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물"(으)로 총 541건 검색되었습니다.
- [Culture] 계란과 고기 단백질의 결착력, 생선전 & 동그랑땡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슬이 풀리기 시작합니다. 그러다가 특정 온도가 되면 사슬들이 서로 결합하면서 그물조직을 이룹니다. 즉, 계란이 단단하게 굳습니다. 계란이 굳기 시작하는 온도는 흰자가 63도, 노른자가 70도입니다. 전을 부칠 때처럼 흰자와 노른자를 섞었을 때는 약 73도에서 굳기 시작합니다. 계란 단백질에서 ... ...
- Part 3. 호모 사이보그, 텔레파시를 보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주사기로 머리에 뉴럴 레이스를 넣으면 뇌 안에서 넓게 그물처럼 펼쳐져요. 그러면 이 그물이 뇌의 신경 신호를 컴퓨터로 전달하고, 반대로 컴퓨터의 전기신호를 뇌로 전달할 수도 있어요. 쉽게 말해 머릿속 정보를 컴퓨터로 다운로드 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뇌로 업로드할 수 있는 장치랍니다. ... ...
- [Culture] 이황화결합과 가교결합, 크루아상 & 애플파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S-S)이 생깁니다. 글루텐이라는 새로운 단백질이 생기면서 단백질 사이사이에 튼튼한 그물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이 구조 때문에 글루텐은 매우 쫄깃합니다. 즉, 쫄깃한 빵이나 국수를 만들려면 글루텐이 많이 생겨야 하고, 그만큼 오랫동안 반죽하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크루아상이나 애플파이는 ... ...
- Part 4. [활약3] 우주쓰레기를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이 힘에 의해 궤도 아래쪽으로 밀려나며 지구로 떨어지게 돼요. 큐브샛에 달린 팔이나 그물로 우주쓰레기를 직접 잡아 저궤도로 떨어뜨리는 방법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음료수 캔이 인공위성이 된다?! 큐브샛Part 1. 작지만 강한 큐브샛Part 2. [활약1] ... ...
- [가상인터뷰]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중력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1호
- 아인슈타인: 우주는 시간과 공간의 그물로 이루어져 있어요. 질량을 가진 물체는 이 그물을 휘게 하지요. 따라서 물체가 움직이면 주위의 시공간도 함께 변해요. 이러한 시공간의 변화가 파도처럼 일렁이며 주변으로 퍼져나가는데, 이게 바로 중력파예요. 하지만 전 중력파를 수학적인 개념으로 ... ...
- [현장취재①] 해양 생물의 가장 위험한 먹이, 플라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8호
- 있기 때문이지요. 교수님은 “한 번 얽힌 그물은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고래나 물개가 그물에 끼여 목이 졸린 상태로 평생 살아가야 하는 경우도 있다”며, “비닐봉지나 풍선도 바다거북이 ‘해파리’로 착각하고 먹기 쉬워 매우 위험하다”고 덧붙였답니다. 그렇다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트라이큐빅스가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이 동영상에서 다각도의 얼굴 이미지를 뽑아 3차원 그물 구조로 만든 다음, 여기에 실제 피부와 동일한 색깔과 질감을 입히는 원리다. 트라이큐빅스 관계자는 “얼굴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해 실제 피부색을 제외한 조명 등 다른 빛을 ... ...
- [Origin] 착한 일을 하면 福을 받는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D가 C를 돕는 식으로 꼬리에 꼬리를 무는 경우도 흔할 것이다). 도덕은 간접 상호성의 그물망간접 상호성은 직접 상호성보다 더 섬세하다. 직접 상호성에서 ‘내가 널 도와줄지는 과거에 네가 날 도와줬는가’에 달렸다. 간접 상호성에서 ‘내가 널 도와줄지는 과거에 네가 다른 누군가를 도와줬는가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레이저를 사용해 또 하나의 커튼을 만든다. 레이저 막 안쪽에는 다시 탄소나노튜브로 그물을 만들어 적이 쏘는 광선이나 포탄을 삼중으로 막는 보호막 아이디어였다. 하지만 플라스마를 높은 밀도에서 오랫동안 가둬놓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좁은 공간에 감금된 플라스마는 주변으로 ... ...
- [Career] 우리만 가졌다 차세대 전극 제조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기억이 생생하다”고 말했다. 그래핀을 만든 뒤에는 거미줄처럼 얽히고 설킨 은나노선 그물을 만들어 그래핀으로 덮어야 했는데, 이 과정을 손에 익히는 데에도 4개월 가까이 걸렸다. 힘든 과정이었지만 이를 통해 은나노선을 그래핀으로 덮는 효율적인 방법도 개발할 수 있었다. 이 교수팀은 올해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