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굶주림
기근
공복
허기
시장
공복감
공복증
d라이브러리
"
기아
"(으)로 총 167건 검색되었습니다.
4륜구동의 비밀은 힘나누기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RR(rear engine rear drive)방식이다.우리나라에서 시판되고 있는 차중에서 4륜구동방식은
기아
스포티지, 쌍용 무쏘와 코란도, 아시아 록스타, 현대 갤로퍼, 산타모 등이 있다. 현대의 스타렉스도 곧 4륜구동 모델을 내놓을 것이란 소식이다.4륜구동방식의 특징은 무엇일까. 2륜구동방식에서 동력이 연결된 ... ...
3만분의 1확률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좋은 쪽을 선택한다.실제로 미국에 시판되는 현대 쏘나타는 2.4엔진이 주종을 이룬다.
기아
아벨라도 국내는 1천3백cc가 대부분이지만 미국에는 1천5백cc가 수출된다. 새로 개발된 대우 누비라도 국내에는 1천5백과 1천8백cc가 판매되지만 미국에는 1천6백과 2천cc를 수출할 예정이다.엔진의 출력이 ... ...
Ⅱ. 부드러운 장기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걸리게 된다. 즉 혈액에는 포도당이 많고 정작 포도당이 필요한 신체 곳곳의 세포는
기아
상태에 시달리게 된다.최근 동물이나 사망한 사람으로부터 췌장세포를 떼내 배양기에서 기른 인공췌장을 만들고 있다ㅏ. 이 경우 췌장자리가 아니더라도 몸의 아무 곳에서나 인공췌장을 투여하면 기능 ... ...
공기흐름 막는 액세서리, 달면 손해?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에어백이 튀어나와 탑승자를 보호해주는 사이드에어백을 개발, 시판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아
자동차는 세계 최초로 지프형 승용차인 스포티지에 운전자의 다리부분을 보호해주는 레그룸에어백의 장착을 계획하고 있다. 에어백이 탑승객의 안전에 기여하는 것은 기정사실이지만 단점도 많아 논란의 ... ...
2. 디지털 사회 생존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못하고 있다. 정보는 외우는 것이 아니라 사용하는 것이다. '물고기' 를 주는 것으로는
기아
의 문제를 해결할 수 없듯이 오늘의 젊은 세대에게는 정보를 사용해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정보생산자 교육을 해야 한다. 바로 이것이 비트시대의 교육이며 디지털 사회가 '남의 잔치' 가 되지 않도록 하는 ... ...
전륜과 후륜의 차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생산되는 승용차 역시 대부분이 전륜구동방식. 후륜구동방식은 대우의 프린스,
기아
의 포텐샤가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정도다.우리나라 최초의 전륜구동 승용차는 85년에 나온 현대 포니엑셀이다. 당시 후륜구동방식에만 익숙하던 많은 운전자들은 트렁크에 모래주머니를 넣고 다니며 '적응 훈련'을 ... ...
자동차 안에서 PC통신 즐긴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것도 이 사업의 장점. 현재 한국항만전화가 일부 지역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데, 아남
기아
동부 쌍용등이 TRS 사업진출을 노리고 있다.CT-2집안에서 쓰는 무선전화기(CT-1)를 좀더 발전시킨 것. 무선전화기는 집안에서만 쓸 수 있지만 CT-2는 서비스구역 내 어디든지 들고 다니면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 ...
에이즈를 극복하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이 시합을 지켜 본 관중들은 이미 전성기가 지난 미국 선수들이 한국 농구 최강팀인
기아
를 마치 어린아이 다루듯이 일방적으로 밀어 붙이는 것을 보고 두 나라의 농구 수준차를 실감했을 법하다. 또한 에이즈(AIDS) 항체 양성 반응자로 알려진 매직존슨이 종횡무진 활약하는 것을 보고 그의 체력에 ... ...
'씨앗은행' 돈벌이 이용 위기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모두 먹이고도 남을 만큼 충분하다는 말이다.오랜 세월동안 천형(天刑)으로 불리던
기아
에서 인류를 구원한 것은 사람들이 별로 들어본 바 없는 극소수의 식량 관련 연구소들이다. 서방의 기부자들에 의해 지난 50년대에 설립된 전세계 18개의 농업관련 연구소(IARCs, International Agricultural Research Centers . ...
(2) 오염 피해 수중과 우주로 이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극도로 오염돼 인간의 거주가 거의 불가능한 상태가 될 것이다. 살 수 있다고 하더라도
기아
와 병에 시달려 번식력이 극도로 저하된 인간들이 살 것이며 오래지 않아 절멸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수중인간은 바다 속의 중수소를 모아서 우주선에 공급하고 바다식품의 생산을 위해 바다의 환경에 ... ...
이전
8
9
10
11
12
13
14
15
16
다음
공지사항