 눈이 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보내 준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지요. 피닉스호는 화성의 강수량을, 두 궤도 위성은 온도에 따라 시시각각 변하는 대기 상태 정보를 보내 줬답니다. 화성은 낮과 밤의 기온차가 커요. 그래서 낮에서 밤으로 바뀔 때 순간적으로 대기 속에 포함된 수증기가 얼면서 구름이 만들어지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어둠 속에 남겨진 쪽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가벼우면서도 높은 기압과 뜨거운 온도를 견딜 수 있을 만큼 단단한 소재가 필요해요. 또 궤도 차이에 따라 공전 속도가 다른 소행성과 건물이 안정적으로 돌 수 있도록 하는 기술도 필요하다는 거죠. 앞으로 과학기술이 더 발전한다면 상상 속에 서나 가능했던 소행성에 거꾸로 매달린 건물이 ... ...
- Part 5. [미션 임파서블] 태양열을 견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위해 금성을 이용해요. 금성의 중력을 이용해 속도를 줄이면서 태양에 더 가깝게 가도록 궤도를 바꾸는 거예요. 탐사선은 태양을 24번 도는 동안 금성을 7번 지나치는데, 금성을 지날 때마다 태양과 점점 가까워진답니다.이렇게 행성의 중력을 이용해 속도를 바꾸는 방법을 ‘스윙바이’라고 해요.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되었다. 그들도 나만큼이나 자신들이 어떤 존재인지 궁금했던 것이다. 지구에서 화성 궤도까지는 보름가량 걸렸다. 마침 화성이 지구에 근접해 있었고, 나는 여객선이 아니라 군함을 타고 갔다. 크기는 작은데 엔진이 42개나 달린 배였다. 다른 승무원들 앞에서 침착하게 보이려 애썼지만 잘 되지 ... ...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중력을 가지면서도 다른 행성의 위성이 아닌 천체를 말한다. 행성과의 차이점은 공전 궤도 인근에 다른 천체들을 흡수하거나 튕겨내지 못했다는 점이다. 이런 이유로 명왕성이 행성에서 왜행성으로 강등됐다. 연구팀은 유럽 지역의 관측소 10곳에서 망원경 12대로 하우메아를 관찰한 결과 반지름 약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근접 비행인 ‘그랜드 피날레’를 시작했다. 시속 12만km 속도로 토성과 그 고리 사이 궤도를 22바퀴 돌고 최종적으로 토성 대기에 근접하는 ‘죽음의 비행’이었다. 카시니는 그 과정에서도 토성 자기장과 중력, 고리에 대한 정보를 지구로 전송했다. 9월 12일에는 타이탄에 11만9049km까지 접근하며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3개월에서 1년으로 늘리고, 탑재체 수를 4개에서 2개 더 추가해 총 6개로 늘렸다. 달 궤도 진입용 고출력 추력기를 국내 기술로 개발하고 전력제어장치 등 전장품을 기존의 80kg에서 50kg수준으로 경량화하는 방안도 포함시켰다. 이 교수는 “우주 기술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은 앞으로 더 치열해질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